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의료 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은 자사가 개발한 ‘파우더 타입 복합 지혈제(흡수성 체내용 지혈용품)’가 식약처로부터 국내 판매 인허가를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티앤알바이오팹에 따르면 회사 파우더 타입 복합 지혈제는 체내에 직접 사용되며, 높은 수준 안전성과 품질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의료기기 최고 등급인 4등급에 해당하는 제품이다. 회사는 빠른 시일 내 또 다른 형태인 매트릭스 타입 복합 지혈제 인허가도 추진 중이다.
티앤알바이오팹의 파우더 타입 복합 지혈제는 △특허 공법으로 특수 처리해 저독소(Low Endotoxin) 수준을 구현한 흡수성 돼지 젤라틴 파우더 △트롬빈 등이 포함된 지혈 파우더 △단백질 추출물과 폴리비닐피로리돈 등으로 이뤄진 혼합용액으로 구성됐다. 이를 혼합 적용하면 젤라틴 파우더는 혈액을 흡수·응집시켜 지혈 작용을 하고, 제품에 함유된 지혈 활성물질인 트롬빈은 혈액 내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전환해 혈액응고를 보조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당사 제품은 지혈제 핵심 소재인 VdECM(혈관유래세포외기질)을 포함해 조직 재생력, 접착성, 지혈 성능에서 기존 제품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며 “또한 자체 기술로 저독소 제품을 직접 제조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에서도 강점을 갖고 있으며, 해당 제품이 향후 회사 매출을 견인하는 핵심 품목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사이넥스의 ‘국내 의료기기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지혈제 시장은 연 2700억원 규모며 복강경, 내시경 수술 등 증가로 연평균 10% 가량 성장하며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티앤알바이오팹은 파우더 타입과 매트릭스 타입 복합 지혈제 등을 통해 현재 국내 지혈제 시장 약 77%를 점유하고 있는 수입 지혈제 제품을 국산으로 대체하는 데 주력한다는 목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한 번 주사로 한 달 지속" 장기지속형 주사제, 신약개발 핵심 축 부상 |
2 | 프리시젼바이오 자회사,코로나19/인플루엔자 콤보제품 미국 FDA 정식 승인 |
3 | 상장 제약바이오 1Q 해외매출, 전년비 코스피 29%‧코스닥 16.4% ↑ |
4 | 오토텔릭바이오, 브라질 Ache에 고혈압·당뇨 동시 치료제 기술이전 성공 |
5 | 딸 보듬은 윤동한 회장, 아들에 '주식 내놔라' 법정공방 |
6 | 리도카인 문제로 일반약까지 겨냥?…약사회 주장에 한약사회 '정면 반박' |
7 | “치료 시기 놓치지 않도록”…신속 약가 조정에 팔 걷어붙인 정부 |
8 | 디앤디파마텍,'MASH 치료제 DD01 개발' 국책과제 선정 |
9 | 에이프로젠 "앱트뉴로사이언스, 미국 자회사로 가상화폐 투자사 도약" |
10 | “CAR-T 제조, 어떻게 잘할까?" 싸토리우스 5가지 해법 제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재생의료 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은 자사가 개발한 ‘파우더 타입 복합 지혈제(흡수성 체내용 지혈용품)’가 식약처로부터 국내 판매 인허가를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티앤알바이오팹에 따르면 회사 파우더 타입 복합 지혈제는 체내에 직접 사용되며, 높은 수준 안전성과 품질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의료기기 최고 등급인 4등급에 해당하는 제품이다. 회사는 빠른 시일 내 또 다른 형태인 매트릭스 타입 복합 지혈제 인허가도 추진 중이다.
티앤알바이오팹의 파우더 타입 복합 지혈제는 △특허 공법으로 특수 처리해 저독소(Low Endotoxin) 수준을 구현한 흡수성 돼지 젤라틴 파우더 △트롬빈 등이 포함된 지혈 파우더 △단백질 추출물과 폴리비닐피로리돈 등으로 이뤄진 혼합용액으로 구성됐다. 이를 혼합 적용하면 젤라틴 파우더는 혈액을 흡수·응집시켜 지혈 작용을 하고, 제품에 함유된 지혈 활성물질인 트롬빈은 혈액 내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전환해 혈액응고를 보조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당사 제품은 지혈제 핵심 소재인 VdECM(혈관유래세포외기질)을 포함해 조직 재생력, 접착성, 지혈 성능에서 기존 제품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며 “또한 자체 기술로 저독소 제품을 직접 제조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에서도 강점을 갖고 있으며, 해당 제품이 향후 회사 매출을 견인하는 핵심 품목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사이넥스의 ‘국내 의료기기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지혈제 시장은 연 2700억원 규모며 복강경, 내시경 수술 등 증가로 연평균 10% 가량 성장하며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티앤알바이오팹은 파우더 타입과 매트릭스 타입 복합 지혈제 등을 통해 현재 국내 지혈제 시장 약 77%를 점유하고 있는 수입 지혈제 제품을 국산으로 대체하는 데 주력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