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바이오의약품 CDMO 및 신약개발 전문기업 이엔셀은 유전성 망막질환치료제 개발사인 싱귤래리티바이오텍과 지난 24일 이엔셀 본사에서 MOU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유전성 망막질환은 유전자에 문제가 생겨 유소년 시기부터 야맹증, 터널 시야 등 증상을 겪는 희귀질환으로, 일부는 실명으로 이어진다. 현재까지 실명 원인으로 알려진 유전자만 330여가지가 넘고, 국내 환자는 약 1만 5천 명에서 2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엔셀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세포와 바이러스를 동시에 생산이 가능한 글로벌 수준의 GMP 시설을 갖추고 있는 One-Stop(원스탑) 서비스와 함께 차별화된 생산 및 품질 관리 시스템을 통해 고객사에 최적의 CDMO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엔셀의 독자적인 ENCT (ENCell Technology) 기술로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인 EN001 개발도 순항하고 있다.
싱귤래리티바이오텍은 망막오가노이드 기반 유전성 망막질환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망막오가노이드 제작과 기반 세포의 배양과 관련해 차별화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제반 특허들을 확보했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한 선행 연구데이터와 기술 유효성을 입증해 2024년 민관공동창업자발굴육성사업(TIPS)에 선정되어 공정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2024년 11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표창을 받았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회사가 개발 중인 망막 오가노이드 유래 세포 치료제의 임상진입을 위한 개발 및 생산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엔셀 장종욱 대표이사는 “이엔셀은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분야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의 임상도 순항하고 있다”며, “이번 MOU가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 개발에 나선 싱귤래리티바이오텍의 도전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싱귤래리티바이오텍 대표이사이자 실명퇴치운동본부 최정남 회장은 “국내 최초로 환우들이 참여해 설립된 싱귤래리티바이오텍은 건양대학교와 순천향대학교 연구진이 협업하여 이루어 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치료제 개발에 나선 회사다”라며,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 다양한 경험과 첨단 기술력을 갖춘 이엔셀과 협력하게 된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 날 MOU 행사에 참석한 가수 소녀시대 겸 배우 최수영씨는 시각장애 환우들의 실명 예방과 치료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실명퇴치운동본부 홍보대사로 활동해 왔다.
최수영씨는 “그동안 우수한 연구진의 꾸준한 연구 결과 끝에 국내에서도 이제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기쁘다”며 ”앞으로 다양한 치료 기술들이 개발되어 환우들과 함께 어둠에서 빛을 찾아가는 기적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ADC, 1차 치료제 시대 임박…혁신 표적·페이로드 기술이 승부수" |
2 |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2년 연속 순이익 1000억대 '충격 적자' |
3 | HLB파나진, 분자진단 매출 100억원 '임박' 전년比 17% 상승 |
4 | 알테오젠,미국 '메드이뮨'사와 총 8,700억원 규모 라이선스 계약 |
5 | 한국바이오협회,유럽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네트워킹 통한 협력 추진 |
6 | 잇따른 '유통마진 인하'에...생존 위협받는 의약품유통업계 |
7 | FDA, 일부 여드름 개선제서 벤젠 검출 리콜결정 |
8 | 선정성·인종차별 …무책임한 온라인 화장품 광고 |
9 | 바이넥스, 수익성 지표 하락세…2024년 매출 1301억원 전년比 16% 감소 |
10 | 현대바이오·ADM, ”가짜내성,진짜내성 오인 항암치료 80년 최대 오류 실증“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첨단바이오의약품 CDMO 및 신약개발 전문기업 이엔셀은 유전성 망막질환치료제 개발사인 싱귤래리티바이오텍과 지난 24일 이엔셀 본사에서 MOU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유전성 망막질환은 유전자에 문제가 생겨 유소년 시기부터 야맹증, 터널 시야 등 증상을 겪는 희귀질환으로, 일부는 실명으로 이어진다. 현재까지 실명 원인으로 알려진 유전자만 330여가지가 넘고, 국내 환자는 약 1만 5천 명에서 2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엔셀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세포와 바이러스를 동시에 생산이 가능한 글로벌 수준의 GMP 시설을 갖추고 있는 One-Stop(원스탑) 서비스와 함께 차별화된 생산 및 품질 관리 시스템을 통해 고객사에 최적의 CDMO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엔셀의 독자적인 ENCT (ENCell Technology) 기술로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인 EN001 개발도 순항하고 있다.
싱귤래리티바이오텍은 망막오가노이드 기반 유전성 망막질환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망막오가노이드 제작과 기반 세포의 배양과 관련해 차별화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제반 특허들을 확보했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한 선행 연구데이터와 기술 유효성을 입증해 2024년 민관공동창업자발굴육성사업(TIPS)에 선정되어 공정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2024년 11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표창을 받았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회사가 개발 중인 망막 오가노이드 유래 세포 치료제의 임상진입을 위한 개발 및 생산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엔셀 장종욱 대표이사는 “이엔셀은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분야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의 임상도 순항하고 있다”며, “이번 MOU가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 개발에 나선 싱귤래리티바이오텍의 도전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싱귤래리티바이오텍 대표이사이자 실명퇴치운동본부 최정남 회장은 “국내 최초로 환우들이 참여해 설립된 싱귤래리티바이오텍은 건양대학교와 순천향대학교 연구진이 협업하여 이루어 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치료제 개발에 나선 회사다”라며,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 다양한 경험과 첨단 기술력을 갖춘 이엔셀과 협력하게 된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 날 MOU 행사에 참석한 가수 소녀시대 겸 배우 최수영씨는 시각장애 환우들의 실명 예방과 치료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실명퇴치운동본부 홍보대사로 활동해 왔다.
최수영씨는 “그동안 우수한 연구진의 꾸준한 연구 결과 끝에 국내에서도 이제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기쁘다”며 ”앞으로 다양한 치료 기술들이 개발되어 환우들과 함께 어둠에서 빛을 찾아가는 기적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