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중외제약(대표이사 한성권•신영섭)은 서울 강남구 소재 라마다호텔에서 개최된 ‘2017 혁신형 제약기업 성과보고회’에서 혁신신약 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보건복지부장관의 ‘우수 혁신형 제약기업’ 표창은 국가발전 기여도와 국민생활 향상도, 연구개발 생산성 향상,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사회공헌 활동 등의 항목을 심사해 선정한다.
JW중외제약은 미국과 일본 등 글로벌 R&D 네트워크와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수의 혁신형 신약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생명존중’이라는 창업이념을 바탕으로 환자의 치료에 필수적인 의약품을 생산해 공익과 국민 건강에 기여한 점을 평가받았다.
JW중외제약은 세포의 증식과 재생을 조절하는 Wnt 분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수 만여 종류의 화합물 라이브러리인 ‘쥬어리(JWELRY)’와 독창적인 스크리닝 시스템(화합물 유효성 예측)을 원천기술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표적항암제 ‘CWP291’, 탈모치료제 ‘CWL080061’ 등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설립된 한-일 합작 바이오벤처 ‘C&C신약연구소’는 독창적인 연구개발 기술로 면역질환과 항암제 분야의 다수의 혁신형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다. JW중외제약은 통풍치료제 ‘URC102’,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FR-1345’ 등의 임상을 진행하는 등 신약개발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한성권 대표는 “JW중외제약의 R&D 전략은 연구초기 단계에서부터 First-in-Class 타깃 발굴과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신약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앞으로 플랫폼 기반의 기술력을 더욱 확장하고 제제, 품질보증 분야의 기술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R&D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코스피 제약바이오 지배지분순이익 톱5 'SK바이오팜 삼성바이오 JW생명 일성아이에스 삼진제약' |
2 | 박셀바이오, 간암 대상 NK세포 치료제 원천특허 등록 |
3 | 신라젠, 유사분열 체크포인트 억제제 'BAL0891' 특허권-소유권 이전계약 |
4 | 넥스팜코리아, 8개 품목· 제형 제조업무정지 처분 |
5 | ‘엔허투’+‘퍼제타’ 유방암 PFS 고도 괄목 개선 |
6 | K-ODM 업계, '항노화'로 미래 전략 설정 |
7 | 신라젠, 항암제 'BAL089' 급성 골수성 백혈병 미국 FDA 임상 승인 |
8 | 80주년 앞둔 대한약학회, 제약-학계 잇고 지속가능 약학 미래 모색 |
9 | 2024년 글로벌 제약, 안정적 성장세 이어가 |
10 | 아이빔테크놀로지,미국암연구학회서 차세대 AI 이미지 분석 솔루션 공식 출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JW중외제약(대표이사 한성권•신영섭)은 서울 강남구 소재 라마다호텔에서 개최된 ‘2017 혁신형 제약기업 성과보고회’에서 혁신신약 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보건복지부장관의 ‘우수 혁신형 제약기업’ 표창은 국가발전 기여도와 국민생활 향상도, 연구개발 생산성 향상,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사회공헌 활동 등의 항목을 심사해 선정한다.
JW중외제약은 미국과 일본 등 글로벌 R&D 네트워크와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수의 혁신형 신약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생명존중’이라는 창업이념을 바탕으로 환자의 치료에 필수적인 의약품을 생산해 공익과 국민 건강에 기여한 점을 평가받았다.
JW중외제약은 세포의 증식과 재생을 조절하는 Wnt 분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수 만여 종류의 화합물 라이브러리인 ‘쥬어리(JWELRY)’와 독창적인 스크리닝 시스템(화합물 유효성 예측)을 원천기술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표적항암제 ‘CWP291’, 탈모치료제 ‘CWL080061’ 등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설립된 한-일 합작 바이오벤처 ‘C&C신약연구소’는 독창적인 연구개발 기술로 면역질환과 항암제 분야의 다수의 혁신형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다. JW중외제약은 통풍치료제 ‘URC102’,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FR-1345’ 등의 임상을 진행하는 등 신약개발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한성권 대표는 “JW중외제약의 R&D 전략은 연구초기 단계에서부터 First-in-Class 타깃 발굴과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신약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앞으로 플랫폼 기반의 기술력을 더욱 확장하고 제제, 품질보증 분야의 기술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R&D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