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타, 줄기세포 배양 기술 일본 고관절 질환 재생의료 치료 승인
한국 성체줄기세포기술...3월부터 일본서 본격 치료 시작
입력 2025.02.11 08:57 수정 2025.02.11 08:57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알바이오와 네이처셀이 공동 운영하는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연구원장 : 라정찬)은 일본 재생의료 협력병원인 후쿠오카 트리니티 클리닉이 후생성으로부터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사용한 고관절 퇴행성 질환 치료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일본 후쿠오카 트리니티 클리닉에서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 줄기세포 기술로 올해 3월부터 본격적인 치료가 시작된다.

이번 치료 승인은 고관절강 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직접 주사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2~3억개 세포를 투여하고, 2~8주 간격으로 총 1~3회가 이뤄지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투여가 가능하다. 치료 효과는 최종 투여 후 3개월 시점에서 VAS(Visual Analog Scale) 평가와 안전성 확인을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된다.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은 앞서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에서 진행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연구자 임상에서 중요한 성과를 올렸다. 

연구원에 따르면 2년 간 추적 관찰 결과, 대상자 82%(14/17)가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없이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치료법인 감압술 성공률이 36%에 불과한 점과 비교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투여가 질병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큰 기여를 했음을 확인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논문으로 발표돼 학계 주목을 받았다.

연구원은 “국내에서도 해당 치료법의 재생의료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내 고관절 질환 환자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퇴행성 고관절염은 중년 이상에서 발생하며, 국내 환자 수는 약 1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전 세계적으로는 약 1억 명 이상이 고관절 퇴행성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인공 고관절 수술을 필요로 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에 이른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바이오스타, 줄기세포 배양 기술 일본 고관절 질환 재생의료 치료 승인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바이오스타, 줄기세포 배양 기술 일본 고관절 질환 재생의료 치료 승인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