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제약바이오 지배지분순이익 코스피 133억·코스닥 35억원
코스피 지배지분순이익 상위 TOP 5 삼바·셀트리온·유한양행·GC녹십자·한미약품
코스닥 지배지분순이익 상위 TOP 5 휴젤·파마리서치·진양제약·아이큐어·동국제약
입력 2025.01.10 13:55 수정 2025.01.13 09:49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약업닷컴이 상장 90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1개, 코스닥 49개)의 3분기 지배지분순이익을 분석한 결과, 코스피 제약바이오사의 평균은 133억원, 코스닥 제약바이오사 평균은 35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대비 코스피는 2.8% 증가하고, 코스닥은 23.1% 증가했으며, 지배지분순이익률은 코스피 7.5%, 코스닥 8.2%였으며, 3분기 연결순이익 비중는 코스피 101.9%, 코스닥 98.2%를 기록했다.

지배지분순이익은 모회사만의 순이익과 자회사의 순이익 중 지배기업은 모회사의 지분율만큼에 해당하는 순이익을 더한 것으로, 종속기업(자회사)의 순이익 중 지배기업의 소유분을 제외한 순이익을 의미한다.

◇코스피 제약바이오사(41개사)


올해 3분기 기준 지배지분순이익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로 2645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셀트리온 856억원 △유한양행 374억원 △GC녹십자 333억원 △한미약품 310억원 순으로 TOP 5를 형성했다. 이어 △대웅제약 283억원 △종근당 218억원 △JW중외제약 198억원 △삼성제약 183억원 △SK바이오팜 97억원 순이었다. 코스피 지배지분순이익 평균은 133억원이었다.

지배지분순이익율의 경우 △삼성제약이 165.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일성아이에스 50.6% △삼성바이오로직스 22.3% △JW생명과학 11.7% △JW중외제약 11.1% △셀트리온 9.7% △유유제약 9.0% △한미약품 8.6% △대웅제약 7.9% △유나이티드 7.4% 순이었다. 코스피 평균 지배지분순이익률은 7.5%였다.

반면, 3분기 지배지분순이익률이 가장 낮은 기업은 △에이프로젠바이오록직스로 -106.6%를 기록했다. 이어 △SK바이오사이언스 -36.2% △팜젠사이언스 -9.4% △동성제약 -6.8% △일동제약 -5.1% △동아에스티 -4.7% △한독 -3.1% △제일약품 -2.4% △명문제약 -1.7% △삼일제약 -1.3% 순으로 확인됐다.

전기(2분기) 대비 지배지분순이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대웅제약으로 전기 대비 2379.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광동제약 566.3% △일양약품 218.0% △유유제약 144.7% △JW중외제약 133.2% △국제약품 92.7% △유한양행 16.7% △셀트리온 9.7% △JW생명과학 1.6% 전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이연제약이 6.4% 감소하며 TOP 10을 형성했다. 코스피 평균은 2.8%였다.

전년동기 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일성아이에스가 691.2% 증가하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GC녹십자 138.9% △유한양행 91.0% △대웅제약 81.5% △JW생명과학 48.5% △삼진제약 42.9% △대원제약 24.4% △삼성바이오로직스 10.0% 순으로 전년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광동제약이 0.2% △보령이 21.6% 감소하며 TOP 10을 형성했다. 코스피 평균은 -10.0%였다.

2024년 누적 9개월 기준 지배지분순이익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로 7618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셀트리온 1860억원 △한미약품 1263억원 △종근당 1008억원 △유한양행 822억원 순으로 TOP 5를 형성했다. 이어 △보령 564억원 △SK바이오팜 506억원 △JW중외제약 484억원 △대웅제약 376억원 △삼진제약 324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평균은 355억원이었다.

