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켄바이오(대표이사 함정엽)가 안과치료제 전문기업 한림제약(대표이사 김정진), 한림제약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 상명이노베이션(대표이사 박진하), 의료용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전문기업 쿼드메디슨(대표이사 백승기)과 신약 개발을 위한 물질이전계약(Material Transfer Agreement, MTA)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계약을 통해 네오켄바이오는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와 대마 유래 엑소좀 및 대마 유래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DRN)를 3사에 제공한다. 각 회사들은 네오켄바이오가 제공한 이전 물질을 통해 경피 약물 전달 기술이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기반 기능성 화장품 및 골관절염 치료제 개발 및 신생혈관 관련 안구 내 질환 치료를 위한 안구이식제 개발에 공동으로 나설 계획이다.
네오켄바이오는 원료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칸나비디올(CBD)을 활용한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 완제품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특히 국내 최초로 헴프 유래 천연 칸나비노이드와 유도체 합성 및 대사 산물까지 광범위한 라이브러리를 구축함으로써 신규 효능 발굴, 함량 검사법 서비스 및 원료 생산 기반을 마련했다.
현재 여러 국가에서 의료용 헴프 산업을 합법화하는 추세다. 전세계적으로 대마 유래 칸나비노이드를 이용한 신약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400개 이상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또 식품•화장품 등의 분야에서도 다양한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네오켄바이오 함정엽 대표는 “국내 최대 규모 칸나비노이드 라이브러리 보유 및 고품질 대량 생산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국내외 제약회사 및 약물전달시스템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칸나비노이드 신약 개발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 '대마의 산업적 활용에 대한 국내외 규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대마 세계 시장 규모는 200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의료용 대마 시장 경우 연평균 22.1% 성장해 2024년 51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확장과 변화, 경계를 넘어" 제20회 경기약사학술대회 개막 |
2 | “합성제제 부작용 넘는다”…천연물 기반 GLP-1 등장 |
3 | “지금 손에 들고 있는 커피와 빵, ‘당독소’ 주범입니다” |
4 | 아미코젠,차세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비임상 착수..글로벌 SC 제형 주도가속 |
5 | 자누비아 약가 차액 두고 종근당·MSD 공방…피해는 유통업계 몫? |
6 | 수술 돌발상황도 AI가 스스로 대처…"의사 없는 로봇 수술 시대 임박" |
7 | 프롬바이오,지방유래 줄기세포 기반 탈모치료제 비임상서 발모 효과 입증 |
8 | 하반기 ‘바이오베터’ 후보물질 개발 착수…산‧학‧연 컨소시엄 9월까지 선정 |
9 | 미국 환자 1,300만 PTSD 치료제 FDA ‘혁신 치료제’ 지정 |
10 | 지투지바이오-베링거,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 협력 확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네오켄바이오(대표이사 함정엽)가 안과치료제 전문기업 한림제약(대표이사 김정진), 한림제약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 상명이노베이션(대표이사 박진하), 의료용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전문기업 쿼드메디슨(대표이사 백승기)과 신약 개발을 위한 물질이전계약(Material Transfer Agreement, MTA)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계약을 통해 네오켄바이오는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와 대마 유래 엑소좀 및 대마 유래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DRN)를 3사에 제공한다. 각 회사들은 네오켄바이오가 제공한 이전 물질을 통해 경피 약물 전달 기술이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기반 기능성 화장품 및 골관절염 치료제 개발 및 신생혈관 관련 안구 내 질환 치료를 위한 안구이식제 개발에 공동으로 나설 계획이다.
네오켄바이오는 원료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칸나비디올(CBD)을 활용한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 완제품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특히 국내 최초로 헴프 유래 천연 칸나비노이드와 유도체 합성 및 대사 산물까지 광범위한 라이브러리를 구축함으로써 신규 효능 발굴, 함량 검사법 서비스 및 원료 생산 기반을 마련했다.
현재 여러 국가에서 의료용 헴프 산업을 합법화하는 추세다. 전세계적으로 대마 유래 칸나비노이드를 이용한 신약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400개 이상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또 식품•화장품 등의 분야에서도 다양한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네오켄바이오 함정엽 대표는 “국내 최대 규모 칸나비노이드 라이브러리 보유 및 고품질 대량 생산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국내외 제약회사 및 약물전달시스템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칸나비노이드 신약 개발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 '대마의 산업적 활용에 대한 국내외 규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대마 세계 시장 규모는 200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의료용 대마 시장 경우 연평균 22.1% 성장해 2024년 51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