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오상기)가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가 제프티(Xafty)의 아데노바이러스 및 인플루엔자(H1N1) 치료제 동물효능시험을 추가 승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제프티는 조류독감(H5N1)에 이어 신종 플루(H1N1)와 아데노바이러스까지 치료효과를 평가하는 동물실험 적응증이 확장됐다.
단일 항바이러스제가 세 가지 감염병(H5N1, H1N1, 아데노바이러스)에 적용되는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로 NIH에 의해 동물실험이 승인 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번 공동연구는 2023년 8월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미국 자회사와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간 체결되고 5년 동안 유효한 협약(NCEA)에 근거해 최근까지 진행된 양 기관 간 전문가 회의를 통해 구체화됐다. 특히 최근 승인된 Influenza(인플루엔자), Adenovirus(아데노바이러스)에 이어 향후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Mpox(원숭이두창)까지 적응증을 확대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기존 항바이러스제는 특정 바이러스만을 표적으로 개발됐으나, 약물 개발 속도가 느려 변이 발생 시 약효 저하 및 신종 감염병에 대한 신속 대응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에 COVID-19 이후 미래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다중 감염병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범용 항바이러스제(Broad Spectrum Antiviral, BSA) 개발 필요성이 전문가들에 의해 제기돼 왔다.
NIAID의 제프티 동물실험 승인은 감염병 치료 방식 혁신을 의미하며, 특히 NIH가 제프티의 광범위한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후 동물실험을 승인한 것은 이례적 결정으로,신속한 제프티 임상 진행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현대바이오 배병준 전략 부문 사장은 "NIH가 단일 약물로 세 가지 감염병에 대한 동물실험을 진행하는 것은 감염병 치료제 개발 방식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하며, 범용 항바이러스제 개발은 넥스트 팬데믹 대비 글로벌 보건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대응 수단이 추가로 확보되는 측면에서 획기적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플랫폼 기술'로 초대박 친 '에이비엘바이오' 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2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수출액 톱5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한미 SK바이오팜 GC녹십자’ |
3 | [뷰티누리×트렌디어] 2025년 1Q 메가와리… 일본서 K-뷰티 저력 재확인 |
4 | 유럽 제약시장, 미국 관세 압박에 '흔들' |
5 | [기업분석] 디와이디, 2024년 591억 순손실…적자지속 |
6 | 디앤디파마텍, MASH 치료제 ‘DD01’ 미국 임상2상 12주차 투약 완료 |
7 | 유석환 대표 "로킷헬스케어, 재생의료 기술로 '근본 치료' 시대 열 것" |
8 | [전문가 칼럼] 일본 여성들의 메이크업을 이해해야 '다음'이 있다 |
9 | 에이프로젠 "AP헬스케어,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면제로 조기 수익 기대" |
10 | "스킨케어에 장수 더해라"…민텔, 미국 공략 K-뷰티 전략 제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오상기)가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가 제프티(Xafty)의 아데노바이러스 및 인플루엔자(H1N1) 치료제 동물효능시험을 추가 승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제프티는 조류독감(H5N1)에 이어 신종 플루(H1N1)와 아데노바이러스까지 치료효과를 평가하는 동물실험 적응증이 확장됐다.
단일 항바이러스제가 세 가지 감염병(H5N1, H1N1, 아데노바이러스)에 적용되는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로 NIH에 의해 동물실험이 승인 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번 공동연구는 2023년 8월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미국 자회사와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간 체결되고 5년 동안 유효한 협약(NCEA)에 근거해 최근까지 진행된 양 기관 간 전문가 회의를 통해 구체화됐다. 특히 최근 승인된 Influenza(인플루엔자), Adenovirus(아데노바이러스)에 이어 향후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Mpox(원숭이두창)까지 적응증을 확대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기존 항바이러스제는 특정 바이러스만을 표적으로 개발됐으나, 약물 개발 속도가 느려 변이 발생 시 약효 저하 및 신종 감염병에 대한 신속 대응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에 COVID-19 이후 미래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다중 감염병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범용 항바이러스제(Broad Spectrum Antiviral, BSA) 개발 필요성이 전문가들에 의해 제기돼 왔다.
NIAID의 제프티 동물실험 승인은 감염병 치료 방식 혁신을 의미하며, 특히 NIH가 제프티의 광범위한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후 동물실험을 승인한 것은 이례적 결정으로,신속한 제프티 임상 진행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현대바이오 배병준 전략 부문 사장은 "NIH가 단일 약물로 세 가지 감염병에 대한 동물실험을 진행하는 것은 감염병 치료제 개발 방식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하며, 범용 항바이러스제 개발은 넥스트 팬데믹 대비 글로벌 보건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대응 수단이 추가로 확보되는 측면에서 획기적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