WHO 치매 가이드라인 발표…‘통합적 치매 관리’ 강조
치매 진단 이후 관리 시 ‘약물 치료’ 지속적 시행 중요
전세미 기자 | jeonsm@yakup.com 기자가 쓴 다른기사 보기

이번 가이드라인은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생활습관적, 사회활동적, 인지활동적 및 의학적 측면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통합적 시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WHO는 ‘치매 위험 관리 가이드라인’을 통해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치매 발생에 가장 큰 위험 요소는 잘 알려진 대로 ‘나이’지만, 이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기 때문에 지난 20여 년간 생활습관 개선 및 동반질환 관리 등 관리 가능한 분야에서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진행한 다양한 연구를 종합한 결과다.
가이드라인은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생활습관적 측면, 사회활동적 측면, 인지활동적 측면 및 의학적 측면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적 치매 관리’를 강조한다.
통합적 치매 관리의 주요 12가지 방안은 △활발한 신체 활동 △금연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 섭취 △금주 △인지 중재 훈련 △활발한 사회 활동 △체중 조절 △혈압 관리 △혈당 관리 △이상지질혈증 관리 △우울증 관리 △청력 손실 예방 등 생활습관 개선 및 동반질환 관리다.
청력 손실 예방 시 치매 발생 위험 9%, 금연 시 5%, 고혈압 조절 시 2%, 혈당 조절 시 1%, 비만 조절 시 1%, 활발한 신체 활동 시 3%, 활발한 사회 활동 시 2%, 우울증 조절 시 4%를 줄일 수 있어 합하면 총 35% 가량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WHO의 치매 위험 관리 가이드라인이 강조하는 것은 예방적 차원에서의 접근이지만, 치매가 발생한 후 ‘통합적 치매 관리’를 실천하는 환자의 예후가 좋을 확률이 높다는 것은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치매 진단 이후 통합적 치매 관리에는 ‘약물 치료’도 포함된다. 대전한국병원 오건세 신경과장은 “약물 치료는 병의 진행을 늦출 뿐 아니라 비약물적 치료와 통합한 치매 관리 시 치매에 동반되는 다양한 정신행동증상(BPSD) 조절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알츠하이머형 치매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아 시판중인 치매 약물은 4종류로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메만틴이 있다.
이 중 도네페질은 알츠하이머병의 증상 정도에 관계 없이 넓은 범위에서 사용 중이다. 올해 영국 옥스포드 NHS 파운데이션 트러스트가 발표한 정신행동증상 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정신행동증상(BPSD) 치료를 위해 약물치료의 1차 옵션으로 도네페질을 1일 5-10mg 복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5~10mg의 용량으로 경도 및 중등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치료에 승인을 받은 이후, 23mg 고용량이 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대상으로 적응증이 확대됐다.

오건세 과장은 “치매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통합적 치매 관리를 실천하는 사람과 실천하지 않는 사람의 치료 예후는 분명히 차이난다. 통합적 치매 관리를 통해 치매 예방에 힘쓰는 것이 중요하며, 이미 치매가 발생했다면 통합적 치매 관리 및 약물 치료 병행을 통해 진행을 늦추고 현재의 건강 상태가 더 나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오늘의 헤드라인
댓글 개
숨기기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치매 치료제가 얼른 개발됐으면 좋겠네요 (2019.11.21 17:34)

댓글의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