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진통제 타이레놀 주성분 '아세트아미노펜' 변환 성공
" 페트 플라스틱, 맥주 양조 사용 유사 발효 과정 사용 24시간 이내 실온서 약물로 전환"
연구진 "플라스틱 분자,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변환해 탄소 배출 거의 남기지 않아"
입력 2025.07.04 10:45 수정 2025.07.04 10:47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흔한 박테리아(대장균)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영국 에딘버러대-아스트라제네카 연구진이 밝혀냈다. 타이레놀 주성분이자 일부 국가에서는 ‘파라세타몰’이라고도 하는 아세트아미노 펜은 일반적으로 화석 연료로 만들어진다. 

대장균(Escherichia coli)에서의 생체적합성 Lossen 재배열 기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에서
합성되어 산업용 소분자(파라세타몰)를 생성하는 전체 세포 바이오 촉매 반응 및 발효에 적용할 수 있다.

네이처 케미스트리(Nature Chemistry) 7월호에 게재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지원으로 개발된 이 약물을 만드는 새로운 방법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알려진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 분자를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변환하여 탄소 배출을 거의 남기지 않는다.  

연구진은 페트 플라스틱은 맥주 양조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발효 과정을 사용해 24시간 이내 실온에서 약물로 전환된다고 밝혔다. 물병과 식품 포장에 사용되는 강하고 가벼운 플라스틱인 PET는 연간 3억 5천만톤 이상의 폐기물을 차지하고 있다.

에든버러 대학의 연구 책임자인 스티븐 월리스(Stephen Wallace)는 "이 연구는 PET 플라스틱이 단순한 폐기물이나 더 많은 플라스틱이 될 운명의 재료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것은 미생물에 의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제품을 포함해 가치 있는 새로운 제품으로 변형될 수 있다" 고 말했다.

다만, “PET를 사용해 아세트아미노펜을 상업적으로 대규모 생산할 수 있기까지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고 연구진은 언급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이기일 차관, 32년 정든 복지부 떠났다…“감사했다, 의료계‧정부 같이 가야”
김남주바이오 "증상 완화 넘어 근본 개선"…약국 맞춤 건기식 솔루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폐플라스틱,진통제 타이레놀 주성분 '아세트아미노펜' 변환 성공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폐플라스틱,진통제 타이레놀 주성분 '아세트아미노펜' 변환 성공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