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제약 산업의 판도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은 기존 개발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동시에 신약 승인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6일 밝혔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글로벌 제약사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며,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AI 신약개발 시장은 28.8%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7년까지 35억 486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AI 기술을 적극 도입하며 신약개발 혁신을 이루고 있다. 노바티스와 아스트라제네카는 20여 개의 내부 연구 프로젝트와 7~8개의 외부 협력을 추진 중이며, 머크앤컴퍼니는 약물 및 표적 발굴 전문 기업 애브사이 코퍼레이션과 연구 제휴를 체결했다. 또한 사노피, 화이자 등도 AI 기반 신약개발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AI 신약개발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중 하나인 슈뢰딩거(Schrodinger)는 물리 기반 분자 모델링과 AI를 결합한 독자적 플랫폼을 통해 시장에서 큰 성과를 이뤘다. 2020년 나스닥 상장 이후 현재 슈뢰딩거의 시장가치는 20억 달러이며 작년도 매출 약 3000억원 이상을 달성하며 AI 기반 신약개발의 가능성을 증명했다.
또한 슈뢰딩거는 2024년 11월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와 최대 23억 달러(약 3조원)에 이르는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슈뢰딩거의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새로운 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협력은 단순한 계약을 넘어 디지털 신약 개발이 실제 시장에서 어떻게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언어 기반 알고리즘으로 확립된 신테카바이오의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신약의 선도물질 최적화 영역은 최강자인 슈뢰딩거가 있지만, 신약 유효물질 발굴 영역은 시장이 더 크고 다양하지만 최강자가 없는 현실 속에서 신테카바이오는 클라우드컴퓨팅 기반 독자 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를 통해 최강자의 역량 및 기반을 갖추게 됐다.
특히 합성신약, 암백신, 항체신약, 등의 유효물질 발굴 분야에 범용성을 갖춘 AI 기술이어서 글로벌 경쟁력이 강화됐다. 또한 최근 론칭한 언어모델 LM-VS(Language Model Virtual Screening)는 슈뢰딩거의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만 하면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신테카바이오는 신약개발 전주기 AI 플랫폼을 단계적으로 SaaS에 탑재해 다양한 모달리티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층을 확보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AI 인프라 프로젝트인 ‘스타케이트’에 따르면, AI 인프라 구축에 약 500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AI 기반 조기 암 진단, 환자 맞춤형 암 백신 개발에 대한 투자 및 데이터 센터 건설에 투자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테카바이오는 신생항원(Neoantigen) 예측도를 통해 환자 맞춤형 암백신 개발에 활용가치가 높은 'NEO-ARS 플랫폼뿐만 아니라 저전력, 고효율, 친환경 ABS(AI Bio Supercom)센터를 갖춘 국내 유일한 기업으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테카바이오는 DDC(DeepMatcher Drug Candidate)를 통해 국내 제약사 및 해외 글로벌 빅파마 와 긴밀하게 협업을 논의 중이며, 미국법인인 Syntekabio USA를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블록버스터 의약품 시대 끝나나?…'바이오시밀러 폭풍' 코 앞 |
2 | 환인제약, 지난해 매출 2596억원...전년동기比 12.7%↑ |
3 | 고려제약, 상품 매출과 영업이익 크게 하락...순익은 '흑자전환' |
4 | 한국 자생식물이 화장품 원료로…연구개발 활발 |
5 | 디지털 치료제 100억 달러 성장 전망…보험수가‧경제성 평가 기준 확립 요구 |
6 | 폴라리스AI파마, 지난해 영업이익 96.7% 폭락...순이익은↑ |
7 | 다계통 위축증 치료제 FDA ‘희귀의약품’ 지정 |
8 | 메디컬아이피, 비전프로로 보는 3D 인체…GTC서 첫 공개 |
9 | 제테마,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에피티크 바이덤’ 패키지 디자인 전면 리뉴얼 |
10 | 돌아오지 않는 전공의-의대생...한의협 "한의사 활용이 답"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신테카바이오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제약 산업의 판도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은 기존 개발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동시에 신약 승인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6일 밝혔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글로벌 제약사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며,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AI 신약개발 시장은 28.8%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7년까지 35억 486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AI 기술을 적극 도입하며 신약개발 혁신을 이루고 있다. 노바티스와 아스트라제네카는 20여 개의 내부 연구 프로젝트와 7~8개의 외부 협력을 추진 중이며, 머크앤컴퍼니는 약물 및 표적 발굴 전문 기업 애브사이 코퍼레이션과 연구 제휴를 체결했다. 또한 사노피, 화이자 등도 AI 기반 신약개발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AI 신약개발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중 하나인 슈뢰딩거(Schrodinger)는 물리 기반 분자 모델링과 AI를 결합한 독자적 플랫폼을 통해 시장에서 큰 성과를 이뤘다. 2020년 나스닥 상장 이후 현재 슈뢰딩거의 시장가치는 20억 달러이며 작년도 매출 약 3000억원 이상을 달성하며 AI 기반 신약개발의 가능성을 증명했다.
또한 슈뢰딩거는 2024년 11월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와 최대 23억 달러(약 3조원)에 이르는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슈뢰딩거의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새로운 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협력은 단순한 계약을 넘어 디지털 신약 개발이 실제 시장에서 어떻게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언어 기반 알고리즘으로 확립된 신테카바이오의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신약의 선도물질 최적화 영역은 최강자인 슈뢰딩거가 있지만, 신약 유효물질 발굴 영역은 시장이 더 크고 다양하지만 최강자가 없는 현실 속에서 신테카바이오는 클라우드컴퓨팅 기반 독자 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를 통해 최강자의 역량 및 기반을 갖추게 됐다.
특히 합성신약, 암백신, 항체신약, 등의 유효물질 발굴 분야에 범용성을 갖춘 AI 기술이어서 글로벌 경쟁력이 강화됐다. 또한 최근 론칭한 언어모델 LM-VS(Language Model Virtual Screening)는 슈뢰딩거의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만 하면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신테카바이오는 신약개발 전주기 AI 플랫폼을 단계적으로 SaaS에 탑재해 다양한 모달리티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층을 확보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AI 인프라 프로젝트인 ‘스타케이트’에 따르면, AI 인프라 구축에 약 500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AI 기반 조기 암 진단, 환자 맞춤형 암 백신 개발에 대한 투자 및 데이터 센터 건설에 투자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테카바이오는 신생항원(Neoantigen) 예측도를 통해 환자 맞춤형 암백신 개발에 활용가치가 높은 'NEO-ARS 플랫폼뿐만 아니라 저전력, 고효율, 친환경 ABS(AI Bio Supercom)센터를 갖춘 국내 유일한 기업으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테카바이오는 DDC(DeepMatcher Drug Candidate)를 통해 국내 제약사 및 해외 글로벌 빅파마 와 긴밀하게 협업을 논의 중이며, 미국법인인 Syntekabio USA를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