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레이는 올해 1~3분기 누적 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큰폭으로 감소했다. 3분기엔 영업손실과 순손실이 발생해 전기 및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4년 11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올해 1~3분기 누적(이하 누적) 기준 컬러레이는30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258억원 대비 5.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억원을 기록, 전년동기 73억원 대비 97.1% 역성장했다. 순이익은 11억원으로 전년동기 90억원 대비 87.4% 급감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은 발생하지 않았다. 전년동기 1억원 대비 100.0% 감소했다. 연구개발비는 12억원을 지출했다. 전년동기 8억원 대비 54.5% 증가한 액수다.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하 비중)은 3.9%다.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25억원으로 전년동기 29억원 대비 15.5% 감소했다. 비중은 8.3%.
3분기의 경우 10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기 119억원 대비 8.7%, 전년동기 125억원 대비 12.9% 각각 감소했다. 4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해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전기(16억원) 및 전년동기(14억원) 대비 적자전환했다. 16억원의 순손실을 기록, 순이익을 냈던 전기(37억원) 및 전년동기(25억원) 대비 적자전환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은 발생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4억원을 사용해 전기 5억원 대비 13.8% 감소했고, 전년동기 3억원보다는 35.4% 증가했다. 비중은 3.9%.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9억원으로 전기 7억원 대비 27.8%. 전년동기 8억원 대비 5.3%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8.1%.
품목군별 매출 비중은 3분기 누적 기준 변색 시리즈, 기타 시리즈 진주안료, 간섭효과 진주안료시리즈, 실버화이트진주안료시리즈, 골든시리즈, 실버화이트진주안료시리즈 Ⅱ 순으로 높다.
변색시리즈 누적 매출은 90억원으로 전년동기 78억원 대비 15% 증가했다. 3분기 매출은 44억원으로 전기 37억원 대비 21%, 전년동기 23억원 대비 89% 각각 성장했다.
기타 시리즈 진주안료 누적 매출은 63억원으로 전년동기 78억원 대비 20% 감소했다. 3분기 매출은 21억원으로 전기 27억원 대비 23%, 전년동기 43억원 대비 52% 각각 감소했다.
간섭효과 진주안료시리즈 누적 매출은 57억원으로 전년동기 28억원 대비 100% 성장했다. 3분기 매출은 17억원으로 전기 16억원 대비 8%, 전년동기 10억원 대비 71% 각각 증가했다.
실버화이트진주안료시리즈 누적 매출은 37억원으로 전년동기 47억원 대비 21% 감소했다. 3분기 매출은 8억원으로 전기 20억원 대비 60%, 전년동기 16억원 대비 52% 각각 역성장했다.
골든시리즈 누적 매출은 33억원으로 전년동기 31억원 대비 7% 증가했다. 3분기 매출은 13억원으로 전기 12억원 대비 9%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17억원보다는 21% 감소했다.
실버화이트진주안료시리즈 Ⅱ 누적 매출은 20억원으로 전년동기 19억원 대비 6% 증가했다. 3분기 매출은 4억원으로 전기 7억원 대비 45%, 전년동기 14억원 대비 74% 각각 줄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 |
2 | 바이오의약품 CDMO 육성, 생물보안법 입법 시기 등 미국 주시해야 |
3 | [전문가 칼럼] 한국화장품, 미국 시장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다 |
4 | 비만치료제 고성장에도 주가 하락 '아이러니'…국내 비만 ETF도 '흔들' |
5 | 씨엔팜,"항암제 가짜내성 발생 원인 규명..근원적 해결책 찾았다" |
6 |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최대주주 '등극' |
7 | 타이레놀, 서현진과 ‘타이레놀 파우더’ 신규 캠페인 진행 |
8 | "이중항체 이어 ADC까지 접수한다" 에이비엘바이오 ADC 심포지엄 개막 |
9 | 국내는 약배송 금지…글로벌 온라인 약국,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800조원 성장 |
10 | ‘오젬픽’ ‘젭바운드’ 1형 당뇨병 시장 트랜스포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컬러레이는 올해 1~3분기 누적 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큰폭으로 감소했다. 3분기엔 영업손실과 순손실이 발생해 전기 및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4년 11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올해 1~3분기 누적(이하 누적) 기준 컬러레이는30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258억원 대비 5.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억원을 기록, 전년동기 73억원 대비 97.1% 역성장했다. 순이익은 11억원으로 전년동기 90억원 대비 87.4% 급감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은 발생하지 않았다. 전년동기 1억원 대비 100.0% 감소했다. 연구개발비는 12억원을 지출했다. 전년동기 8억원 대비 54.5% 증가한 액수다.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하 비중)은 3.9%다.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25억원으로 전년동기 29억원 대비 15.5% 감소했다. 비중은 8.3%.
3분기의 경우 10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기 119억원 대비 8.7%, 전년동기 125억원 대비 12.9% 각각 감소했다. 4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해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전기(16억원) 및 전년동기(14억원) 대비 적자전환했다. 16억원의 순손실을 기록, 순이익을 냈던 전기(37억원) 및 전년동기(25억원) 대비 적자전환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은 발생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4억원을 사용해 전기 5억원 대비 13.8% 감소했고, 전년동기 3억원보다는 35.4% 증가했다. 비중은 3.9%.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9억원으로 전기 7억원 대비 27.8%. 전년동기 8억원 대비 5.3%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8.1%.
품목군별 매출 비중은 3분기 누적 기준 변색 시리즈, 기타 시리즈 진주안료, 간섭효과 진주안료시리즈, 실버화이트진주안료시리즈, 골든시리즈, 실버화이트진주안료시리즈 Ⅱ 순으로 높다.
변색시리즈 누적 매출은 90억원으로 전년동기 78억원 대비 15% 증가했다. 3분기 매출은 44억원으로 전기 37억원 대비 21%, 전년동기 23억원 대비 89% 각각 성장했다.
기타 시리즈 진주안료 누적 매출은 63억원으로 전년동기 78억원 대비 20% 감소했다. 3분기 매출은 21억원으로 전기 27억원 대비 23%, 전년동기 43억원 대비 52% 각각 감소했다.
간섭효과 진주안료시리즈 누적 매출은 57억원으로 전년동기 28억원 대비 100% 성장했다. 3분기 매출은 17억원으로 전기 16억원 대비 8%, 전년동기 10억원 대비 71% 각각 증가했다.
실버화이트진주안료시리즈 누적 매출은 37억원으로 전년동기 47억원 대비 21% 감소했다. 3분기 매출은 8억원으로 전기 20억원 대비 60%, 전년동기 16억원 대비 52% 각각 역성장했다.
골든시리즈 누적 매출은 33억원으로 전년동기 31억원 대비 7% 증가했다. 3분기 매출은 13억원으로 전기 12억원 대비 9%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17억원보다는 21% 감소했다.
실버화이트진주안료시리즈 Ⅱ 누적 매출은 20억원으로 전년동기 19억원 대비 6% 증가했다. 3분기 매출은 4억원으로 전기 7억원 대비 45%, 전년동기 14억원 대비 74% 각각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