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앤디파마텍(347850)은 개발 중인 ‘NLY01’을 포함, GLP-1 계열 약물의 파킨슨병 치료 효과에 관한 복수 연구 결과가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GLP-1 계열 약물은 원래 당뇨병 및 비만 등 대사성 질환 치료제로 허가됐지만, 이후 신경 염증을 억제 작용에 기반해 파킨슨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로 적응증이 확장되고 있다.
GLP-1 작용제는 퇴행성 뇌 질환의 근본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미세아교세포 (microglia)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신경 염증을 줄이고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같은 기전을 바탕으로 GLP-1 계열 치료제 분야 글로벌 선두주자인 노보 노디스크는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를 활용하여 알츠하이머병 환자 약 3700여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글로벌 임상3상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학계 및 산업의 관심을 반영하듯, 올해 들어 1월 Naunyn-Schmiedeberg's Archives of Pharmacology와 3월 Parkinsonism and Related Disorders 저널에 각각 GLP-1 계열 약물의 파킨슨병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가 연이어 게재됐다.
두 메타 분석 연구는 모두 디앤디파마텍에서 개발 중인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 NLY01의 임상2상 결과를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들에 결과에 따르면, GLP-1 계열 약물은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 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약군 대비 GLP-1 계열 약물 투약군에서 운동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 기능의 개선 효과도 관찰되어 퇴행성 뇌 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중요한 두 지표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LY01은 디앤디파마텍에서 개발 중인 GLP-1 계열 약물로 이미 미국 및 북미에서 255명 규모의 파킨슨병 임상 2상을 완료한 바 있다. 특히 해당 임상시험 프로토콜에서 사전 계획된 추가 분석을 통해 60세 미만의 환자군에서 위약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료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디앤디파마텍 이슬기 대표는 "연이은 최근 연구 결과는 GLP-1 계열 약물이 지닌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로서의 잠재력을 다시 한번 종합적으로 검증받은 것으로 풀이된다”며 “특히 회사는 NLY01이 전체 파킨슨병 환자의 약 30%를 차지하는 60세 미만 환자에서 질병 진행 속도를 늦추는 데 유의미한 효능을 보인 것과 동시에 다양한 GLP-1 계열 약물들의 파킨슨병 임상에서도 유사한 양상이 계속해서 확인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현재 NLY01을 포함해 다양한 GLP-1 계열 약물의 임상 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영국의 파킨슨병 전문 비영리 연구단체인 Cure Parkinson’s Trust 재단 측에서 다각적인 분석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바, 추후 해당 재단에서의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파트너링을 통한 60세 미만에서의 추가 임상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플랫폼 기술'로 초대박 친 '에이비엘바이오' 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2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수출액 톱5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한미 SK바이오팜 GC녹십자’ |
3 | [뷰티누리×트렌디어] 2025년 1Q 메가와리… 일본서 K-뷰티 저력 재확인 |
4 | 유럽 제약시장, 미국 관세 압박에 '흔들' |
5 | [기업분석] 디와이디, 2024년 591억 순손실…적자지속 |
6 | 디앤디파마텍, MASH 치료제 ‘DD01’ 미국 임상2상 12주차 투약 완료 |
7 | 유석환 대표 "로킷헬스케어, 재생의료 기술로 '근본 치료' 시대 열 것" |
8 | [전문가 칼럼] 일본 여성들의 메이크업을 이해해야 '다음'이 있다 |
9 | 에이프로젠 "AP헬스케어,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면제로 조기 수익 기대" |
10 | "스킨케어에 장수 더해라"…민텔, 미국 공략 K-뷰티 전략 제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디앤디파마텍(347850)은 개발 중인 ‘NLY01’을 포함, GLP-1 계열 약물의 파킨슨병 치료 효과에 관한 복수 연구 결과가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GLP-1 계열 약물은 원래 당뇨병 및 비만 등 대사성 질환 치료제로 허가됐지만, 이후 신경 염증을 억제 작용에 기반해 파킨슨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로 적응증이 확장되고 있다.
GLP-1 작용제는 퇴행성 뇌 질환의 근본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미세아교세포 (microglia)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신경 염증을 줄이고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같은 기전을 바탕으로 GLP-1 계열 치료제 분야 글로벌 선두주자인 노보 노디스크는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를 활용하여 알츠하이머병 환자 약 3700여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글로벌 임상3상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학계 및 산업의 관심을 반영하듯, 올해 들어 1월 Naunyn-Schmiedeberg's Archives of Pharmacology와 3월 Parkinsonism and Related Disorders 저널에 각각 GLP-1 계열 약물의 파킨슨병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가 연이어 게재됐다.
두 메타 분석 연구는 모두 디앤디파마텍에서 개발 중인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 NLY01의 임상2상 결과를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들에 결과에 따르면, GLP-1 계열 약물은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 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약군 대비 GLP-1 계열 약물 투약군에서 운동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 기능의 개선 효과도 관찰되어 퇴행성 뇌 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중요한 두 지표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LY01은 디앤디파마텍에서 개발 중인 GLP-1 계열 약물로 이미 미국 및 북미에서 255명 규모의 파킨슨병 임상 2상을 완료한 바 있다. 특히 해당 임상시험 프로토콜에서 사전 계획된 추가 분석을 통해 60세 미만의 환자군에서 위약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료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디앤디파마텍 이슬기 대표는 "연이은 최근 연구 결과는 GLP-1 계열 약물이 지닌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로서의 잠재력을 다시 한번 종합적으로 검증받은 것으로 풀이된다”며 “특히 회사는 NLY01이 전체 파킨슨병 환자의 약 30%를 차지하는 60세 미만 환자에서 질병 진행 속도를 늦추는 데 유의미한 효능을 보인 것과 동시에 다양한 GLP-1 계열 약물들의 파킨슨병 임상에서도 유사한 양상이 계속해서 확인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현재 NLY01을 포함해 다양한 GLP-1 계열 약물의 임상 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영국의 파킨슨병 전문 비영리 연구단체인 Cure Parkinson’s Trust 재단 측에서 다각적인 분석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바, 추후 해당 재단에서의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파트너링을 통한 60세 미만에서의 추가 임상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