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A 간섭 기술 기반 혁신신약 기업 올릭스가 탈모치료제 ‘OLX104C(물질명 OLX72021)’ 호주 1상 임상시험에 대한 최종 결과 보고서(CSR, Clinical Study Report)를 수령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이번 임상시험은 올릭스가 안드로겐성 탈모(남성형 탈모) 치료제로 개발 중인 OLX104C 안전성과 내약성 및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다.
올릭스가 수령한 CSR에 따르면 시험군(OLX104C 물질 투여군)에서 1차평가지표인 안전성과 내약성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보했다. 약물 투여 후 중대한 이상반응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투여 용량 증가에 따른 이상반응 발생률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 투약 후 발생한 이상반응은 OLX104C 물질과 인과관계에 있어서 관련 가능성이 낮거나 전혀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 임상 실험실적 검사 및 국소 내약성 평가 결과를 분석했을 때 시험대상자에서 안전성 관련 특이사항이 관찰되지 않았다.
앞서 올릭스는 지난 2023년 3월 벨베리 호주 인체연구 윤리위원회(Bellberry HREC)로부터 1상 임상시험계획서를 승인받았다. 이어 같은 해 6월 투약을 개시한 후 2024년 6월 환자 투약 종료를 발표했다.
올릭스는 호주 소재 임상시험 실시기관에서 안드로겐성 탈모가 있는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코호트별로 용량을 높여 정수리 근처 탈모 부위에 치료제를 피내 주사하고 8주 간 피험자의 상태를 추적 관찰하는 방식으로 임상을 진행했다. 연구 대상자는 기존 30명을 대상으로 계획했으나, 3번째 코호트 투약 종료 후 우수한 안전성이 확인돼 4번째 코호트 용량을 거치지 않고 5번째인 마지막 최고용량 코호트 투약을 진행해 총 25명을 대상으로 투약이 이뤄졌다.
회사는 코호트 스킵과 관련해 우수한 약물 안전성 확보와 함께 임상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올릭스 이동기 대표이사는 “탈모치료제 1상 임상시험이 1차 지표를 충족하며 성공적으로 종료됐다. OLX104C가 전 세계 최초로 비임상과 임상시험을 통해 국제 규제 기관이 요구하는 높은 수준 안전성을 확보한 유일한 RNA 기반 탈모 치료물질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는 것이 이번 최종결과가 갖는 의미”라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그룹 진양곤 회장,미국 CMC 실사 마치고 계열사 지분 매입 |
2 | 국내 연구진,메지온 '유데나필' 통한 폰탄 환자 치료 가능성 제시 |
3 | 지난해 3분기 제약바이오 90개사 유보율 코스피 1866.82%, 코스닥 2559.15% |
4 | 쇼피 2024년 매출 1위 K-뷰티가 휩쓸어 |
5 | “비만치료제 미래는 초장기 지속형 GLP-1다” |
6 | 제2회 전문약사 자격시험, 합격률 84.2% |
7 | 파멥신, 아벤티와 노인성근감소증 신약개발에 힘 합친다 |
8 | 인투셀, 오름테라퓨틱, 동국생명과학까지 "바이오 상장 한파 뚫고 봄바람" |
9 | GLP-1 쌍끌이 노보‧릴리 후속주자 줄을 서시오! |
10 | 현대바이오,"제프티,미국 NIH와 3월부터 바이러스 질환 치료제 개발 공동연구"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RNA 간섭 기술 기반 혁신신약 기업 올릭스가 탈모치료제 ‘OLX104C(물질명 OLX72021)’ 호주 1상 임상시험에 대한 최종 결과 보고서(CSR, Clinical Study Report)를 수령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이번 임상시험은 올릭스가 안드로겐성 탈모(남성형 탈모) 치료제로 개발 중인 OLX104C 안전성과 내약성 및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다.
올릭스가 수령한 CSR에 따르면 시험군(OLX104C 물질 투여군)에서 1차평가지표인 안전성과 내약성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보했다. 약물 투여 후 중대한 이상반응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투여 용량 증가에 따른 이상반응 발생률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 투약 후 발생한 이상반응은 OLX104C 물질과 인과관계에 있어서 관련 가능성이 낮거나 전혀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 임상 실험실적 검사 및 국소 내약성 평가 결과를 분석했을 때 시험대상자에서 안전성 관련 특이사항이 관찰되지 않았다.
앞서 올릭스는 지난 2023년 3월 벨베리 호주 인체연구 윤리위원회(Bellberry HREC)로부터 1상 임상시험계획서를 승인받았다. 이어 같은 해 6월 투약을 개시한 후 2024년 6월 환자 투약 종료를 발표했다.
올릭스는 호주 소재 임상시험 실시기관에서 안드로겐성 탈모가 있는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코호트별로 용량을 높여 정수리 근처 탈모 부위에 치료제를 피내 주사하고 8주 간 피험자의 상태를 추적 관찰하는 방식으로 임상을 진행했다. 연구 대상자는 기존 30명을 대상으로 계획했으나, 3번째 코호트 투약 종료 후 우수한 안전성이 확인돼 4번째 코호트 용량을 거치지 않고 5번째인 마지막 최고용량 코호트 투약을 진행해 총 25명을 대상으로 투약이 이뤄졌다.
회사는 코호트 스킵과 관련해 우수한 약물 안전성 확보와 함께 임상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올릭스 이동기 대표이사는 “탈모치료제 1상 임상시험이 1차 지표를 충족하며 성공적으로 종료됐다. OLX104C가 전 세계 최초로 비임상과 임상시험을 통해 국제 규제 기관이 요구하는 높은 수준 안전성을 확보한 유일한 RNA 기반 탈모 치료물질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는 것이 이번 최종결과가 갖는 의미”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