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코스피 81.99%, 코스닥 67.13%
코스피 부채비율 하위 톱5 일성아이에스, 파미셀, 환인제약, 유나이티드, 삼성제약 순
코스닥은 폴라리스AI파마, 화일약품,엔지켐생명과학, 케어젠, 휴메딕스 순
입력 2025.01.09 06:00 수정 2025.01.09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약업닷컴이 상장 90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1코스닥 49)3분기 부채비율을 분석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코스피는 7.53%p, 코스닥은 1.51%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부채비율은 코스피 81.99%, 코스닥 67.13%를 각각 기록했다

부채비율이란 부채자본비율대차대조표의 부채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부채총액/자기자본)로 부채(타인자본)의 의존도를 의미한다.

 

◇코스피 제약바이오사(41개사)

2024 9월 기준 분기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일동제약으로 275.06%동성제약(228.26%), 명문제약(175.11%), 제일약품(168.35%), 영진약품(156.80%), 한독(153.26%), 종근당바이오(123.98%), 삼일제약(120.00%), SK바이오팜(111.60%), JW중외제약(109.66%) 순이다코스피 평균은 81.99%

20249월 기준 분기 부채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일성아이에스로 3.58%파미셀(11.09%), 환인제약(13.04%), 유나이티드(17.40%), 삼성제약(18.07%), SK바이오사이언스(19.09%), 셀트리온(19.23%), 한올바이오파마(24.26%), 하나제약(24.94%), 신풍제약(25.85%) 순이다

전기 대비 증가폭이 가장 컸던 곳은 일동제약(+11.72%p)이며 일양약품(+11.56%p), 한독(+11.30%p), 제일약품(+7.19%p), SK바이오사이언스(+5.93%p), 광동제약(+4.15%p), 동성제약(+3.07%p), 삼일제약(+2.37%p), 영진약품(+1.62%p), 삼성제약(+1.14%p) 순이다

전기 대비 감소폭이 가장 컸던 곳은 JW중외제약(-24.53%p)이며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10.88%p), SK바이오팜(-10.21%p), 유나이티드(-8.32%p), 동아에스티(-7.31%p), 삼성바이오로직스(-6.92%p), 보령(-5.98%p), JW생명과학(-5.44%p), 일성아이에스(-5.17%p), 대웅제약(-5.05%p) 순이다

연간 부채비율이 전년 동기 대비 가장 증가한 곳은 동성제약(+40.11%p)이며 뒤를 이어 대원제약(+25.12%p), 동아에스티(+24.50%p), 한독(+22.70%p), 명문제약(+22.67%p), 일양약품(+16.48%p), 광동제약(+14.62%p), GC녹십자(+10.94%p), SK바이오사이언스(+7.64%p), 영진약품(+4.91%p) 등이다.

연간 부채비율이 전년 동기 대비 가장 감소한 곳은 삼일제약(-68.78%p)이며 뒤를 이어 JW중외제약(-63.18%p), 일동제약(-51.23%p), 제일약품(-39.97%p), 국제약품(-29.13%p), 셀트리온(-27.08%p), SK바이오팜(-21.29%p), 종근당바이오(-19.34%p), 삼성바이오로직스(-15.12%p), 한미약품(-14.45%p) 등이 자리했다코스피 평균은 7.53%p 감소했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49개사)

20249월 기준 분기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제테마로 240.35%코오롱생명과학(203.04%), 대화제약(191.31%), JW신약(156.23%), 비씨월드제약(127.93%), 조아제약(122.06%), GC녹십자엠에스(115.43%), 스피어파워(115.01%), 동구바이오제약(107.29%), 신신제약(98.15%) 순이다코스닥 평균은 67.13%

20249월 기준 분기 부채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폴라리스AI파마로 5.40%화일약품(5.86%), 엔지켐생명과학(5.96%), 케어젠(7.19%), 휴메딕스(8.77%), 휴젤(10.60%), 신일제약(11.89%), 한국비엔씨(13.89%), 삼아제약(14.56%), 고려제약(16.38%) 순이다

전기 대비 증가폭이 가장 컸던 곳은 진양제약(+51.78%p)이며 바이오플러스(+49.45%p), CMG제약(+25.97%p), 코오롱생명과학(+24.13%p), 제테마(+20.15%p), 바이넥스(+8.35%p), 조아제약(+7.93%p), 동구바이오제약(+6.85%p), CJ바이오사이언스(+5.02%p), 휴온스(+4.37%p) 순이다

전기 대비 감소폭이 가장 컸던 곳은 아이큐어(-104.86%p)이며 JW신약(-43.52%p), GC녹십자엠에스(-34.91%p), 바이오솔루션(-23.18%p), 이수앱지스(-18.61%p), 에스티팜(-14.00%p), 현대바이오사이언스(-12.37%p), 한국파마(-12.23%p), 경동제약(-6.60%p), 비씨월드제약(-6.10%p) 순이다

연간 부채비율이 전년동기 대비 가장 증가한 곳은 코오롱생명과학(+96.06%p)이며조아제약(+55.99%p), 진양제약(+49.91%p), 바이오플러스(+48.71%p), 현대바이오사이언스(+48.24%p), 동구바이오제약(+35.87%p), 안국약품(+35.54%p), CMG제약(+29.06%p), 알리코제약(+23.34%p), 경동제약(+15.83%p) 순이다

연간 부채비율이 전년동기 대비 가장 감소한 곳은 제테마(-128.27%p)이며, JW신약(-127.44%p), 한국파마(-69.35%p), 이수앱지스(-53.81%p), 아이큐어(-49.23%p), 바이오솔루션(-32.90%p), GC녹십자엠에스(-31.17%p), 에스티팜(-29.59%p), 테라젠이텍스(-19.96%p), 경남제약(-15.89%p) 순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2024년 9월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코스피 81.99%, 코스닥 67.13%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2024년 9월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코스피 81.99%, 코스닥 67.13%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