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대표 허경화 , 이하 KIMCo재단 )은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과 함께 2025년 부처협업형(의약품 ·의료기기 업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을 공고하고, 신규 과제를 모집한다 .
이 사업은 의약품·의료기기 제조업체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글로벌 수준 스마트 제조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된다. 특히 GMP( 우수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 기반의 스마트공장 모델을 확산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협업부처인 보건복지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의지원사업(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기반 구축 사업,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사업) 과 연계해 GMP 스마트공장 운영에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원 대상은 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 ·중견기업으로, 기존 제조공정을 스마트공장 기반으로 고도화하고자 하는 기업이 신청할 수 있다 . 지원금은 기업당 최대 2억 원으로 , 지원과제는 15개 내외이다 . IoT, 5G, 빅데이터, AR·VR, AI,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 자동화 설비·제어기· 센서 등 도입을 지원하며 기존 시스템의 고도화 및 연계시스템 추가 구축·연동을 위한 지원도 포함된다 .
주요 지원내용으로는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시스템 구축(데이터 분석 장비, 자동화 소프트웨어 등) ▲스마트공장 운영 최적화를 위한 AI·빅데이터 활용 ▲ GMP 환경의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온도 , 습도, 압력 등 ) ▲의약품 품질관리 및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도입 ▲클라우드 기반의 문서관리 시스템 적용 등이 있다.
사업 유형은 구축 수준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 구축 목표를 중간1 수준 이상으로 하여 , 고도화(수준 향상 ) 유형의 경우 사업기간은 9개월 , 정부지원금은 기업당 최대 2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 고도화(동일 수준 ) 유형의 경우 사업기간 6개월 동안 기업당 최대 5천만 원을 지원받는다.
접수기간은 2025년 2월 14일부터 3월 14일 17시까지며, 신청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에서 가능하다 . 자세한 사업 내용 및 신청 방법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KIMCo재단 사업 담당 부서(02-6247-0914) 로 하면 된다.
KIMCo재단 관계자는 “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의약품 및 의료기기 업종 스마트공장 보급이 확대되고, GMP 스마트공장 운영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중소 ·중견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 리보세라닙 FDA 승인 미궁 속으로…"CMC 문제 여전" |
2 |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2년 연속 순이익 1000억대 '충격 적자' |
3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FDA '혁신적 치료제 지정' 획득 |
4 | "ADC, 1차 치료제 시대 임박…혁신 표적·페이로드 기술이 승부수" |
5 | HLB테라퓨틱스, 전년 영업익 -76억원·순익 -235억원 '적자 지속' |
6 | 블록버스터 의약품 시대 끝나나?…'바이오시밀러 폭풍' 코 앞 |
7 | HLB파나진, 분자진단 매출 100억원 '임박' 전년比 17% 상승 |
8 | “또 보완?” HLB, 리보세라닙 FDA 제동…반복된 실책에 쏟아지는 의문 |
9 | 바이넥스, 수익성 지표 하락세…2024년 매출 1301억원 전년比 16% 감소 |
10 | 알테오젠,미국 '메드이뮨'사와 총 8,700억원 규모 라이선스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재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대표 허경화 , 이하 KIMCo재단 )은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과 함께 2025년 부처협업형(의약품 ·의료기기 업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을 공고하고, 신규 과제를 모집한다 .
이 사업은 의약품·의료기기 제조업체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글로벌 수준 스마트 제조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된다. 특히 GMP( 우수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 기반의 스마트공장 모델을 확산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협업부처인 보건복지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의지원사업(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기반 구축 사업,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사업) 과 연계해 GMP 스마트공장 운영에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원 대상은 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 ·중견기업으로, 기존 제조공정을 스마트공장 기반으로 고도화하고자 하는 기업이 신청할 수 있다 . 지원금은 기업당 최대 2억 원으로 , 지원과제는 15개 내외이다 . IoT, 5G, 빅데이터, AR·VR, AI,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 자동화 설비·제어기· 센서 등 도입을 지원하며 기존 시스템의 고도화 및 연계시스템 추가 구축·연동을 위한 지원도 포함된다 .
주요 지원내용으로는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시스템 구축(데이터 분석 장비, 자동화 소프트웨어 등) ▲스마트공장 운영 최적화를 위한 AI·빅데이터 활용 ▲ GMP 환경의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온도 , 습도, 압력 등 ) ▲의약품 품질관리 및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도입 ▲클라우드 기반의 문서관리 시스템 적용 등이 있다.
사업 유형은 구축 수준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 구축 목표를 중간1 수준 이상으로 하여 , 고도화(수준 향상 ) 유형의 경우 사업기간은 9개월 , 정부지원금은 기업당 최대 2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 고도화(동일 수준 ) 유형의 경우 사업기간 6개월 동안 기업당 최대 5천만 원을 지원받는다.
접수기간은 2025년 2월 14일부터 3월 14일 17시까지며, 신청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에서 가능하다 . 자세한 사업 내용 및 신청 방법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KIMCo재단 사업 담당 부서(02-6247-0914) 로 하면 된다.
KIMCo재단 관계자는 “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의약품 및 의료기기 업종 스마트공장 보급이 확대되고, GMP 스마트공장 운영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중소 ·중견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