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최근 전세계 풍토병(Endemic)을 해결하고 공평한 백신 접근성 증진하기 위해 백신 연구 개발을 위한 우선순위가 높은 17개 병원체 새로운 목록을 발표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가 11일 낸 '이슈 브리핑'에 따르면 WHO 예방접종 의제 '2030'(IA2030)과 연계된 이 최초 이니셔티브는 특히 저소득 및 중간 소득 지역에서 심각한 공중 보건 부담, 높은 항생제 내성(AMR) 및 주요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치는 병원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일부 지역 및 글로벌 백신 우선순위 목록이 개발됐지만 풍토병 병원체에 대한 개발중인 백신에 초점을 맞춘 목록은 없었다.
이번 긴급백신이 필요한 풍토병 병원체 우선순위 지정 연구는 전 세계 면역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사용했으며, 전문가들은 사망률, 항생제 내성 우려 및 지역 질병 영향과 같은 기준에 따라 병원체 순위를 매겼다.
'새로운 백신 연구 필요-추가 백신 개발 필요-규제 승인 임박 백신 ' 등 세 범주 병원체
우선 순위로 지정된 17가지 병원체는 잠재적 백신의 개발 단계에 따라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
'새로운 백신 연구가 필요한 병원체'는 4개로 A군 연쇄상구균, C형 간염 바이러스, HIV-1 및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이 포함된다. 이러한 병원체에 대한 새로운 백신은 전 세계적으로 충족되지 않은 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급히 필요하다.
'추가 백신 개발이 필요한 병원체'는 8개로 이 범주에는 거대세포바이러스, 리슈마니아 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광범위한 보호 백신용), Plasmodium falciparum(말라리아),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노로바이러스, 시겔라 종 및 황색포도상구균이 포함된다. 이러한 병원체는 특히 항생제 내성(AMR) 발병률이 증가하는 지역에서 심각한 보건 및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규제 승인이 임박한 병원체'는 5개로 이러한 병원체에는 뎅기열 바이러스, B군 연쇄상구균, 장외 병원성 대장균,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및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가 포함된다. 이 범주에 속하는 백신은 정책 권고와 잠재적 공공 사용에 가까워지고 있다.
WHO 면역, 백신 및 생물학적 제제 부서 책임자인 케이트 오브라이언(Kate O'Brien)은 이번 연구가 백신 개발에서 수익 중심 접근 방식에서 필요 기반 접근 방식으로 전환을 강조했다.
그녀는 "지역별 전문성과 증거에 기반한 이 우선순위 지정 과정은 생명을 구할 뿐만 아니라 가족과 시스템상 의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백신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WHO R&D 청사진(WHO R&D BLUEPRINT)은 전염병 가능성이 있는 우선 순위 병원체를 식별했으나 풍토성 병원체(즉, 주어진 인구 집단 내에서 정기적으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에 대해서는 이러한 글로벌 우선순위가 수행되지 않았다. 이번 WHO 병원체 목록은 자금 제공자, 학계 및 제조업체에게 영향력이 큰 백신 R&D로 안내해 보다 탄력적인 글로벌 보건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지정됐다.
이에 대해 한국바이오협회는 " COVID-19와 같은 잠재적인 전염병 병원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염병 위협에 대한 WHO의 R&D 청사진을 보완하는 이 새로운 풍토병 중심 목록은 현재와 미래 글로벌 보건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삼천당제약,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시작 |
2 | 제약바이오 3분기 평균 총차입금 코스피 2353억원, 코스닥 589억원...전년비↑ |
3 | 유통업계, 물류대전 심화된다 |
4 | 제약바이오 3분기 이자비용 및 이자보상배율...코스피 증가, 코스닥은 감소 |
5 | AZㆍ다이이찌 산쿄 새 유방암 치료제 FDA 승인 |
6 | 미국 WHO 이탈…한국 공중보건·외교 전략은 어디로? |
7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8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9 | 화장품기업 2024년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 17.26% …전년比 0.05%p↓ |
10 |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가총액, 삼성바이오로직스 11위·셀트리온 20위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세계보건기구(WHO)가 최근 전세계 풍토병(Endemic)을 해결하고 공평한 백신 접근성 증진하기 위해 백신 연구 개발을 위한 우선순위가 높은 17개 병원체 새로운 목록을 발표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가 11일 낸 '이슈 브리핑'에 따르면 WHO 예방접종 의제 '2030'(IA2030)과 연계된 이 최초 이니셔티브는 특히 저소득 및 중간 소득 지역에서 심각한 공중 보건 부담, 높은 항생제 내성(AMR) 및 주요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치는 병원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일부 지역 및 글로벌 백신 우선순위 목록이 개발됐지만 풍토병 병원체에 대한 개발중인 백신에 초점을 맞춘 목록은 없었다.
이번 긴급백신이 필요한 풍토병 병원체 우선순위 지정 연구는 전 세계 면역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사용했으며, 전문가들은 사망률, 항생제 내성 우려 및 지역 질병 영향과 같은 기준에 따라 병원체 순위를 매겼다.
'새로운 백신 연구 필요-추가 백신 개발 필요-규제 승인 임박 백신 ' 등 세 범주 병원체
우선 순위로 지정된 17가지 병원체는 잠재적 백신의 개발 단계에 따라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
'새로운 백신 연구가 필요한 병원체'는 4개로 A군 연쇄상구균, C형 간염 바이러스, HIV-1 및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이 포함된다. 이러한 병원체에 대한 새로운 백신은 전 세계적으로 충족되지 않은 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급히 필요하다.
'추가 백신 개발이 필요한 병원체'는 8개로 이 범주에는 거대세포바이러스, 리슈마니아 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광범위한 보호 백신용), Plasmodium falciparum(말라리아),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노로바이러스, 시겔라 종 및 황색포도상구균이 포함된다. 이러한 병원체는 특히 항생제 내성(AMR) 발병률이 증가하는 지역에서 심각한 보건 및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규제 승인이 임박한 병원체'는 5개로 이러한 병원체에는 뎅기열 바이러스, B군 연쇄상구균, 장외 병원성 대장균,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및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가 포함된다. 이 범주에 속하는 백신은 정책 권고와 잠재적 공공 사용에 가까워지고 있다.
WHO 면역, 백신 및 생물학적 제제 부서 책임자인 케이트 오브라이언(Kate O'Brien)은 이번 연구가 백신 개발에서 수익 중심 접근 방식에서 필요 기반 접근 방식으로 전환을 강조했다.
그녀는 "지역별 전문성과 증거에 기반한 이 우선순위 지정 과정은 생명을 구할 뿐만 아니라 가족과 시스템상 의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백신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WHO R&D 청사진(WHO R&D BLUEPRINT)은 전염병 가능성이 있는 우선 순위 병원체를 식별했으나 풍토성 병원체(즉, 주어진 인구 집단 내에서 정기적으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에 대해서는 이러한 글로벌 우선순위가 수행되지 않았다. 이번 WHO 병원체 목록은 자금 제공자, 학계 및 제조업체에게 영향력이 큰 백신 R&D로 안내해 보다 탄력적인 글로벌 보건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지정됐다.
이에 대해 한국바이오협회는 " COVID-19와 같은 잠재적인 전염병 병원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염병 위협에 대한 WHO의 R&D 청사진을 보완하는 이 새로운 풍토병 중심 목록은 현재와 미래 글로벌 보건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