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업신문의 창간 이후 현재까지의 족적
약업신문은 오늘로서 창간 70주년을 맞았습니다. 약업신문은 창간호가 발행된 1954년부터 2024년 현재까지 지난 70년을 전문언론의 사명과 본령과 지켜오는데 최선을 다해왔으며 이와 더불어 대한민국 약업계의 동반자이자 조력자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해 온 바 있습니다. 창간 70주년을 맞은 약업신문은 이제 단순 전문언론매체로서의 역할을 뛰어 넘어 국민건강과 보건의료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헬스케어그룹으로서의 사명과 기능에 충실할 것입니다. 빅데이터 및 AI 솔루션을 활용한 미래가치 콘텐츠를 개발하고 정보산업의 무궁한 잠재적 가치를 기반으로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일익을 담당함은 물론 지속경영을 통한 100년기업으로 거듭날 것을 다짐합니다. <편집자>
1 1954년 3월 29일 약업신문 창간
한국전쟁이 끝난후 정부는 1953년 약사법(藥事法)을 제정하였고 제약업계와 의약품 유통업계는 전란의 아픈 상처를 씻어내고 폐허 속에서 약업을 재건하는 데 분망하던 상황에서 약업신문의 전신인 약사시보’(藥事時報)가 1954년 3월29일 창간되었습니다. 타블로이드판 4면 주1회 발행된 약사시보는 사실상 우리나라 전문언론 사상 가장 오랜 연륜과 전통을 자랑하는 본격적인 의약전문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후 약사시보는 1960년 ‘약업신문’(藥業新聞)으로 제호를 변경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2 동암약의상 제정
약업신문은 사회공헌,문화사업,산업진흥을 위한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도 꾸준히 이어오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약업계의 노벨상’으로 일컬어지는 [동암 藥의賞]을 1961년 제정하여 약학, 제약, 공직 개국, 유통 등 약업계 전 분야에 걸쳐 공이 많은 유공자를 발굴, 시상해 오고 있는데 지난 2022년 제58회 때까지 총 223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바 있습니다.
3 10년단위 대형기획 출판물 발간
약업신문은 한국 전문언론사상 최초의 지령5천호(2007년2월) 돌파를 기념해 100면에 달하는 특별기획특집을 발행한바 있습니다. 이후 10년 단위의 특별기획을 통해 신약개발심포지엄(1994년), 제약기술거래심포지움(2004년), 국제신약개발심포지움(2014년)을 개최하고 기념사업으로 △한국약업사(1972년/한국약업사 대하기획) △수입의약품총람(1984년/창간30주년) △한국약업100년 (2004년/창간50주년) △한국제약100년 (2014년/창간60주년) 등 한국약업계의 기념비적인 대형 출판물을 연속으로 출간한 바 있습니다.
4 학술잡지 월간 의약정보 창간
약업신문은 자매지로 1975년 9월 개국약사를 위한 전문잡지 월간 의약정보를 창간하여 약사 학술지식 증진과 약국경영 개선에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창간 이후 지금까지 단 한번의 결호도 없이 발행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의약정보는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콘텐츠상(우수잡지) 올해를 포함 총 5회 수상한 바 있습니다. 의약정보는 질환별 기획특집을 주요테마로 진단과치료, 약물작용원리,임상현장 핫이슈, 약품정보 등 주요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 화장품신문 창간
약업신문은 1992년 9월 화장품법이 발효됨과 동시에 본지 섹션으로 발행되고 있던 장업판을 확대, 개편하여 화장품신문을 창간했습니다. 화장품신문은 창간과 동시에 화장품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담당했으며 당시 2만여개가 넘는 화장품전문점이 성업하게 하는 등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6 의료보험약가기준액표 발간
의료보험약가기준액표(약제급여목록 및 급여상한금액표)는 1993년 5월 건강보험요양기관의 편의를 위해 보건복지부 고시를 기준으로 약업신문이 매년 7만부를 제작, 무료 배포하여 처방과 조제업무에 크게 활용됨은 물론 의약품 유통관리 업무에도 기여하였습니다. 이 책자는 발간이 계속되는 가운데 요양기관의 확대와 보험급여 대상 품목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지속적인 볼륨확대가 이어지고 사용자의 편의성 확대와 효율성 제고차원에서 약가비교는 물론 성분별 효능효과를 보강하는 등 편집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뤄진바 있습니다.
7 인쇄전문회사 YSP설립과 파주공장 준공
약업신문은 2004년 4월파주출판단지에 대지 500평, 건평 700평 부지에 4색 옵셋기 4대 고속 윤전기를 운영할수 있는 인쇄전문 공장을 건립하였습니다. 이로써 앞서 설립된 YSP를 통해 최신시설을 갖춘 신문 및 인쇄출판 업무의 전문화를 도모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곳을 통해 약사연감(1976년) 파마시인코리아(1977년) 의료보험약가책자(1993년) 한국제약기업총람(2016년) 등을 해마다 정기적으로 발간하여 보건의료계와 제약산업계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글로벌 트렌드를 제공해 오고 있습니다.
