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만에 유용한 건강기능식품
비만은 질병으로 인정되어 있기에 건강기능식품에서는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준다는 기능인정을 하고 있으며,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해 과체중, 탄수화물의 지방합성억제 등의 관련 문구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체지방 과다는 생활습관병의 원인이 되며,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증가와도 밀접하게 연관되므로 건강기능식품 소재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며 동시에 시장에서의 점유율도 가장 크다. 이 영역 제품들은 영양 과다 섭취로 인한 체지방 증가뿐만 아니라 고령자의 근육 감소에 따른 체지방 상대비율의 증가도 건강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국내뿐만 아니라 선진국 시장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2. 식약처에서 인정한 고시형·개별인정형 원료
매우 높음(위험도〉3배) | 중등도(위험도:2~3배) | 약간 높음(위험도:1~2배) |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 관상동맥성 심장질환 | 암(유방암, 자궁내막암, 대장암) |
담낭질환 | 중풍 | 생식기 호르몬 이상 |
고지혈증 | 고혈압 | 다낭종성 난소증후군 |
인슐린저항 | 골관절염(슬관절) | 수정이상 |
수면무호흡증 | 고요산증, 통풍 | 요통 |
고시형 원료로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공액리놀레산, 녹차추출물, 키토산/키토올리고당의 4종이 등록되어 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탄수화물을 주 에너지원으로 섭취하는 우리나라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소재, 즉 여분의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전환하는 효소(ATP – citrate lyase)를 억제하여 체지방 생성을 제어함으로써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증명 되었다.
CJ 팻다운의 주원료이었으나 최근 간독성에 대한 보고가 있어 안전성 이슈가 문제시 되고 있다.
이 외에도 함유된 테오필린, 테오브로민이 지방 가수분해를 촉진시켜 체지방 감소에 따른 비만 제어 효과로 나타난다. 열 발생은 녹차 성분이 노르에피네프린 분해를 억제해 노르에피네프린의 체열 발생을 높여주는 시간을 연장시켜주는 효과에 기인 한다.
고시형 기능성원료 | 기능성내용 |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공액리놀레산 | 과체중인 성인의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녹차추출물 | 항산화·체지방 감소·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키토산/키토올리고당 |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개별인정형 원료에는 Bifidobacterium breve B-3 프로바이오틱스, Lactobacillus gasseri BNR17(2014-5호), Lactobacillus gasseri BNR17(2017-6호), L-카르니틴 타르트레이트, Lactobacillus 복합물 HY7601 + KY1032, 그린커피빈주정추출물, 그린커피빈추출물, 깻잎추출물(PF501), 다이크로스타키스글로메라타추출물(Dyglomera®), 돌외잎주정추출분말, 락토페린(우유정제단백질), 레몬밤추출물혼합분말, 레몬버베나추출물 등 복합물(티에뜨레®), 미역 등 복합추출물(잔티젠), 보이차추출물, 사삼추출물, 산수유추출물등복합물, 서목태(쥐눈이콩)펩타이드, 수국잎열수추출물(리세린지®), 시서스추출물, 씨제이 히비스커스 등 복합추출물, 양춘사추출물, 옥수수수염·레몬밤추출복합물(CL-5MoA), 와사비잎추출물(NCWL01), 와일드 망고 종자추출물(IGOB131), 자몽추출물등 복합물(Sinetrol), 콜레우스포스콜리추출물, 크릴오일(SuperbaTM Boost), 풋사과추출물 애플페논(Applephenon), 핑거루트추출분말(판두라틴), 해국추출물 31종이 등록되어 개별인정 기능영역 중 가장 많은 소재를 보유하고 있다.
체지방 감소는 성인병 예방 뿐만 아니라 삶의 질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건강기능식품 영역에 해당되며 시장도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영역 소재의 특징은 체지방 감소 외에도 혈중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감소 이에 따른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에 대한 예방으로도 이어져 두 개 혹은 세 개의 기능성을 동시에 갖는다는 것이다.
