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유전자세포치료학회(이하, KSGCT)는 숙명여자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임광일 교수가 제12대 회장으로 취임했다고 12일 발표했다.
올해로 창립 20주년을 맞는 KSGCT는 난치성 및 희귀질환 치료 분야에서 세포유전자치료제(Cell and Gene Therapy, CGT) 연구와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기술 및 지식을 공유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학술 단체로 자리 잡았다. KSGCT는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에서 한국이 선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학문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임광일 교수는 공학 기반 시스템생물학 전공자로, 학회장으로 선출된 최초의 공학 분야 교수다. 기존 생명과학 및 의학 전문가 중심의 학회 운영에 변화를 예고하며, 이번 선임은 세포유전자치료제 연구가 공학과 융합 과학적 접근이 필요함을 반영한 결정으로 평가된다.
세포유전자치료제는 CAR-T,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 mRNA 백신, RNA 기반 치료제 등으로 점차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융합적 지식과 협력 체계 구축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임광일 교수는 취임사에서 "세포유전자치료제라는 새로운 치료 모달리티는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에서 대한민국이 선진국들과 같은 출발선에 서 있는 드문 기회"라며 "KSGCT를 중심으로 국내 연구자 간 지식 네트워크를 유기적으로 구축해 국가 간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학회를 세포유전자치료제 연구와 개발의 중심으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 |
2 | 바이오의약품 CDMO 육성, 생물보안법 입법 시기 등 미국 주시해야 |
3 | [전문가 칼럼] 한국화장품, 미국 시장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다 |
4 | 비만치료제 고성장에도 주가 하락 '아이러니'…국내 비만 ETF도 '흔들' |
5 | 씨엔팜,"항암제 가짜내성 발생 원인 규명..근원적 해결책 찾았다" |
6 |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최대주주 '등극' |
7 | 타이레놀, 서현진과 ‘타이레놀 파우더’ 신규 캠페인 진행 |
8 | "이중항체 이어 ADC까지 접수한다" 에이비엘바이오 ADC 심포지엄 개막 |
9 | 국내는 약배송 금지…글로벌 온라인 약국,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800조원 성장 |
10 | ‘오젬픽’ ‘젭바운드’ 1형 당뇨병 시장 트랜스포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사)한국유전자세포치료학회(이하, KSGCT)는 숙명여자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임광일 교수가 제12대 회장으로 취임했다고 12일 발표했다.
올해로 창립 20주년을 맞는 KSGCT는 난치성 및 희귀질환 치료 분야에서 세포유전자치료제(Cell and Gene Therapy, CGT) 연구와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기술 및 지식을 공유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학술 단체로 자리 잡았다. KSGCT는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에서 한국이 선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학문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임광일 교수는 공학 기반 시스템생물학 전공자로, 학회장으로 선출된 최초의 공학 분야 교수다. 기존 생명과학 및 의학 전문가 중심의 학회 운영에 변화를 예고하며, 이번 선임은 세포유전자치료제 연구가 공학과 융합 과학적 접근이 필요함을 반영한 결정으로 평가된다.
세포유전자치료제는 CAR-T,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 mRNA 백신, RNA 기반 치료제 등으로 점차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융합적 지식과 협력 체계 구축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임광일 교수는 취임사에서 "세포유전자치료제라는 새로운 치료 모달리티는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에서 대한민국이 선진국들과 같은 출발선에 서 있는 드문 기회"라며 "KSGCT를 중심으로 국내 연구자 간 지식 네트워크를 유기적으로 구축해 국가 간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학회를 세포유전자치료제 연구와 개발의 중심으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