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메카코리아의 중국 법인 코스메카차이나가 세계 3대 할랄 인증기관인 리폼 무이(LPPOM MUI)로부터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을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인증으로 코스메카코리아는 글로벌 할랄 화장품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고, K-뷰티의 위상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네시아는 2014년 제정된 할랄 보장법에 따라 단계적으로 할랄 인증 의무화를 시행하고 있다. 식음료 제품은 2024년 10월 18일부터, 화장품은 2026년 10월 17일까지 계도기간이 주어지고 그 후 본격 시행된다. 인도네시아의 할랄청(Badan Penyelenggara Jaminan Produk Halal, BPJPH)은 할랄 인증을 주관하며, 이슬람평의회(MUI) 및 할랄심사기관(LPH)과 협력해 인증 절차를 관리하고 있다.
이에 코스메카차이나는 이번 인증을 취득하기 위해 원료 선정부터 생산 공정까지 전 과정에서 철저한 준비를 거쳤다. 특히, 동물성 원료와 알코올을 배제하고, 청결하고 안전한 생산 시스템을 구축해 할랄 기준을 충족시켰다. 아울러 할랄 보증 시스템(HAS)에서 매우 우수 등급인 'A'를 획득하며, 11가지 기준에 대한 이행 과정 요건을 모두 충족했다.
코스메카차이나는 단순히 할랄 인증 제품 생산에 그치지 않고, 현지 소비자들의 문화적 특성과 트렌드를 반영한 차별화된 제품 개발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아세안, 중동 등 급성장하는 할랄 시장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K-뷰티의 글로벌 확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예정이다.
코스메카차이나 관계자는 “MUI 인증 획득은 글로벌 화장품 ODM 시장에서 코스메카차이나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중동 및 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무슬림 시장을 대상으로 한 할랄 화장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현지 문화에 최적화된 제품을 개발하여 글로벌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 |
2 | 바이오의약품 CDMO 육성, 생물보안법 입법 시기 등 미국 주시해야 |
3 | [전문가 칼럼] 한국화장품, 미국 시장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다 |
4 | 비만치료제 고성장에도 주가 하락 '아이러니'…국내 비만 ETF도 '흔들' |
5 | 씨엔팜,"항암제 가짜내성 발생 원인 규명..근원적 해결책 찾았다" |
6 |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최대주주 '등극' |
7 | 타이레놀, 서현진과 ‘타이레놀 파우더’ 신규 캠페인 진행 |
8 | "이중항체 이어 ADC까지 접수한다" 에이비엘바이오 ADC 심포지엄 개막 |
9 | 국내는 약배송 금지…글로벌 온라인 약국,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800조원 성장 |
10 | ‘오젬픽’ ‘젭바운드’ 1형 당뇨병 시장 트랜스포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코스메카코리아의 중국 법인 코스메카차이나가 세계 3대 할랄 인증기관인 리폼 무이(LPPOM MUI)로부터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을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인증으로 코스메카코리아는 글로벌 할랄 화장품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고, K-뷰티의 위상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네시아는 2014년 제정된 할랄 보장법에 따라 단계적으로 할랄 인증 의무화를 시행하고 있다. 식음료 제품은 2024년 10월 18일부터, 화장품은 2026년 10월 17일까지 계도기간이 주어지고 그 후 본격 시행된다. 인도네시아의 할랄청(Badan Penyelenggara Jaminan Produk Halal, BPJPH)은 할랄 인증을 주관하며, 이슬람평의회(MUI) 및 할랄심사기관(LPH)과 협력해 인증 절차를 관리하고 있다.
이에 코스메카차이나는 이번 인증을 취득하기 위해 원료 선정부터 생산 공정까지 전 과정에서 철저한 준비를 거쳤다. 특히, 동물성 원료와 알코올을 배제하고, 청결하고 안전한 생산 시스템을 구축해 할랄 기준을 충족시켰다. 아울러 할랄 보증 시스템(HAS)에서 매우 우수 등급인 'A'를 획득하며, 11가지 기준에 대한 이행 과정 요건을 모두 충족했다.
코스메카차이나는 단순히 할랄 인증 제품 생산에 그치지 않고, 현지 소비자들의 문화적 특성과 트렌드를 반영한 차별화된 제품 개발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아세안, 중동 등 급성장하는 할랄 시장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K-뷰티의 글로벌 확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예정이다.
코스메카차이나 관계자는 “MUI 인증 획득은 글로벌 화장품 ODM 시장에서 코스메카차이나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중동 및 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무슬림 시장을 대상으로 한 할랄 화장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현지 문화에 최적화된 제품을 개발하여 글로벌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