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주한스위스대사관과 지난달 31일 스위스 바젤에서 제11회 한-스위스 라이프사이언스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진흥원과 스위스대사관은 2014년 이후 매년 심포지엄을 개최하며 연구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2014년 5월 제1회 한-스위스 생명과학 심포지엄을 개최한 이후로 지난해까지 총 10회의 심포지엄을 개최해 양국의 보건의료 R&D 협력을 강화해왔다.
이번 심포지엄은 ‘보건의료 분야의 정밀의료(AI 및 신경과학)'라는 주제로, 한국과 스위스의 정밀의료, 특히 보건의료 AI 및 신경과학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해 양국의 최신 R&D 동향과 연구 경험을 소개하고, 향후 정밀의료 분야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펼쳤다.
심포지엄은 주제 발표 및 패널토론으로 구성됐으며, 바젤 노바티스 캠퍼스에서 진행됐다. 또한 발표내용 및 참여자 등은 사전 등록을 통해 운영됐다.
한국 측 연자로는 ‘보건의료분야 AI: 법률적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하는 제이엔피메디 이재현 이사를 포함해, 연세대 문인석 교수, KAIST 김대수 교수, 뉴로핏 빈준길 대표가 참석했다. 스위스 측 연자로는 ‘보건의료분야 AI: 기회와 도전’이라는 주제로 발표하는 취리히대학교 마이클 크라우트해머를 비롯해, 비스센터 이규화 수석연구원, 바젤대학교 라파엘 구즈만 교수 등이 참석했다.
진흥원과 스위스대사관은 이번 심포지엄 이후에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공동연구와 상호 발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모색할 계획이다.
진흥원 전용웅 의료기술R&D단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정밀의료 분야의 양국 연구자들 간의 다양한 정보가 공유되는 기회의 장이 되기를 희망한다”며 “진흥원은 스위스대사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양국의 보건의료 분야의 연구개발 및 스타트업, 대학, 정부 등 다양한 협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위스 연방교육연구혁신부(State Secretariat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ERI)의 국제 관계 담당관인 자크 뒤크레 국장은 “양국 간 생명과학 분야의 학계, 산업계 연구자들뿐 아니라, 스타트업과도 다양한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며 “내년에는 제12회 라이프사이언스 심포지엄이 한-스위스 혁신 주간에 개최될 예정이다. 이미 스위스의 많은 연구자들이 이 시기에 한국을 방문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으며, 이번 심포지엄에서 양국 간의 많은 협력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 |
2 | 바이오의약품 CDMO 육성, 생물보안법 입법 시기 등 미국 주시해야 |
3 | [전문가 칼럼] 한국화장품, 미국 시장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다 |
4 | 비만치료제 고성장에도 주가 하락 '아이러니'…국내 비만 ETF도 '흔들' |
5 | 씨엔팜,"항암제 가짜내성 발생 원인 규명..근원적 해결책 찾았다" |
6 |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최대주주 '등극' |
7 | 타이레놀, 서현진과 ‘타이레놀 파우더’ 신규 캠페인 진행 |
8 | "이중항체 이어 ADC까지 접수한다" 에이비엘바이오 ADC 심포지엄 개막 |
9 | 국내는 약배송 금지…글로벌 온라인 약국,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800조원 성장 |
10 | ‘오젬픽’ ‘젭바운드’ 1형 당뇨병 시장 트랜스포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주한스위스대사관과 지난달 31일 스위스 바젤에서 제11회 한-스위스 라이프사이언스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진흥원과 스위스대사관은 2014년 이후 매년 심포지엄을 개최하며 연구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2014년 5월 제1회 한-스위스 생명과학 심포지엄을 개최한 이후로 지난해까지 총 10회의 심포지엄을 개최해 양국의 보건의료 R&D 협력을 강화해왔다.
이번 심포지엄은 ‘보건의료 분야의 정밀의료(AI 및 신경과학)'라는 주제로, 한국과 스위스의 정밀의료, 특히 보건의료 AI 및 신경과학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해 양국의 최신 R&D 동향과 연구 경험을 소개하고, 향후 정밀의료 분야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펼쳤다.
심포지엄은 주제 발표 및 패널토론으로 구성됐으며, 바젤 노바티스 캠퍼스에서 진행됐다. 또한 발표내용 및 참여자 등은 사전 등록을 통해 운영됐다.
한국 측 연자로는 ‘보건의료분야 AI: 법률적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하는 제이엔피메디 이재현 이사를 포함해, 연세대 문인석 교수, KAIST 김대수 교수, 뉴로핏 빈준길 대표가 참석했다. 스위스 측 연자로는 ‘보건의료분야 AI: 기회와 도전’이라는 주제로 발표하는 취리히대학교 마이클 크라우트해머를 비롯해, 비스센터 이규화 수석연구원, 바젤대학교 라파엘 구즈만 교수 등이 참석했다.
진흥원과 스위스대사관은 이번 심포지엄 이후에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공동연구와 상호 발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모색할 계획이다.
진흥원 전용웅 의료기술R&D단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정밀의료 분야의 양국 연구자들 간의 다양한 정보가 공유되는 기회의 장이 되기를 희망한다”며 “진흥원은 스위스대사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양국의 보건의료 분야의 연구개발 및 스타트업, 대학, 정부 등 다양한 협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위스 연방교육연구혁신부(State Secretariat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ERI)의 국제 관계 담당관인 자크 뒤크레 국장은 “양국 간 생명과학 분야의 학계, 산업계 연구자들뿐 아니라, 스타트업과도 다양한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며 “내년에는 제12회 라이프사이언스 심포지엄이 한-스위스 혁신 주간에 개최될 예정이다. 이미 스위스의 많은 연구자들이 이 시기에 한국을 방문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으며, 이번 심포지엄에서 양국 간의 많은 협력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