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보건의료 R&D에 투자를 늘려 바이오헬스 육성을 통한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10일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보건의료 R&D에 전년대비 17% 증가한 약 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도전‧임무형 및 국제공동연구 중심으로 보건의료 R&D 체계를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복지부 소관 보건의료 R&D 예산은 지난해 8428억원에서 올해 98858억원으로 증액됐으며, 이 중 한국형 ARPA-H 예산은 495억원에서 632억원, 국제공동연구는 1360억원에서 1976억원으로 늘었다.
복지부는 글로벌 도약을 위한 산업별 핵심 규제도 혁신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기준을 개편하고, 시장즉시 진입 가능 의료기술 제도를 오는 9월 시행한다. 또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해 유치경로 실태조사를 제도화하며, ‘K-의료 해외진출 활성화 전략’도 수립한다.
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의료데이터와 첨단재생의료도 활성화를 추진한다.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상급종합병원과 연계 완료하고, 국가 통합바이오 빅데이터 참여자 모집규모도 1만9000명에서 19만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보다 안전하고 가치있는 보건의료데이터 활용을 위한 가칭 ‘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도 추진한다. 이어 다음달 희귀‧난치질환 극복을 위한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도 시행을 위해 사진심의 및 비용‧이상반응 보고 등 관리체계를 구축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그룹 진양곤 회장,미국 CMC 실사 마치고 계열사 지분 매입 |
2 | 국내 연구진,메지온 '유데나필' 통한 폰탄 환자 치료 가능성 제시 |
3 | 지난해 3분기 제약바이오 90개사 유보율 코스피 1866.82%, 코스닥 2559.15% |
4 | 쇼피 2024년 매출 1위 K-뷰티가 휩쓸어 |
5 | “비만치료제 미래는 초장기 지속형 GLP-1다” |
6 | 제2회 전문약사 자격시험, 합격률 84.2% |
7 | 파멥신, 아벤티와 노인성근감소증 신약개발에 힘 합친다 |
8 | 인투셀, 오름테라퓨틱, 동국생명과학까지 "바이오 상장 한파 뚫고 봄바람" |
9 | GLP-1 쌍끌이 노보‧릴리 후속주자 줄을 서시오! |
10 | 현대바이오,"제프티,미국 NIH와 3월부터 바이러스 질환 치료제 개발 공동연구"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정부가 올해 보건의료 R&D에 투자를 늘려 바이오헬스 육성을 통한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10일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보건의료 R&D에 전년대비 17% 증가한 약 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도전‧임무형 및 국제공동연구 중심으로 보건의료 R&D 체계를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복지부 소관 보건의료 R&D 예산은 지난해 8428억원에서 올해 98858억원으로 증액됐으며, 이 중 한국형 ARPA-H 예산은 495억원에서 632억원, 국제공동연구는 1360억원에서 1976억원으로 늘었다.
복지부는 글로벌 도약을 위한 산업별 핵심 규제도 혁신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기준을 개편하고, 시장즉시 진입 가능 의료기술 제도를 오는 9월 시행한다. 또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해 유치경로 실태조사를 제도화하며, ‘K-의료 해외진출 활성화 전략’도 수립한다.
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의료데이터와 첨단재생의료도 활성화를 추진한다.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상급종합병원과 연계 완료하고, 국가 통합바이오 빅데이터 참여자 모집규모도 1만9000명에서 19만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보다 안전하고 가치있는 보건의료데이터 활용을 위한 가칭 ‘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도 추진한다. 이어 다음달 희귀‧난치질환 극복을 위한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도 시행을 위해 사진심의 및 비용‧이상반응 보고 등 관리체계를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