최근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있어 식약처가 동일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건강기능식품 사용에 대해 제한 규정을 두고 있으니 약사분들은 조제시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효능이 이중, 삼중으로 나타나면 반대급부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안전성이라는 측면의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4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체지방감소 건강기능식품은 생활습관병 모두에 대한 예방도 되므로 운동부족과 스트레스에 의한 과체중인 분에게는 반드시 섭취를 권하고 싶고, 누구나 한번씩은 섭취 해본 경험이 있는 영역이다. 단지 이런 다양한 효능이, 동일효능의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과 겹쳐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니 약사분들은 전문가답게 소비자의 선택을 잘 유도해주기 바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플랫폼 기술'로 초대박 친 '에이비엘바이오' 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2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수출액 톱5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한미 SK바이오팜 GC녹십자’ |
3 | [뷰티누리×트렌디어] 2025년 1Q 메가와리… 일본서 K-뷰티 저력 재확인 |
4 | 유럽 제약시장, 미국 관세 압박에 '흔들' |
5 | [기업분석] 디와이디, 2024년 591억 순손실…적자지속 |
6 | 디앤디파마텍, MASH 치료제 ‘DD01’ 미국 임상2상 12주차 투약 완료 |
7 | 유석환 대표 "로킷헬스케어, 재생의료 기술로 '근본 치료' 시대 열 것" |
8 | [전문가 칼럼] 일본 여성들의 메이크업을 이해해야 '다음'이 있다 |
9 | 에이프로젠 "AP헬스케어,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면제로 조기 수익 기대" |
10 | "스킨케어에 장수 더해라"…민텔, 미국 공략 K-뷰티 전략 제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1. 비만에 유용한 건강기능식품
비만은 질병으로 인정되어 있기에 건강기능식품에서는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준다는 기능인정을 하고 있으며,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해 과체중, 탄수화물의 지방합성억제 등의 관련 문구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체지방 과다는 생활습관병의 원인이 되며,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증가와도 밀접하게 연관되므로 건강기능식품 소재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며 동시에 시장에서의 점유율도 가장 크다. 이 영역 제품들은 영양 과다 섭취로 인한 체지방 증가뿐만 아니라 고령자의 근육 감소에 따른 체지방 상대비율의 증가도 건강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국내뿐만 아니라 선진국 시장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2. 식약처에서 인정한 고시형·개별인정형 원료
매우 높음(위험도〉3배) | 중등도(위험도:2~3배) | 약간 높음(위험도:1~2배) |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 관상동맥성 심장질환 | 암(유방암, 자궁내막암, 대장암) |
담낭질환 | 중풍 | 생식기 호르몬 이상 |
고지혈증 | 고혈압 | 다낭종성 난소증후군 |
인슐린저항 | 골관절염(슬관절) | 수정이상 |
수면무호흡증 | 고요산증, 통풍 | 요통 |
고시형 원료로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공액리놀레산, 녹차추출물, 키토산/키토올리고당의 4종이 등록되어 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탄수화물을 주 에너지원으로 섭취하는 우리나라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소재, 즉 여분의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전환하는 효소(ATP – citrate lyase)를 억제하여 체지방 생성을 제어함으로써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증명 되었다.
CJ 팻다운의 주원료이었으나 최근 간독성에 대한 보고가 있어 안전성 이슈가 문제시 되고 있다.
이 외에도 함유된 테오필린, 테오브로민이 지방 가수분해를 촉진시켜 체지방 감소에 따른 비만 제어 효과로 나타난다. 열 발생은 녹차 성분이 노르에피네프린 분해를 억제해 노르에피네프린의 체열 발생을 높여주는 시간을 연장시켜주는 효과에 기인 한다.
고시형 기능성원료 | 기능성내용 |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공액리놀레산 | 과체중인 성인의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녹차추출물 | 항산화·체지방 감소·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키토산/키토올리고당 |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개별인정형 원료에는 Bifidobacterium breve B-3 프로바이오틱스, Lactobacillus gasseri BNR17(2014-5호), Lactobacillus gasseri BNR17(2017-6호), L-카르니틴 타르트레이트, Lactobacillus 복합물 HY7601 + KY1032, 그린커피빈주정추출물, 그린커피빈추출물, 깻잎추출물(PF501), 다이크로스타키스글로메라타추출물(Dyglomera®), 돌외잎주정추출분말, 락토페린(우유정제단백질), 레몬밤추출물혼합분말, 레몬버베나추출물 등 복합물(티에뜨레®), 미역 등 복합추출물(잔티젠), 보이차추출물, 사삼추출물, 산수유추출물등복합물, 서목태(쥐눈이콩)펩타이드, 수국잎열수추출물(리세린지®), 시서스추출물, 씨제이 히비스커스 등 복합추출물, 양춘사추출물, 옥수수수염·레몬밤추출복합물(CL-5MoA), 와사비잎추출물(NCWL01), 와일드 망고 종자추출물(IGOB131), 자몽추출물등 복합물(Sinetrol), 콜레우스포스콜리추출물, 크릴오일(SuperbaTM Boost), 풋사과추출물 애플페논(Applephenon), 핑거루트추출분말(판두라틴), 해국추출물 31종이 등록되어 개별인정 기능영역 중 가장 많은 소재를 보유하고 있다.
체지방 감소는 성인병 예방 뿐만 아니라 삶의 질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건강기능식품 영역에 해당되며 시장도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영역 소재의 특징은 체지방 감소 외에도 혈중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감소 이에 따른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에 대한 예방으로도 이어져 두 개 혹은 세 개의 기능성을 동시에 갖는다는 것이다.
최근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있어 식약처가 동일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건강기능식품 사용에 대해 제한 규정을 두고 있으니 약사분들은 조제시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효능이 이중, 삼중으로 나타나면 반대급부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안전성이라는 측면의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4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체지방감소 건강기능식품은 생활습관병 모두에 대한 예방도 되므로 운동부족과 스트레스에 의한 과체중인 분에게는 반드시 섭취를 권하고 싶고, 누구나 한번씩은 섭취 해본 경험이 있는 영역이다. 단지 이런 다양한 효능이, 동일효능의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과 겹쳐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니 약사분들은 전문가답게 소비자의 선택을 잘 유도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