8 약업닷컴(YAKUP.COM) 개통, 온 오프라인 병행
전산과 온라인을 통한 정보제공을 시도한 약업신문은 초창기 정보통신망 운용(1996년 하이텔,1998년 천리안)을 통해
9 뉴스콘텐츠 통합 및 DB구축 활용
약업신문은 2023년 전문언론 최초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콘텐츠 디지털화 지원사업 대상매체로 선정되어 창간호부터 약 8년간(1962년) 발행된 신문지면의 스캔, 사진 이미지보정 및 PDF변환, 본문 텍스트 검색 등 1차 디지털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자체예산으로 1990년부터 1999년까지의 지면스캔과 이미지화일화 작업을 마무리한 바 있습니다.
약업신문 디지털 뉴스 콘텐츠는 향후 DB화를 위한 통합작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약업신문 자료DB는 지난 70년간 기사 및 이미지(사진)에 대한 간편 검색이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10. 약국경영대상 등 약업문화창달 위한 다양한 행사
약업신문이 주최하는 약국레이아웃콘테스트는 지난 1974년 시작된 이래 2007년 [약국경영대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2023년 제49회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약업인산업시찰단(1966년) △의약업인 바둑대회(1968년) △약업인친선 등반대회(1969년) △약업인친선 축구대회(1974년/ 1979년부터 야구대회로 변경) △의약업인 사진촬영대회(1975년) 등을 주최한 바 있습니다.
<선진제약기업 시찰을 위해 일본을 방문한 우리제약사 대표들>
11 정부 훈장 포장 수훈
전문언론매체로서 기능을 충실해 해 온 약업신문에 대한 평가는 1967년 12월 문화공보부 장관 표창(지령1천호 돌파)을 시작으로 △1982년 4월 보건의날 국민훈장 목련장 △1996년 △2000년 10월 문화훈장 보관장 △2002년 10월 문화훈장 보관장 △2006년 10월 보관문화훈장 등 수 회에 걸친 정부 기관의 훈포장 수훈을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습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국내 연구진,메지온 '유데나필' 통한 폰탄 환자 치료 가능성 제시 |
2 | 4분기 기대 이하 동아에스티·한미약품…”R&D로 반등 노린다” |
3 | 고환율·고물가 시대 화장품 가격정책 '극과극' |
4 | “유방암 표적치료제 ‘버제니오’ 급여화해달라” 14일 복지위 심의 |
5 | [레츠고 U.P-바이오시밀러 7] “도입만으로도 약가 인하·치료 접근성 확대 등 파급효과” |
6 | 남들보다 작은 우리 아이, 성장호르몬 치료 괜찮을까? |
7 | 샤페론,아토치 피료제 '누겔' 미국 FDA 임상2b상 파트1 성공 |
8 | '권영희 호' 전문성 바탕으로 공정한 인선 나선다...추천-공모 동시 |
9 | HLB, 간암신약 미국 FDA CMC 실사 완료.."3가지 경미한 사항 지적" |
10 | 현대ADM, 먹는 '도세탁셀·파클리탁셀' 암치료 효능 전임상 결과 발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약업신문의 창간 이후 현재까지의 족적
약업신문은 오늘로서 창간 70주년을 맞았습니다. 약업신문은 창간호가 발행된 1954년부터 2024년 현재까지 지난 70년을 전문언론의 사명과 본령과 지켜오는데 최선을 다해왔으며 이와 더불어 대한민국 약업계의 동반자이자 조력자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해 온 바 있습니다. 창간 70주년을 맞은 약업신문은 이제 단순 전문언론매체로서의 역할을 뛰어 넘어 국민건강과 보건의료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헬스케어그룹으로서의 사명과 기능에 충실할 것입니다. 빅데이터 및 AI 솔루션을 활용한 미래가치 콘텐츠를 개발하고 정보산업의 무궁한 잠재적 가치를 기반으로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일익을 담당함은 물론 지속경영을 통한 100년기업으로 거듭날 것을 다짐합니다. <편집자>
1 1954년 3월 29일 약업신문 창간
한국전쟁이 끝난후 정부는 1953년 약사법(藥事法)을 제정하였고 제약업계와 의약품 유통업계는 전란의 아픈 상처를 씻어내고 폐허 속에서 약업을 재건하는 데 분망하던 상황에서 약업신문의 전신인 약사시보’(藥事時報)가 1954년 3월29일 창간되었습니다. 타블로이드판 4면 주1회 발행된 약사시보는 사실상 우리나라 전문언론 사상 가장 오랜 연륜과 전통을 자랑하는 본격적인 의약전문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후 약사시보는 1960년 ‘약업신문’(藥業新聞)으로 제호를 변경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2 동암약의상 제정
약업신문은 사회공헌,문화사업,산업진흥을 위한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도 꾸준히 이어오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약업계의 노벨상’으로 일컬어지는 [동암 藥의賞]을 1961년 제정하여 약학, 제약, 공직 개국, 유통 등 약업계 전 분야에 걸쳐 공이 많은 유공자를 발굴, 시상해 오고 있는데 지난 2022년 제58회 때까지 총 223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바 있습니다.
