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관세 부과 소비재 가격인상 부메랑 될 수도”
美 소비자브랜드協, 트럼프 정부 무역정책에 입장문
입력 2025.02.10 06:00 수정 2025.02.10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미국에서 고용을 기준으로 할 때 최대의 국내 제조업 부문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일용소비재(CPG: consumer pakcaged goods) 산업은 총 2,200만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데다 국내총생산(GDP)에서 2조5,000억 달러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미국 내 소비재 기업을 대표하는 무역단체로 버지니아주 알링턴에 본부를 두고 있는 소비자브랜드협회(CBA)가 캐나다와 멕시코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려는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과 관련, 1일 톰 마드레키 공급사슬 담당부회장 명의로 입장문을 발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날 공개된 입장문은 일용소비재 업계에 총 2,230만여명이 재직 중이어서 미국 내 전체 고용의 10.5%를 점유하고 있는 데다 1조5,000억 달러의 근로소득을 창출하고 있고, 미국 전체 GDP에서 10%에 육박하는 몫을 차지하고 있음을 상기할 때 주목할 만한 것이다.

입장문에서 마드레키 부회장은 “일용소비재 업계가 미국 내 고용을 보호할 뿐 아니라 식‧음료, 가정용품 및 퍼스널케어 제품들의 경쟁력과 접근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취지를 두고 있는 ‘미국 우선주의 무역정책’을 전략적으로 지지한다”고 운을 뗐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 자체적으로 충당될 수 없는 원료와 투자(input)를 포함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유입되는 전체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은 자칫 소비재 가격의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국의 수출기업들에 대한 보복조치를 촉발시킬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 마드레키 부회장은 깊은 우려감을 드러내 보였다.

그는 뒤이어 “대다수의 원료와 투자가 미국 내 농업계와 토종기업들에 의해 조달되고 있지만, 소비재 기업들은 현실적인 갖가지 여건과 제한성으로 인해 전체적인 공급사슬에서 일부를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캐나다와 멕시코의 정계‧재계 리더들이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하게 협력해 가성비 높은 상품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접근성이 계속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고, 식료품 및 잡화류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는 관세가 부가되는 일이 없도록 힘을 기울여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마드레키 부회장은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 정부는 2월부터 캐나다와 멕시코로 유입되는 수입품들에 25%의 관세를 부과키로 했다가 한달 동안 유예키로 결정한 상태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무역관세 부과 소비재 가격인상 부메랑 될 수도”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무역관세 부과 소비재 가격인상 부메랑 될 수도”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