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약사회(회장 김형지)는 최근 회원약국을 대상으로 고급 명찰을 제작해 분회장 주도로 직접 배포했다.
이번 사업은 약사의 전문성을 명확히 드러내면서 보건소의 약국 지도·점검 과정에서 제기돼 온 명찰 미착용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강남구약사회 소속 회원으로서의 소속감과 일체감을 높이기 위한 취지로 추진됐다.
강남구약사회가 제작한 명찰은 고급 소재를 사용해 착용감과 내구성을 모두 고려했으며, 디자인도 통일된 형식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약국별로 제각각 사용하던 명찰 양식의 혼란을 정리하고, 회원 간 일관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뒀다.
특히 이번 명찰에는 KPA 대한약사회의 새로운 CI와 함께 '강남구약사회 정회원', '약사'라는 문구를 명확히 표기해, 일반 소비자와 보건당국이 약사 신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약사와 한약사의 직능을 명확히 구분하고, 정회원으로서의 소속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보건소의 약국 지도·점검 시 지적돼 온 명찰 미착용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 방안으로서도 기능할 전망이다. 최근 보건소는 약국 근무자의 명찰 착용 여부를 점검 항목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경고나 시정명령이 내려질 수 있다. 강남구약사회는 이번 고급 명찰 배포를 통해 회원약국의 불필요한 행정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코자 했다.
명찰은 분회장이 회원약국을 직접 방문해 전달하는 방식으로 배포됐으며, 단순한 전달을 넘어 회원약국과 분회 간 유대감을 높이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계기로도 작용했다는 평가다.
김형지 회장은 “약국의 전문성을 외부에 정확히 알리는 것은 물론, 회원 여러분이 강남구약사회 소속이라는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명찰 제작 사업을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약국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업을 지속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강남구약사회는 이번 명찰 배포 외에도 회원약국 지원 강화를 위한 다양한 소통 프로그램과 캠페인을 진행하거나 준비 중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살빼려 했더니 실명 위기?… GLP-1 계열 약물 새 경고 |
2 | 에이비엘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이중항체 ADC 2건 임상 진입 확실시 |
3 | 미국, 비만 치료 확대· 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왜? |
4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매출총이익, 코스피 766억원‧코스닥 239억원 |
5 | 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
6 | “양손 가득 돌아오겠습니다” K제약바이오 'BIO USA'서 승부수 띄운다 |
7 | 메지온,230억원 투자 유치..'유데나필' 폰탄치료제 FDA 임상3상 가속 |
8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코스피 176억원‧코스닥 29억원 |
9 | 동성제약 1분기 실적 상승…영업익 ‘흑자전환’ |
10 | 리가켐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 “ADC 독성 난제 해결사…파이프라인만 30여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강남구약사회(회장 김형지)는 최근 회원약국을 대상으로 고급 명찰을 제작해 분회장 주도로 직접 배포했다.
이번 사업은 약사의 전문성을 명확히 드러내면서 보건소의 약국 지도·점검 과정에서 제기돼 온 명찰 미착용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강남구약사회 소속 회원으로서의 소속감과 일체감을 높이기 위한 취지로 추진됐다.
강남구약사회가 제작한 명찰은 고급 소재를 사용해 착용감과 내구성을 모두 고려했으며, 디자인도 통일된 형식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약국별로 제각각 사용하던 명찰 양식의 혼란을 정리하고, 회원 간 일관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뒀다.
특히 이번 명찰에는 KPA 대한약사회의 새로운 CI와 함께 '강남구약사회 정회원', '약사'라는 문구를 명확히 표기해, 일반 소비자와 보건당국이 약사 신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약사와 한약사의 직능을 명확히 구분하고, 정회원으로서의 소속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보건소의 약국 지도·점검 시 지적돼 온 명찰 미착용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 방안으로서도 기능할 전망이다. 최근 보건소는 약국 근무자의 명찰 착용 여부를 점검 항목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경고나 시정명령이 내려질 수 있다. 강남구약사회는 이번 고급 명찰 배포를 통해 회원약국의 불필요한 행정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코자 했다.
명찰은 분회장이 회원약국을 직접 방문해 전달하는 방식으로 배포됐으며, 단순한 전달을 넘어 회원약국과 분회 간 유대감을 높이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계기로도 작용했다는 평가다.
김형지 회장은 “약국의 전문성을 외부에 정확히 알리는 것은 물론, 회원 여러분이 강남구약사회 소속이라는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명찰 제작 사업을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약국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업을 지속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강남구약사회는 이번 명찰 배포 외에도 회원약국 지원 강화를 위한 다양한 소통 프로그램과 캠페인을 진행하거나 준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