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이오와 네이처셀이 공동 운영하는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연구원장 : 라정찬)은 일본 재생의료 협력병원인 후쿠오카 트리니티 클리닉이 후생성으로부터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사용한 고관절 퇴행성 질환 치료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일본 후쿠오카 트리니티 클리닉에서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 줄기세포 기술로 올해 3월부터 본격적인 치료가 시작된다.
이번 치료 승인은 고관절강 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직접 주사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2~3억개 세포를 투여하고, 2~8주 간격으로 총 1~3회가 이뤄지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투여가 가능하다. 치료 효과는 최종 투여 후 3개월 시점에서 VAS(Visual Analog Scale) 평가와 안전성 확인을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된다.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은 앞서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에서 진행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연구자 임상에서 중요한 성과를 올렸다.
연구원에 따르면 2년 간 추적 관찰 결과, 대상자 82%(14/17)가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없이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치료법인 감압술 성공률이 36%에 불과한 점과 비교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투여가 질병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큰 기여를 했음을 확인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논문으로 발표돼 학계 주목을 받았다.
연구원은 “국내에서도 해당 치료법의 재생의료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내 고관절 질환 환자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퇴행성 고관절염은 중년 이상에서 발생하며, 국내 환자 수는 약 1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전 세계적으로는 약 1억 명 이상이 고관절 퇴행성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인공 고관절 수술을 필요로 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에 이른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 리보세라닙 FDA 승인 미궁 속으로…"CMC 문제 여전" |
2 |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2년 연속 순이익 1000억대 '충격 적자' |
3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FDA '혁신적 치료제 지정' 획득 |
4 | "ADC, 1차 치료제 시대 임박…혁신 표적·페이로드 기술이 승부수" |
5 | HLB테라퓨틱스, 전년 영업익 -76억원·순익 -235억원 '적자 지속' |
6 | 블록버스터 의약품 시대 끝나나?…'바이오시밀러 폭풍' 코 앞 |
7 | HLB파나진, 분자진단 매출 100억원 '임박' 전년比 17% 상승 |
8 | “또 보완?” HLB, 리보세라닙 FDA 제동…반복된 실책에 쏟아지는 의문 |
9 | 바이넥스, 수익성 지표 하락세…2024년 매출 1301억원 전년比 16% 감소 |
10 | 알테오젠,미국 '메드이뮨'사와 총 8,700억원 규모 라이선스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알바이오와 네이처셀이 공동 운영하는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연구원장 : 라정찬)은 일본 재생의료 협력병원인 후쿠오카 트리니티 클리닉이 후생성으로부터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사용한 고관절 퇴행성 질환 치료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일본 후쿠오카 트리니티 클리닉에서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 줄기세포 기술로 올해 3월부터 본격적인 치료가 시작된다.
이번 치료 승인은 고관절강 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직접 주사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2~3억개 세포를 투여하고, 2~8주 간격으로 총 1~3회가 이뤄지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투여가 가능하다. 치료 효과는 최종 투여 후 3개월 시점에서 VAS(Visual Analog Scale) 평가와 안전성 확인을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된다.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은 앞서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에서 진행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연구자 임상에서 중요한 성과를 올렸다.
연구원에 따르면 2년 간 추적 관찰 결과, 대상자 82%(14/17)가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없이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치료법인 감압술 성공률이 36%에 불과한 점과 비교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투여가 질병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큰 기여를 했음을 확인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논문으로 발표돼 학계 주목을 받았다.
연구원은 “국내에서도 해당 치료법의 재생의료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내 고관절 질환 환자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퇴행성 고관절염은 중년 이상에서 발생하며, 국내 환자 수는 약 1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전 세계적으로는 약 1억 명 이상이 고관절 퇴행성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인공 고관절 수술을 필요로 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