펩타이드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 HLB펩(구 애니젠)은 개발한 원료의약품(API)이 대만 식약처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HLB펩은 펩타이드 제조 GMP 인증을 받아 다년간 펩타이드 의약품 및 다양한 바이오 소재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HLB펩에서 공급한 야뇨증 치료제(데스모프레신)가 대만 식약처의 품목 허가를 받으며, HLB펩은 국내에 집중된 매출을 해외로 다변화할 수 있게 됐다.
데스모프레신은 야뇨증이나 중추성 요붕증(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과도한 소변생성) 등의 치료제로 처방되고 있는 의약품이다. 데스모프레신 전 세계 시장규모는 약 14억 달러(약 2조원)로, 최근 고령화 영향으로 시장 규모가 연 평균 8% 수준으로 성장하고 있다.
HLB펩은 지난 3월 HLB그룹에 인수되며 막대한 유동성과 해외 네트워크를 확보, 해외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불임 치료제(가니렐릭스) 등에 대해 미국 FDA cGMP 인증을 추진 중이며, 일본 제약사에 대한 CDMO 수주 영업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올해 추진중인 원료의약품에 대해서도 국내 식약처의 추가적인 품목 허가를 받게 되면 매출 성장이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LB펩 심경재 대표는 “HLB그룹 인수 후 확보된 유동성을 바탕으로 그간 미진했던 신규 바이오 소재 개발과 글로벌 영업, 신약개발 등 모든 분야에서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AI가 심사하는 시대 온다"…식약처, 의약품 평가 디지털 전환 가속 |
2 |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미국서 왜 안 통하나…기술은 '기본' 시장이 '기준'" |
3 | 경동제약, '테고프라잔' 결정형 등재특허 대법원 최종 승소 |
4 | 심평원, 약제 급여기준·신약평가 개선 속도…공단 약평위 참여 확대엔 선 그어 |
5 | ‘전담조직’ 승부수 띄운 제약바이오…전문 역량 앞세워 '경쟁 우위' 선다 |
6 | 대웅제약 ‘노즈가드 스프레이’, 코 점막 보호로 호흡기 바이러스 침입 차단 |
7 | 현대ADM·현대바이오, 사람 유래 췌장암 오가노이드서 암치료 실패 원인 규명 |
8 | '저가 화장품', 유통가 다크호스로 떠올라 |
9 | 심평원, 고가약 성과평가 체계화…"근거 불확실성 관리·제도 완성 집중" |
10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인터펙스 위크 도쿄서 CDMO 파트너십 확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펩타이드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 HLB펩(구 애니젠)은 개발한 원료의약품(API)이 대만 식약처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HLB펩은 펩타이드 제조 GMP 인증을 받아 다년간 펩타이드 의약품 및 다양한 바이오 소재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HLB펩에서 공급한 야뇨증 치료제(데스모프레신)가 대만 식약처의 품목 허가를 받으며, HLB펩은 국내에 집중된 매출을 해외로 다변화할 수 있게 됐다.
데스모프레신은 야뇨증이나 중추성 요붕증(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과도한 소변생성) 등의 치료제로 처방되고 있는 의약품이다. 데스모프레신 전 세계 시장규모는 약 14억 달러(약 2조원)로, 최근 고령화 영향으로 시장 규모가 연 평균 8% 수준으로 성장하고 있다.
HLB펩은 지난 3월 HLB그룹에 인수되며 막대한 유동성과 해외 네트워크를 확보, 해외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불임 치료제(가니렐릭스) 등에 대해 미국 FDA cGMP 인증을 추진 중이며, 일본 제약사에 대한 CDMO 수주 영업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올해 추진중인 원료의약품에 대해서도 국내 식약처의 추가적인 품목 허가를 받게 되면 매출 성장이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LB펩 심경재 대표는 “HLB그룹 인수 후 확보된 유동성을 바탕으로 그간 미진했던 신규 바이오 소재 개발과 글로벌 영업, 신약개발 등 모든 분야에서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