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엔테로‧폴리오 바이러스 감시체계 강화
1일 ‘엔테로·폴리오 병원체 감시사업’ 워크숍 개최
입력 2024.11.01 09:5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병원체 감시 사업 수행 체계도.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1일 엔테로·폴리오 바이러스 감시체계 강화를 위해 ‘2024년 엔테로·폴리오 병원체 감시사업 워크숍’을 오송생명과학단지 중앙후생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엔테로바이러스 : 영유아와 아동에서 수족구병, 포진성 구협염 등을 유발하는 감염성 병원체로,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는 유전형이 116종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병원체 감시사업(KESS)’은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을 유발하는 병원체의 조기 발견과 대응을 위한 감시체계로 병원체 특성 분석 및 유행 경향 파악을 통해 감염병 예방 대책을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KESS는 시도보건환경연구원과 의료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2022년 87개에서 올해 96개 참여기관으로 확대 운영 중이다. 최근 3년간 수집된 검체 2000여건 중 1000여건에서 병원체가 분리·검출됐다.

KESS에서 생산된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병원체에 대한 감시정보는 매주 질병청 감염병 포털을 통해 국민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중증임상증상을 유발하는 병원체(EV-A71등) 발생 시 보도자료를 통해 감염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한편 올해 처음 운영되는 ‘폴리오 환경감시사업(K-PESS)’은 폴리오 유입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생활 하수와 오수를 수집해 지역사회 내 병원체의 유입을 확인하는 감시체계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폴리오 박멸국으로 인정받아 현재까지 그 지위를 유지 중으로, 세계보건기구의 폴리오 박멸 전략에 따라 K-PESS를 도입했으며 현재 6개 시도보건환경연구원과 관할 지자체가 협력해 운영하고 있다.

올해 처음 개최되는 이번 워크숍은 KESS와 K-PESS 협력 기관 담당자 50여 명이 참석하며, 엔테로·폴리오 병원체 감시 사업에 적극 참여해 감염병 발생 예방에 기여한 우수기관과 유공자에게 질병관리청장 표창을 수여한다.

이어 질병청과 KESS 및 K-PESS에 실제 참여 중인 각 기관에서 병원체 감시 운영 현황과 결과에 대해 공유한 후, 감시체계 개선을 위한 종합적인 토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국내 폴리오 환경감시 도입은 세계보건기구의 폴리오 박멸 정책에 부합하는 국제적으로 의미 있는 사업”이라면서 “이번 첫 번째 워크숍이 감시 참여기관 간 적극적인 소통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감시 참여기관들에게 “소아 및 청소년에서 흔히 발생하는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병원체 감시를 통해 영유아‧소아‧청소년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데도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한국약제학회 조혜영 회장 "연구와 산업 잇는 혁신적 허브 목표"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질병청, 엔테로‧폴리오 바이러스 감시체계 강화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질병청, 엔테로‧폴리오 바이러스 감시체계 강화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