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알바이오팹,이연제약 공동개발 ‘매트릭스 제형 복합 지혈제’ 인허가 획득
식약처 최고등급 4등급…특허 ECM 소재로 지혈·조직재생 효과 극대화
국내 시장 77% 점유 수입품 대체 목표…"회사 핵심 제품으로 성장 기대"
입력 2025.07.04 08:31 수정 2025.07.04 08:3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재생의료 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은 이연제약과 공동 개발한 ‘매트릭스 제형 복합 지혈제(흡수성 체내용 지혈용품)’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판매 인허가를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티앤알바이오팹의 매트릭스 제형 복합 지혈제는 특허 공법으로 제조한 ECM(세포외기질) 소재와 이연제약 트롬빈을 융합해 제작됐다. 수술 등으로 인한 상처 출혈을 빠르게 멎게 하고 상처 조직 회복을 돕는 지혈용 의료기기다. 국내 최고 등급인 의료기기 4등급 심사를 통과하며 높은 수준 안전성과 품질요건을 입증 받았다.

회사의 매트릭스 제형 복합 지혈제는 특허 받은 ‘EER(Excellent ECM Retention, 우수한  ECM 유지)’ 기술로 만든 피부유래 및 혈관유래 ECM 소재, 특허 공법으로 제작된 저독소 젤라틴 및 트롬빈 등으로 구성됐다. 물리적 지지 역할을 하는 비접촉 층과 혈액을 흡수·응집시켜 지혈 작용하는 접촉 층이 결합된 다층구조로 설계됐다. 특히 제품에 함유된 지혈 활성물질인 트롬빈은 혈액 내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전환해 혈액 응고를 촉진한다.

회사 관계자는 “해당  제품은 특허 기술로 제조된 SdECM(피부유래세포외기질), VdECM(혈관유래세포외기질)을 포함해 조직 재생력과 접착성, 지혈 성능에서 기존 제품 대비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며 “파우더 제형에 이어 매트릭스 제형까지 연이은 인허가 획득으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지혈제 시장의 주도권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두 제품 모두 회사 꾸준한 성장을 이끄는 핵심 품목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 조사 기관 사이넥스 ‘국내 의료기기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지혈제 시장규모는 약 2700억원으로, 복강경이나 내시경 수술 등의 증가로 연평균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티앤알바이오팹은 매트릭스 제형 복합 지혈제와 파우더 제형 지혈제 등을 통해 현재 국내 지혈제 시장 점유율 약 77%를  차지하고 있는 수입 지혈제 제품을 국산으로 대체하겠다는 목표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이기일 차관, 32년 정든 복지부 떠났다…“감사했다, 의료계‧정부 같이 가야”
김남주바이오 "증상 완화 넘어 근본 개선"…약국 맞춤 건기식 솔루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티앤알바이오팹,이연제약 공동개발 ‘매트릭스 제형 복합 지혈제’ 인허가 획득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티앤알바이오팹,이연제약 공동개발 ‘매트릭스 제형 복합 지혈제’ 인허가 획득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