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각국의 지난 2023년 수산양식업 생산량이 총 110만톤 규모, 금액상으로는 48억 유로(약 54억4,500만 달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언급된 수산양식업 생산량은 어류, 연체동물, 해조류 및 갑각류 등을 모두 포함한 수치이다.
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은 7일 공개한 ‘2023년 수산양식업 통계 자료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EU의 3대 수산양식업 국가들로는 스페인(24만2,754톤‧23.1% 점유), 프랑스(18만6,561톤‧17.8% 점유) 및 그리스(14만908톤‧13.4% 점유) 등이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EU의 수산양식업 생산량은 지난 2008년부터 2023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110만톤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톱 3’ 수산양식업 국가들로 이름을 올린 3개국을 보면 그리스가 상대적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내보인 반면 스페인은 2023년 생산량이 지난 2018년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프랑스의 경우 2018년과 2023년의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큰 폭의 변화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EU의 수산양식업은 송어, 감성돔, 농어, 잉어, 참치, 연어 및 연체동물 등의 생선류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서 언급된 연체동물은 홍합, 굴 및 조개류 등을 지칭한 것이다.
EU 각국의 전체 수산양식업 생산량 가운데 3분의 1을 상회하는 34.5%가 홍합, 15.8%가 송어, 10.0%는 도미가 각각 점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송어는 가장 고가의 어종이어서 2023년에 전체 수산양식업 생산액의 17.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농어 13.3%, 도미 12.0%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플랫폼 기술'로 초대박 친 '에이비엘바이오' 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2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수출액 톱5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한미 SK바이오팜 GC녹십자’ |
3 | [뷰티누리×트렌디어] 2025년 1Q 메가와리… 일본서 K-뷰티 저력 재확인 |
4 | 유럽 제약시장, 미국 관세 압박에 '흔들' |
5 | [기업분석] 디와이디, 2024년 591억 순손실…적자지속 |
6 | 디앤디파마텍, MASH 치료제 ‘DD01’ 미국 임상2상 12주차 투약 완료 |
7 | 유석환 대표 "로킷헬스케어, 재생의료 기술로 '근본 치료' 시대 열 것" |
8 | [전문가 칼럼] 일본 여성들의 메이크업을 이해해야 '다음'이 있다 |
9 | 에이프로젠 "AP헬스케어,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면제로 조기 수익 기대" |
10 | "스킨케어에 장수 더해라"…민텔, 미국 공략 K-뷰티 전략 제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유럽연합(EU) 각국의 지난 2023년 수산양식업 생산량이 총 110만톤 규모, 금액상으로는 48억 유로(약 54억4,500만 달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언급된 수산양식업 생산량은 어류, 연체동물, 해조류 및 갑각류 등을 모두 포함한 수치이다.
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은 7일 공개한 ‘2023년 수산양식업 통계 자료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EU의 3대 수산양식업 국가들로는 스페인(24만2,754톤‧23.1% 점유), 프랑스(18만6,561톤‧17.8% 점유) 및 그리스(14만908톤‧13.4% 점유) 등이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EU의 수산양식업 생산량은 지난 2008년부터 2023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110만톤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톱 3’ 수산양식업 국가들로 이름을 올린 3개국을 보면 그리스가 상대적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내보인 반면 스페인은 2023년 생산량이 지난 2018년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프랑스의 경우 2018년과 2023년의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큰 폭의 변화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EU의 수산양식업은 송어, 감성돔, 농어, 잉어, 참치, 연어 및 연체동물 등의 생선류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서 언급된 연체동물은 홍합, 굴 및 조개류 등을 지칭한 것이다.
EU 각국의 전체 수산양식업 생산량 가운데 3분의 1을 상회하는 34.5%가 홍합, 15.8%가 송어, 10.0%는 도미가 각각 점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송어는 가장 고가의 어종이어서 2023년에 전체 수산양식업 생산액의 17.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농어 13.3%, 도미 12.0%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