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제약산업 매출이 53조원을 넘어섰다. 이 중 국내 매출액은 43조원, 수출액은 9조원을 차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발간한 ‘2023년 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제약산업 업체 1674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매출액은 약 53조808억원을 기록했으며 이 중 국내 매출액은 43조5400억원, 수출액은 9조5409억원을 나타냈다.
제약산업 업체의 허가 품목별 매출은 완제의약품이 44조1426억원, 원료의약품이 8조9383억원이다.
약효군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전체 제약산업 매출액 대비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품’ 매출 비중은 37.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신경계 감각기관용 의약품 15.6% △조직세포의 기능용 의약품 13.2% △항병원생물성 의약품 12.5% △대사성 의약품 11.5% △치료를 주목적으로 하지 않는 의약품 및 관련 제품 10.0% △마약 0.2% 순으로 나타났다.
제약산업의 전체 종사자수는 10만2141명이며, 종사자의 성별 비율은 남성이 63.3%로 36.7%인 여성보다 높았다. 제약산업의 종사상 지위는 상용직 근로자 비율이 98.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제약산업의 연구개발 인력은 총 1만8532명으로 조사됐으며, 연구개발 인력의 성별 비율은 남성(61.7%)이 여성(38.3%)보다 높았다.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업체는 80.4%인 1346개이며, 그 중 연구소를 보유한 업체는 64.8%인 1085개다.
제약산업의 총 연구개발비는 4조1748억원으로 조사됐다. 제약산업 기업체의 경우 재원별로는 자체부담 연구개발비의 비중(94.2%)이 외부재원 연구개발비(5.8%)에 비해 높았으며, 사용별로는 자체사용 연구개발비(84.9%)의 비중이 외부지출 연구개발비(15.1%)에 비해 높았다.
제약산업 업체의 연구분야별 연구개발비는 합성의약품 중 합성신약이 1조2022억원(28.8%), 바이오의약품의 바이오신약 분야가 1조4595억원(35.0%)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과정별 지출 연구개발비를 살펴본 결과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 모두 후보물질탐색 과정의 연구개발비 지출액이 각각 22.5%, 27.6%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과정별 파이프라인은 합성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 취급업체 모두 후보물질탐색이 각각 30.0%, 26.3%로 가장 높았다.
한편 2023년 기준 바이오헬스산업 기업체의 총 매출액은 155조8785억원으로 조사됐다.
바이오헬스산업 내 세부 산업별 총 매출액을 살펴본 결과, 제약산업의 매출액이 53조808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화장품 산업 42조3290억원 △의료기기산업 37조9586억원 △건강기능식품산업 22조51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간 바이오헬스산업 업체 중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는 업체는 45.3%로 조사됐다. 연구개발비는 총 7조7823억원이었으며, 제약분야의 연구개발비는 4조1748억원, 의료기기분야의 경우 1조9970억원, 화장품 분야는 1조3012억원, 건강기능식품는 3094억원 순으로 확인됐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블록버스터' 특허절벽! ‘키트루다’도 가고 ‘다잘렉스’도 가고.. |
2 | 강스템바이오텍,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융복합제제’ 미국 특허 등록 |
3 | 국힘, 정은경 ‘송곳검증’ 예고…복지부 장관 임명 ‘산 넘어 산’ |
4 | 한국바이오협회, 산자부 '탄소순환플랫폼’ 사업 총괄주관기관 선정 |
5 | 건기식 판매 약국 안전위생교육 의무화…면허 미신고 땐 효력 정지 |
6 | K-뷰티서 출발한 '푸디피케이션', 글로벌 브랜드 전략 됐다 |
7 | 지니너스, 에이비엘바이오와 유전체 AI 솔루션 공급계약 체결 |
8 | 비타민C, 일본서 ‘데일리 성분’으로 |
9 | AI 챗봇부터 돌봄 조례까지…서울시약사회, 약사 정책 추진 박차 |
10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일본 의약 전문 유통사 Summit과 업무협약 체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2023년 제약산업 매출이 53조원을 넘어섰다. 이 중 국내 매출액은 43조원, 수출액은 9조원을 차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발간한 ‘2023년 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제약산업 업체 1674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매출액은 약 53조808억원을 기록했으며 이 중 국내 매출액은 43조5400억원, 수출액은 9조5409억원을 나타냈다.
제약산업 업체의 허가 품목별 매출은 완제의약품이 44조1426억원, 원료의약품이 8조9383억원이다.
약효군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전체 제약산업 매출액 대비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품’ 매출 비중은 37.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신경계 감각기관용 의약품 15.6% △조직세포의 기능용 의약품 13.2% △항병원생물성 의약품 12.5% △대사성 의약품 11.5% △치료를 주목적으로 하지 않는 의약품 및 관련 제품 10.0% △마약 0.2% 순으로 나타났다.
제약산업의 전체 종사자수는 10만2141명이며, 종사자의 성별 비율은 남성이 63.3%로 36.7%인 여성보다 높았다. 제약산업의 종사상 지위는 상용직 근로자 비율이 98.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제약산업의 연구개발 인력은 총 1만8532명으로 조사됐으며, 연구개발 인력의 성별 비율은 남성(61.7%)이 여성(38.3%)보다 높았다.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업체는 80.4%인 1346개이며, 그 중 연구소를 보유한 업체는 64.8%인 1085개다.
제약산업의 총 연구개발비는 4조1748억원으로 조사됐다. 제약산업 기업체의 경우 재원별로는 자체부담 연구개발비의 비중(94.2%)이 외부재원 연구개발비(5.8%)에 비해 높았으며, 사용별로는 자체사용 연구개발비(84.9%)의 비중이 외부지출 연구개발비(15.1%)에 비해 높았다.
제약산업 업체의 연구분야별 연구개발비는 합성의약품 중 합성신약이 1조2022억원(28.8%), 바이오의약품의 바이오신약 분야가 1조4595억원(35.0%)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과정별 지출 연구개발비를 살펴본 결과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 모두 후보물질탐색 과정의 연구개발비 지출액이 각각 22.5%, 27.6%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과정별 파이프라인은 합성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 취급업체 모두 후보물질탐색이 각각 30.0%, 26.3%로 가장 높았다.
한편 2023년 기준 바이오헬스산업 기업체의 총 매출액은 155조8785억원으로 조사됐다.
바이오헬스산업 내 세부 산업별 총 매출액을 살펴본 결과, 제약산업의 매출액이 53조808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화장품 산업 42조3290억원 △의료기기산업 37조9586억원 △건강기능식품산업 22조51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간 바이오헬스산업 업체 중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는 업체는 45.3%로 조사됐다. 연구개발비는 총 7조7823억원이었으며, 제약분야의 연구개발비는 4조1748억원, 의료기기분야의 경우 1조9970억원, 화장품 분야는 1조3012억원, 건강기능식품는 3094억원 순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