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자들의 67%가 먹고, 입고, 여행하고, 레저활동을 즐기거나 술을 마시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지정학적 긴장 및 기타 경제의 불확실성을 고조시키고 있는 요인들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는 설명이다.
심지어 설문조사에 응한 소비자들의 75%는 올해 미국경제가 불황에 빠질 가능성을 걱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지아주 애틀란타에 소재한 가운데 미국 내 10,000여 외식업소에 기술을 제공하고 있는 레스토랑 테크놀로지 전문기업 팝메뉴(Popmenu)는 총 1,000명의 21세 이상 성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지난달 16~17일 진행한 후 26일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들이 올들어 지난해에 비해 지출을 줄인 부문으로 외식업소를 첫손가락 꼽은 가운데 의류/신발류, 엔터테인먼트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응답률을 보면 외식업소 61%, 의류/신발 52%, 엔터테인먼트 49%, 여행 47%, 취미활동 38%, 식료품점 34%, 인터넷 생방송 구독 33%, 음주 32%, 스포츠 27%, 개인단장(personal grooming) 27%, 기부 22% 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조사결과를 보면 현재 소비자들은 매주 평균 115달러를 외식업소에서, 235달러를 식료품점에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시선이 쏠리게 했다.
이와 함께 소비자들의 57%는 최소한 주 2회 외식업소에서 저녁식사를 하거나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4%는 배달료 지불을 피할 수 있는 데다 신속하게 주문한 메뉴를 받을 수 있는 테이크-아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34%는 외식업소에서 저녁식사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22%는 배달주문해서 저녁식사하기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가장 빈도높게 방문하고 있는 외식업소의 유형을 보면 패스트 푸드점(quick service restaurant)이 69%로 1위를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뒤이어 패스트 캐주얼점 47%, 캐주얼 다이닝점 42%, 피자점 38%, 커피숍/카페 18%, 바 또는 그릴 18%, 뷔페 16%, 고급식당 15%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44%의 소비자들은 지난해 여름에 비해 올여름 외식업소 지출을 줄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했다.
이와 달리 18%는 오히려 지출을 늘리겠다고 답했고, 38%는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털어놓았다.
식료품점에서 구매액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들로는 49%가 가격이 저렴하거나 특정한 브랜드 없이 일반적인 이름으로 판매되는 식품을 구매하겠다고 답해 고개가 끄덕여지게 했다.
47%는 스낵류 구매를 줄일 것이라고 답했고, 43%는 필요한 식품만 구매할 것이라고 밝혔다.
43%는 쿠폰을 적극 활용할 것이라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블록버스터' 특허절벽! ‘키트루다’도 가고 ‘다잘렉스’도 가고.. |
2 | 강스템바이오텍,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융복합제제’ 미국 특허 등록 |
3 | 국힘, 정은경 ‘송곳검증’ 예고…복지부 장관 임명 ‘산 넘어 산’ |
4 | 한국바이오협회, 산자부 '탄소순환플랫폼’ 사업 총괄주관기관 선정 |
5 | K-뷰티서 출발한 '푸디피케이션', 글로벌 브랜드 전략 됐다 |
6 | 건기식 판매 약국 안전위생교육 의무화…면허 미신고 땐 효력 정지 |
7 | 지니너스, 에이비엘바이오와 유전체 AI 솔루션 공급계약 체결 |
8 | 비타민C, 일본서 ‘데일리 성분’으로 |
9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일본 의약 전문 유통사 Summit과 업무협약 체결 |
10 | AI 챗봇부터 돌봄 조례까지…서울시약사회, 약사 정책 추진 박차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미국 소비자들의 67%가 먹고, 입고, 여행하고, 레저활동을 즐기거나 술을 마시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지정학적 긴장 및 기타 경제의 불확실성을 고조시키고 있는 요인들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는 설명이다.
심지어 설문조사에 응한 소비자들의 75%는 올해 미국경제가 불황에 빠질 가능성을 걱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지아주 애틀란타에 소재한 가운데 미국 내 10,000여 외식업소에 기술을 제공하고 있는 레스토랑 테크놀로지 전문기업 팝메뉴(Popmenu)는 총 1,000명의 21세 이상 성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지난달 16~17일 진행한 후 26일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들이 올들어 지난해에 비해 지출을 줄인 부문으로 외식업소를 첫손가락 꼽은 가운데 의류/신발류, 엔터테인먼트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응답률을 보면 외식업소 61%, 의류/신발 52%, 엔터테인먼트 49%, 여행 47%, 취미활동 38%, 식료품점 34%, 인터넷 생방송 구독 33%, 음주 32%, 스포츠 27%, 개인단장(personal grooming) 27%, 기부 22% 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조사결과를 보면 현재 소비자들은 매주 평균 115달러를 외식업소에서, 235달러를 식료품점에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시선이 쏠리게 했다.
이와 함께 소비자들의 57%는 최소한 주 2회 외식업소에서 저녁식사를 하거나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4%는 배달료 지불을 피할 수 있는 데다 신속하게 주문한 메뉴를 받을 수 있는 테이크-아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34%는 외식업소에서 저녁식사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22%는 배달주문해서 저녁식사하기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가장 빈도높게 방문하고 있는 외식업소의 유형을 보면 패스트 푸드점(quick service restaurant)이 69%로 1위를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뒤이어 패스트 캐주얼점 47%, 캐주얼 다이닝점 42%, 피자점 38%, 커피숍/카페 18%, 바 또는 그릴 18%, 뷔페 16%, 고급식당 15%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44%의 소비자들은 지난해 여름에 비해 올여름 외식업소 지출을 줄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했다.
이와 달리 18%는 오히려 지출을 늘리겠다고 답했고, 38%는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털어놓았다.
식료품점에서 구매액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들로는 49%가 가격이 저렴하거나 특정한 브랜드 없이 일반적인 이름으로 판매되는 식품을 구매하겠다고 답해 고개가 끄덕여지게 했다.
47%는 스낵류 구매를 줄일 것이라고 답했고, 43%는 필요한 식품만 구매할 것이라고 밝혔다.
43%는 쿠폰을 적극 활용할 것이라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