3 10년단위 대형기획 출판물 발간
약업신문은 한국 전문언론사상 최초의 지령5천호(2007년2월) 돌파를 기념해 100면에 달하는 특별기획특집을 발행한바 있습니다. 이후 10년 단위의 특별기획을 통해 신약개발심포지엄(1994년), 제약기술거래심포지움(2004년), 국제신약개발심포지움(2014년)을 개최하고 기념사업으로 △한국약업사(1972년/한국약업사 대하기획) △수입의약품총람(1984년/창간30주년) △한국약업100년 (2004년/창간50주년) △한국제약100년 (2014년/창간60주년) 등 한국약업계의 기념비적인 대형 출판물을 연속으로 출간한 바 있습니다.
4 학술잡지 월간 의약정보 창간
약업신문은 자매지로 1975년 9월 개국약사를 위한 전문잡지 월간 의약정보를 창간하여 약사 학술지식 증진과 약국경영 개선에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창간 이후 지금까지 단 한번의 결호도 없이 발행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의약정보는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콘텐츠상(우수잡지) 올해를 포함 총 5회 수상한 바 있습니다. 의약정보는 질환별 기획특집을 주요테마로 진단과치료, 약물작용원리,임상현장 핫이슈, 약품정보 등 주요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 화장품신문 창간
약업신문은 1992년 9월 화장품법이 발효됨과 동시에 본지 섹션으로 발행되고 있던 장업판을 확대, 개편하여 화장품신문을 창간했습니다. 화장품신문은 창간과 동시에 화장품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담당했으며 당시 2만여개가 넘는 화장품전문점이 성업하게 하는 등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6 의료보험약가기준액표 발간
의료보험약가기준액표(약제급여목록 및 급여상한금액표)는 1993년 5월 건강보험요양기관의 편의를 위해 보건복지부 고시를 기준으로 약업신문이 매년 7만부를 제작, 무료 배포하여 처방과 조제업무에 크게 활용됨은 물론 의약품 유통관리 업무에도 기여하였습니다. 이 책자는 발간이 계속되는 가운데 요양기관의 확대와 보험급여 대상 품목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지속적인 볼륨확대가 이어지고 사용자의 편의성 확대와 효율성 제고차원에서 약가비교는 물론 성분별 효능효과를 보강하는 등 편집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뤄진바 있습니다.
7 인쇄전문회사 YSP설립과 파주공장 준공
약업신문은 2004년 4월파주출판단지에 대지 500평, 건평 700평 부지에 4색 옵셋기 4대 고속 윤전기를 운영할수 있는 인쇄전문 공장을 건립하였습니다. 이로써 앞서 설립된 YSP를 통해 최신시설을 갖춘 신문 및 인쇄출판 업무의 전문화를 도모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곳을 통해 약사연감(1976년) 파마시인코리아(1977년) 의료보험약가책자(1993년) 한국제약기업총람(2016년) 등을 해마다 정기적으로 발간하여 보건의료계와 제약산업계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글로벌 트렌드를 제공해 오고 있습니다.
8 약업닷컴(YAKUP.COM) 개통, 온 오프라인 병행
전산과 온라인을 통한 정보제공을 시도한 약업신문은 초창기 정보통신망 운용(1996년 하이텔,1998년 천리안)을 통해
9 뉴스콘텐츠 통합 및 DB구축 활용
약업신문은 2023년 전문언론 최초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콘텐츠 디지털화 지원사업 대상매체로 선정되어 창간호부터 약 8년간(1962년) 발행된 신문지면의 스캔, 사진 이미지보정 및 PDF변환, 본문 텍스트 검색 등 1차 디지털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자체예산으로 1990년부터 1999년까지의 지면스캔과 이미지화일화 작업을 마무리한 바 있습니다.
약업신문 디지털 뉴스 콘텐츠는 향후 DB화를 위한 통합작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약업신문 자료DB는 지난 70년간 기사 및 이미지(사진)에 대한 간편 검색이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10. 약국경영대상 등 약업문화창달 위한 다양한 행사
약업신문이 주최하는 약국레이아웃콘테스트는 지난 1974년 시작된 이래 2007년 [약국경영대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2023년 제49회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약업인산업시찰단(1966년) △의약업인 바둑대회(1968년) △약업인친선 등반대회(1969년) △약업인친선 축구대회(1974년/ 1979년부터 야구대회로 변경) △의약업인 사진촬영대회(1975년) 등을 주최한 바 있습니다.
<선진제약기업 시찰을 위해 일본을 방문한 우리제약사 대표들>
11 정부 훈장 포장 수훈
전문언론매체로서 기능을 충실해 해 온 약업신문에 대한 평가는 1967년 12월 문화공보부 장관 표창(지령1천호 돌파)을 시작으로 △1982년 4월 보건의날 국민훈장 목련장 △1996년 △2000년 10월 문화훈장 보관장 △2002년 10월 문화훈장 보관장 △2006년 10월 보관문화훈장 등 수 회에 걸친 정부 기관의 훈포장 수훈을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