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표적항암제 ‘다잘렉스’(DARZALEX, 성분명: 다라투무맙) 바이오시밀러 ‘CT-P44’ 유럽 임상3상 시험계획(Part2)을 유럽의약품청(EMA)에 18일(현지시간 기준) 신청했다.
임상시험 제목은 ‘ 불응성 또는 재발성 다발성 골수종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레날리도마이드 및 덱사메타손과 병용한 피하주사제 CT-P44와 Darzalex Faspro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비교하기 위한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활성 대조, 평행군, 제 3상 임상시험’으로, 임상은 486명을 대상으로 2년 간 진행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 3상 임상시험을 통해 CT-P44 약물의 오리지널 약물 다잘렉스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 결과를 통해 유사성(biosimilarity)를 입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럽 임상시험규정 개정으로 2023년 1월 31일부터 유럽 임상 시험계획 신청/승인 절차가 Part1(임상 디자인 및 연구방법에 관한 평가)과 Part2(임상 기관 및 실행에 관한 평가)로 구분돼, 최종적으로 Part2까지 승인 완료돼야 임상 시험 진행이 가능하다.
한편 셀트리온은 지난해 12월 ‘CT-P44’ 글로벌 임상 3상 진행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 미국 FDA 승인을 획득해 임상을 진행 중이다. 회사는 CT-P44 미국 유럽 임상을 통해 신규 표적항암제 파이프라인을 추가하면서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다잘렉스는 다발 골수종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결합해 암 세포 성장을 막는 표적항암제로, 2023년 기준 글로벌 시장 매출액은 약 97억 4,400만 달러(한화 12조 6,672억원)다.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2029년, 2031년 물질특허가 만료될 예정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블록버스터' 특허절벽! ‘키트루다’도 가고 ‘다잘렉스’도 가고.. |
2 | 강스템바이오텍,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융복합제제’ 미국 특허 등록 |
3 | 국힘, 정은경 ‘송곳검증’ 예고…복지부 장관 임명 ‘산 넘어 산’ |
4 | 한국바이오협회, 산자부 '탄소순환플랫폼’ 사업 총괄주관기관 선정 |
5 | 건기식 판매 약국 안전위생교육 의무화…면허 미신고 땐 효력 정지 |
6 | K-뷰티서 출발한 '푸디피케이션', 글로벌 브랜드 전략 됐다 |
7 | 지니너스, 에이비엘바이오와 유전체 AI 솔루션 공급계약 체결 |
8 | 비타민C, 일본서 ‘데일리 성분’으로 |
9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일본 의약 전문 유통사 Summit과 업무협약 체결 |
10 | AI 챗봇부터 돌봄 조례까지…서울시약사회, 약사 정책 추진 박차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셀트리온이 표적항암제 ‘다잘렉스’(DARZALEX, 성분명: 다라투무맙) 바이오시밀러 ‘CT-P44’ 유럽 임상3상 시험계획(Part2)을 유럽의약품청(EMA)에 18일(현지시간 기준) 신청했다.
임상시험 제목은 ‘ 불응성 또는 재발성 다발성 골수종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레날리도마이드 및 덱사메타손과 병용한 피하주사제 CT-P44와 Darzalex Faspro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비교하기 위한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활성 대조, 평행군, 제 3상 임상시험’으로, 임상은 486명을 대상으로 2년 간 진행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 3상 임상시험을 통해 CT-P44 약물의 오리지널 약물 다잘렉스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 결과를 통해 유사성(biosimilarity)를 입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럽 임상시험규정 개정으로 2023년 1월 31일부터 유럽 임상 시험계획 신청/승인 절차가 Part1(임상 디자인 및 연구방법에 관한 평가)과 Part2(임상 기관 및 실행에 관한 평가)로 구분돼, 최종적으로 Part2까지 승인 완료돼야 임상 시험 진행이 가능하다.
한편 셀트리온은 지난해 12월 ‘CT-P44’ 글로벌 임상 3상 진행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 미국 FDA 승인을 획득해 임상을 진행 중이다. 회사는 CT-P44 미국 유럽 임상을 통해 신규 표적항암제 파이프라인을 추가하면서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다잘렉스는 다발 골수종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결합해 암 세포 성장을 막는 표적항암제로, 2023년 기준 글로벌 시장 매출액은 약 97억 4,400만 달러(한화 12조 6,672억원)다.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2029년, 2031년 물질특허가 만료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