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ADM바이오(대표 김택성, 김광희)는 약물 흡수율을 해결하지 못해 주사제로만 사용하던 대표적 화학항암제 도세탁셀과 파클리탁셀을 무기물 기반 약물전달체 기술을 이용해 경구로 투여한 동물실험 결과, 도세탁셀과 파클리탁셀 생체이용률이 1,600배 이상 높아져 경구용 항암제로 사용 가능함이 확인됐다고 10일 발표했다.
현대ADM에 따르면 HLB바이오스텝에 위탁실시한 동물실험 결과, 도세탁셀을 경구투여 후 측정한 'AUC'(Area Under Curve, 혈중약물농도 그래프의 곡선 아래 면적)가 0.85 ng·hr/mL였음에 비해, 같은 양의 '약물전달체 기술을 적용한 도세탁셀'을 경구 투여 후 측정한 AUC는 1410.24 ng·hr/mL로 나타나 생체이용률이 1659.1배 향상됐음이 밝혀졌다. 또 파클리탁셀을 경구투여 후 측정한 AUC가 3.49 ng·hr/mL였음에 비해, 같은 양의 '약물전달체 기술을 적용한 파클리탁셀'을 경구투여 후 측정한 AUC는 6678.30 ng·hr/mL로 나타나 생체이용률이 1913.6배 높아졌음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주사제로만 투여 가능했던 항암제를 경구용 제형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특히, 도세탁셀과 파클리탁셀 두 약물이 동시에 경구용 제형으로 개발됨으로써 주사제 중심 치료에서 경구용 항암제로 패러다임 전환을 촉진하는 기폭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도세탁셀(Docetaxel)과 파클리탁셀(Paclitaxel)은 거의 모든 암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 1차 항암제로, 글로벌 항암제 시장에서 가장 널리 처방되는 약물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주사제 형태로만 투여 가능해 병원 방문이 필수적이고, 고용량 투여로 인한 약물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이 있었던 반면 현대ADM 관계사 씨앤팜이 개발한 '경구용 약물전달체 플랫폼 기술'은 생체 친화적인 무기물 기반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약물 상호작용(Drug Drug Interaction, DDI)으로 인한 부작용 없이 기존 항암제 낮은 생체이용률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경구용 약물전달체 플랫폼 기술은 코로나19 동물실험에 이어 임상에서도 약물의 낮은 흡수율 문제를 해결하고 효능을 입증했다. 이 기술은 주요 23개국에 특허 출원됐고, 미국·일본·중국·호주에서 특허 등록이 완료됐다. 현대ADM과 씨앤팜은 이달초 '경구용 도세탁셀·파클리탁셀 사업을 현대ADM이 진행키로 협약'을 체결했다.
현대ADM 김택성 대표는 "도세탁셀과 파클리탁셀은 거의 모든 암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암제다. 이 두 약물이 동시에 경구용 항암제로 전환된 것은 암 치료 시장 판도를 바꿀 혁신적 사건으로, 편리하고 고통 없이 암 치료하는 시대를 여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삼천당제약,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시작 |
2 | 제약바이오 3분기 평균 총차입금 코스피 2353억원, 코스닥 589억원...전년비↑ |
3 | 유통업계, 물류대전 심화된다 |
4 | 제약바이오 3분기 이자비용 및 이자보상배율...코스피 증가, 코스닥은 감소 |
5 | AZㆍ다이이찌 산쿄 새 유방암 치료제 FDA 승인 |
6 | 미국 WHO 이탈…한국 공중보건·외교 전략은 어디로? |
7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8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9 | 화장품기업 2024년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 17.26% …전년比 0.05%p↓ |
10 |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가총액, 삼성바이오로직스 11위·셀트리온 20위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현대ADM바이오(대표 김택성, 김광희)는 약물 흡수율을 해결하지 못해 주사제로만 사용하던 대표적 화학항암제 도세탁셀과 파클리탁셀을 무기물 기반 약물전달체 기술을 이용해 경구로 투여한 동물실험 결과, 도세탁셀과 파클리탁셀 생체이용률이 1,600배 이상 높아져 경구용 항암제로 사용 가능함이 확인됐다고 10일 발표했다.
현대ADM에 따르면 HLB바이오스텝에 위탁실시한 동물실험 결과, 도세탁셀을 경구투여 후 측정한 'AUC'(Area Under Curve, 혈중약물농도 그래프의 곡선 아래 면적)가 0.85 ng·hr/mL였음에 비해, 같은 양의 '약물전달체 기술을 적용한 도세탁셀'을 경구 투여 후 측정한 AUC는 1410.24 ng·hr/mL로 나타나 생체이용률이 1659.1배 향상됐음이 밝혀졌다. 또 파클리탁셀을 경구투여 후 측정한 AUC가 3.49 ng·hr/mL였음에 비해, 같은 양의 '약물전달체 기술을 적용한 파클리탁셀'을 경구투여 후 측정한 AUC는 6678.30 ng·hr/mL로 나타나 생체이용률이 1913.6배 높아졌음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주사제로만 투여 가능했던 항암제를 경구용 제형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특히, 도세탁셀과 파클리탁셀 두 약물이 동시에 경구용 제형으로 개발됨으로써 주사제 중심 치료에서 경구용 항암제로 패러다임 전환을 촉진하는 기폭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도세탁셀(Docetaxel)과 파클리탁셀(Paclitaxel)은 거의 모든 암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 1차 항암제로, 글로벌 항암제 시장에서 가장 널리 처방되는 약물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주사제 형태로만 투여 가능해 병원 방문이 필수적이고, 고용량 투여로 인한 약물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이 있었던 반면 현대ADM 관계사 씨앤팜이 개발한 '경구용 약물전달체 플랫폼 기술'은 생체 친화적인 무기물 기반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약물 상호작용(Drug Drug Interaction, DDI)으로 인한 부작용 없이 기존 항암제 낮은 생체이용률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경구용 약물전달체 플랫폼 기술은 코로나19 동물실험에 이어 임상에서도 약물의 낮은 흡수율 문제를 해결하고 효능을 입증했다. 이 기술은 주요 23개국에 특허 출원됐고, 미국·일본·중국·호주에서 특허 등록이 완료됐다. 현대ADM과 씨앤팜은 이달초 '경구용 도세탁셀·파클리탁셀 사업을 현대ADM이 진행키로 협약'을 체결했다.
현대ADM 김택성 대표는 "도세탁셀과 파클리탁셀은 거의 모든 암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암제다. 이 두 약물이 동시에 경구용 항암제로 전환된 것은 암 치료 시장 판도를 바꿀 혁신적 사건으로, 편리하고 고통 없이 암 치료하는 시대를 여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