2024 누적 9개월 지배지분순이익률이 가장 낮은 기업은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로 -99.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SK바이오사이언스 -42.9% △제일약품 -6.5% △한독 -5.0% △동성제약 -4.1% △부광약품 -3.9% △동아에스티 -3.3% △한올바이오파마 -3.3% △일동제약 -2.6% △명문제약 -2.6% 순이었다. 

전년동기 대비(누적 9개월) 증감을 살펴보면, JW중외제약이 302.3% 증가하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삼진제약 180.8% △보령 63.0% △유한양행 62.8% △일양약품 35.8% △삼성바이오로직스 34.4% △한미약품 12.9% △JW생명과학 3.8% 순이었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49개사)


올해 3분기 기준 지배지분순이익이 가장 높은 곳은 휴젤로 403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파마리서치 247억원 △진양제약 222억원 △아이큐어 222억원 △동국제약 193억원 △에스티팜 146억원 △HK이노엔 145억원 △케어젠 117억원 △대한약품 85억원 △셀트리온제약 83억원 순이었다. 코스닥 평균은 35억원이었다.

지배지분순이익율의 경우 △아이큐어가 140.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진양제약 70.3% △케어젠 57.6% △휴젤 38.3% △파마리서치 27.7% △에스티팜 23.7% △바이오플러스 20.0% △JW신약 18.6% △휴메딕스 18.3% △고려제약 15.8% 순이었다. 코스닥 평균은 8.2%였다.

반면, 3분기 지배지분순이익률이 가장 낮은 기업은 △현대바이오사이언스로 -1117.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CJ바이오사이언스 -1110.1% △바이오솔루션 -75.6% △스피어파워 -44.5% △바이넥스 -35.9% △코오롱생명과학 -34.8% △경남제약 -28.3% △엘앤씨바이오 -27.9% △제테마 -21.8% △조아제약 -17.8% 순이었다.

전기(2분기) 대비 지배지분순이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에스티팜으로 전기 대비 134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진양제약 631.9% △한국비엔씨 517.6% △JW신약 494.4% △테라젠이텍스 445.8% △케어젠 94.1% △동구바이오제약 57.0% △셀트리온제약 48.1% △동국제약 41.8% △휴젤 15.8%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 평균은 23.1%였다.

전년동기 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진양제약이 467.8% 증가하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이수앱지스 464.7% △JW신약 334.6% △에스티팜 271.8% △동구바이오제약 187.2% △셀트리온제약 150.7% △동국제약 59.0% △고려제약 46.4% △테라젠이텍스 28.5% △케어젠 19.4% 순이었다. 코스닥 평균은 -4.9%였다.

2024년 누적 9개월 기준 지배지분순이익이 가장 높은 곳은 휴젤로 958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파마리서치 734억원 △동국제약 526억원 △HK이노엔 424억원 △휴메딕스 280억원 순으로 TOP 5를 형성했다. 이어 △케어젠 272억원 △진양제약 271억원 △휴온스 255억원 △대한약품 248억원 △에스티팜 219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평균은 86억원이었다.

2024 누적 9개월 지배지분순이익률이 가장 낮은 기업은 △CJ바이오사이언스로 -925.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바이오솔루션 -72.7% △코오롱생명과학 -66.7% △이수앱지스 -33.3% △바이넥스 -28.6% △스피어파워 -23.6% △현대바이오사이언스 -16.0% △조아제약 -12.4% △엔지켐생명과학 -10.2% △제테마 -9.5% 순이었다.

전년동기 대비(누적 9개월) 증감을 살펴보면, 고려제약이 1129.0% 증가하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파마 355.9% △안국약품 321.9% △에스티팜 141.5% △진양제약 132.5% △동구바이오제약 52.3% △동국제약 38.0% △HK이노엔 32.2% △휴메딕스 29.6% △테라젠이텍스 26.0% 순이었다. 코스닥 평균은 2.4%였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2024년 9월 제약바이오 지배지분순이익 코스피 133억·코스닥 35억원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2024년 9월 제약바이오 지배지분순이익 코스피 133억·코스닥 35억원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