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백신연구소(대표 염정선)는 만성 B형 간염 치료백신 ‘CVI-HBV-002’의 제2b상 임상시험 결과보고서를 수령하고,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에서 위약군과의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고 20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번 임상은 Tenofovir를 투여 중인 만성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백신 CVI-HBV-002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 9개 대형병원에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방식으로 진행됐다. IRB 승인 후 2019년 12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임상이 수행됐으며, 총 153명이 등록(시험군 102명, 대조군 51명)됐다.
1차 평가 지표인 48주 시점 HBsAg(표면항원) 수치 변화는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지만, 두 군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FA set 기준 시험군의 평균 변화량은 -0.04±0.08 log10 IU/mL, 대조군은 -0.04±0.07 log10 IU/mL로, 군 간 차이에 대한 p-value는 0.3881이었다. 층화요인(HBeAg 양성/음성)을 보정한 ANCOVA 분석에서도 두 군 간 차이는 0.00 log10 IU/mL(90% CI: -0.02, 0.02)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4811).
회사 측은 “만성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CVI-HBV-002 단독요법은 기능적 치유 지표인 HBsAg 소실에 도달하는 데 한계가 있음이 확인됐다”며, “향후 병용치료를 중심으로 후속 임상을 기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차백신연구소는 향후 HBsAg 감소 효과가 더 높은 환자군을 타깃으로 면역반응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병용 전략을 개발해, 단독요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해당 임상은 2019년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으며, 등록번호는 NCT04289987이다. 이번 공시는 회사가 외부 CRO로부터 결과보고서(CSR)를 수령한 6월 20일에 맞춰 이뤄졌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블록버스터' 특허절벽! ‘키트루다’도 가고 ‘다잘렉스’도 가고.. |
2 | 강스템바이오텍,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융복합제제’ 미국 특허 등록 |
3 | 국힘, 정은경 ‘송곳검증’ 예고…복지부 장관 임명 ‘산 넘어 산’ |
4 | 한국바이오협회, 산자부 '탄소순환플랫폼’ 사업 총괄주관기관 선정 |
5 | 건기식 판매 약국 안전위생교육 의무화…면허 미신고 땐 효력 정지 |
6 | K-뷰티서 출발한 '푸디피케이션', 글로벌 브랜드 전략 됐다 |
7 | 지니너스, 에이비엘바이오와 유전체 AI 솔루션 공급계약 체결 |
8 | 비타민C, 일본서 ‘데일리 성분’으로 |
9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일본 의약 전문 유통사 Summit과 업무협약 체결 |
10 | AI 챗봇부터 돌봄 조례까지…서울시약사회, 약사 정책 추진 박차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차백신연구소(대표 염정선)는 만성 B형 간염 치료백신 ‘CVI-HBV-002’의 제2b상 임상시험 결과보고서를 수령하고,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에서 위약군과의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고 20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번 임상은 Tenofovir를 투여 중인 만성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백신 CVI-HBV-002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 9개 대형병원에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방식으로 진행됐다. IRB 승인 후 2019년 12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임상이 수행됐으며, 총 153명이 등록(시험군 102명, 대조군 51명)됐다.
1차 평가 지표인 48주 시점 HBsAg(표면항원) 수치 변화는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지만, 두 군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FA set 기준 시험군의 평균 변화량은 -0.04±0.08 log10 IU/mL, 대조군은 -0.04±0.07 log10 IU/mL로, 군 간 차이에 대한 p-value는 0.3881이었다. 층화요인(HBeAg 양성/음성)을 보정한 ANCOVA 분석에서도 두 군 간 차이는 0.00 log10 IU/mL(90% CI: -0.02, 0.02)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4811).
회사 측은 “만성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CVI-HBV-002 단독요법은 기능적 치유 지표인 HBsAg 소실에 도달하는 데 한계가 있음이 확인됐다”며, “향후 병용치료를 중심으로 후속 임상을 기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차백신연구소는 향후 HBsAg 감소 효과가 더 높은 환자군을 타깃으로 면역반응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병용 전략을 개발해, 단독요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해당 임상은 2019년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으며, 등록번호는 NCT04289987이다. 이번 공시는 회사가 외부 CRO로부터 결과보고서(CSR)를 수령한 6월 20일에 맞춰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