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기반기술 개발 사업단(단장 황재성, 이하 사업단)이 2025년도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7일 공고했다. 이 사업은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가 추진하는 화장품 R&D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총 3개 내역사업 분야에서 12개 과제를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 예정 분야는 ▲피부건강·증진 기반기술 개발, ▲필수 및 고부가가치 기초소재 개발, ▲규제대응 평가기술 지원으로 구성된다. 각 분야는 세부 과제와 지원 규모, 연구 기간, 과제 구성 요건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예를 들어, ‘피부장벽 조절 기술 개발’ 과제는 연간 3억 원(1차년도 2억 2,500만 원) 규모로, 최대 3년간 지원되며 학·연·병 공동연구가 필수 요건이다. 이 밖에도 ‘수출인허가 대응 평가기술 지원’ 과제는 연간 1억 원 규모로 2년간 지원 가능하며, 기업 주관으로만 신청할 수 있다.
사업단은 과제 공모와 관련된 세부 내용을 안내하기 위해 1월 10일 오전 10시 30분에 온라인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공모 과제의 세부 내용과 연구계획서 작성 요령,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설명하며, 실시간 질의응답 시간도 마련된다. 설명회 접속 링크는 당일 공개될 예정이다.
IRIS 시스템을 통한 연구개발계획서 전산입력은 1월 13일부터 시작되며, 제출 마감은 2월 5일 오후 4시까지다. 주관기관 승인은 2월 6일까지 완료해야 한다. 신청자는 과제 공모 세부 사항과 관련 자료를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또는 보건의료기술종합정보시스템(HTDrea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업단 관계자는 “이번 공모는 대부분의 지원분야에서 마지막 기회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관심 있는 연구자와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IRIS 시스템 사용법과 공고 첨부 자료를 충분히 숙지하고, 마감 기한을 준수해 여유 있게 신청해달라”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 |
2 | 바이오의약품 CDMO 육성, 생물보안법 입법 시기 등 미국 주시해야 |
3 | [전문가 칼럼] 한국화장품, 미국 시장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다 |
4 | 비만치료제 고성장에도 주가 하락 '아이러니'…국내 비만 ETF도 '흔들' |
5 |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최대주주 '등극' |
6 | 타이레놀, 서현진과 ‘타이레놀 파우더’ 신규 캠페인 진행 |
7 | 씨엔팜,"항암제 가짜내성 발생 원인 규명..근원적 해결책 찾았다" |
8 | "이중항체 이어 ADC까지 접수한다" 에이비엘바이오 ADC 심포지엄 개막 |
9 | 국내는 약배송 금지…글로벌 온라인 약국,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800조원 성장 |
10 | ‘오젬픽’ ‘젭바운드’ 1형 당뇨병 시장 트랜스포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피부 기반기술 개발 사업단(단장 황재성, 이하 사업단)이 2025년도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7일 공고했다. 이 사업은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가 추진하는 화장품 R&D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총 3개 내역사업 분야에서 12개 과제를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 예정 분야는 ▲피부건강·증진 기반기술 개발, ▲필수 및 고부가가치 기초소재 개발, ▲규제대응 평가기술 지원으로 구성된다. 각 분야는 세부 과제와 지원 규모, 연구 기간, 과제 구성 요건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예를 들어, ‘피부장벽 조절 기술 개발’ 과제는 연간 3억 원(1차년도 2억 2,500만 원) 규모로, 최대 3년간 지원되며 학·연·병 공동연구가 필수 요건이다. 이 밖에도 ‘수출인허가 대응 평가기술 지원’ 과제는 연간 1억 원 규모로 2년간 지원 가능하며, 기업 주관으로만 신청할 수 있다.
사업단은 과제 공모와 관련된 세부 내용을 안내하기 위해 1월 10일 오전 10시 30분에 온라인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공모 과제의 세부 내용과 연구계획서 작성 요령,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설명하며, 실시간 질의응답 시간도 마련된다. 설명회 접속 링크는 당일 공개될 예정이다.
IRIS 시스템을 통한 연구개발계획서 전산입력은 1월 13일부터 시작되며, 제출 마감은 2월 5일 오후 4시까지다. 주관기관 승인은 2월 6일까지 완료해야 한다. 신청자는 과제 공모 세부 사항과 관련 자료를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또는 보건의료기술종합정보시스템(HTDrea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업단 관계자는 “이번 공모는 대부분의 지원분야에서 마지막 기회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관심 있는 연구자와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IRIS 시스템 사용법과 공고 첨부 자료를 충분히 숙지하고, 마감 기한을 준수해 여유 있게 신청해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