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거래처에 공문 "현금수금 매출할인 1%p 축소...7월 수금분부터"
화이트생명과학·오스템도 잇단 조정...업계 "생존권 흔들려"
입력 2025.06.13 06:00 수정 2025.06.13 14:19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비보존제약이 거래 도매업체에 현금수금 매출할인을 현행 4%에서 3%로 낮추겠다고 통보하면서, 한국얀센의 2% 마진 인하 갈등 이후 제약사들의 ‘연쇄 마진 축소’ 흐름이 본격화하고 있다.

비보존제약은 지난달 말 거래처에 발송한 공문에서 “여러 제약 환경의 사정상 부득이하게 현금수금 매출할인 정책을 인하한다”며 △기존 4% → 3% △7월 수금분부터 시행 △기타 조건 유지 등을 명시했다. 회사는 현재 사전 7%+사후 4% 구조를 운영 중이며, 이번 조치로 사후 마진이 1%포인트 줄어들게 된다.

이와 관련해 비보존제약 관계자는 “이번 조정은 유통 마진 문제와는 별개로, 1분기 적자와 신약 발매 준비 등으로 인해 재무적 정상화를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며 “사전 마진은 업계 평균(약 6.5%)보다 높게 유지하고 있고, 사후 마진은 거래처 사정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되던 항목”이라고 설명했다.

업계는 “물류·인건비·창고비 부담이 큰 상황에서 사후 1%포인트 삭감만으로도 손익 타격이 크다”고 토로한다. 한 중소 도매업체 관계자는 “한국얀센 사태 이후 ‘눈치 보기’가 끝나고 본격적인 인하 러시가 시작된 분위기”라고 말했다.

실제 오스템임플란트는 지난달 일부 전문의약품 마진을 11%에서 8%로 3%포인트 줄였고, 화이트생명과학은 8월부터 무담보 거래 시 사후 5%를 전면 폐지하는 차등 마진제를 예고했다.

한국의약품유통협회는 “제약사들의 일방적 마진 구조 변경은 중소 도매업체의 생존권과 직결된다”며 법적·제도적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담합 우려를 피하기 위해 공정위 질의, 간담회, 관계 부처 면담 등 공식 절차에 집중한다는 입장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들은 “마진 인하는 개별 계약 차원이 아니라 유통 생태계를 뒤흔드는 구조적 이슈”라며 “제약사와 도매상이 장기적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상생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이기일 차관, 32년 정든 복지부 떠났다…“감사했다, 의료계‧정부 같이 가야”
김남주바이오 "증상 완화 넘어 근본 개선"…약국 맞춤 건기식 솔루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