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크라스(Inocras)가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Novartis) 한국법인의 환자지원 프로그램(Patient Support Program, PSP) 사업에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노크라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의료진에게 전장 유전체 분석(WGS) 기반의 희귀질환 진단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 유전 재발열 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정확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이번 사업 선정은 희귀질환 정밀 진단 분야에서 이노크라스의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 내 영향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된다.
이번 프로그램은 크리오리핀 관련 주기적 증후군(CAPS), 종양괴사인자 수용체 관련 주기적 증후군(TRAPS), 고면역글로불린 D증후군/메발론산키나아제 결핍증(HIDS/MKD), 가족성 지중해열(FMF)을 포함하는 유전 재발열 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해당 질환들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효과적인 치료 접근성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유전자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노크라스는 기존에 전장 유전체 기반 암 진단 플랫폼 ‘캔서비전(CancerVision)’을 통해 정밀 의료 시장을 선도해왔다. 이노크라스 관계자는 “보다 정밀한 치료 계획 수립이 가능하고, 진단 지연으로 인한 환자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노바티스 PSP 사업에서는 희귀질환 진단을 위한 ‘레어비전(RareVision)’을 활용해, 같은 이노크라스의 기술을 희귀 유전 질환 분석에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암뿐만 아니라 희귀질환 영역에서도 정밀한 유전체 해석을 바탕으로 희귀질환에서도 최적의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환자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플랫폼 기술'로 초대박 친 '에이비엘바이오' 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2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수출액 톱5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한미 SK바이오팜 GC녹십자’ |
3 | [뷰티누리×트렌디어] 2025년 1Q 메가와리… 일본서 K-뷰티 저력 재확인 |
4 | 유럽 제약시장, 미국 관세 압박에 '흔들' |
5 | [기업분석] 디와이디, 2024년 591억 순손실…적자지속 |
6 | 디앤디파마텍, MASH 치료제 ‘DD01’ 미국 임상2상 12주차 투약 완료 |
7 | 유석환 대표 "로킷헬스케어, 재생의료 기술로 '근본 치료' 시대 열 것" |
8 | [전문가 칼럼] 일본 여성들의 메이크업을 이해해야 '다음'이 있다 |
9 | 에이프로젠 "AP헬스케어,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면제로 조기 수익 기대" |
10 | "스킨케어에 장수 더해라"…민텔, 미국 공략 K-뷰티 전략 제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이노크라스(Inocras)가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Novartis) 한국법인의 환자지원 프로그램(Patient Support Program, PSP) 사업에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노크라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의료진에게 전장 유전체 분석(WGS) 기반의 희귀질환 진단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 유전 재발열 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정확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이번 사업 선정은 희귀질환 정밀 진단 분야에서 이노크라스의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 내 영향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된다.
이번 프로그램은 크리오리핀 관련 주기적 증후군(CAPS), 종양괴사인자 수용체 관련 주기적 증후군(TRAPS), 고면역글로불린 D증후군/메발론산키나아제 결핍증(HIDS/MKD), 가족성 지중해열(FMF)을 포함하는 유전 재발열 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해당 질환들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효과적인 치료 접근성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유전자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노크라스는 기존에 전장 유전체 기반 암 진단 플랫폼 ‘캔서비전(CancerVision)’을 통해 정밀 의료 시장을 선도해왔다. 이노크라스 관계자는 “보다 정밀한 치료 계획 수립이 가능하고, 진단 지연으로 인한 환자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노바티스 PSP 사업에서는 희귀질환 진단을 위한 ‘레어비전(RareVision)’을 활용해, 같은 이노크라스의 기술을 희귀 유전 질환 분석에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암뿐만 아니라 희귀질환 영역에서도 정밀한 유전체 해석을 바탕으로 희귀질환에서도 최적의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환자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