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성차의학연구소(소장 김나영)은 30일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소장 이혜숙)와 성차의학의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양 기관은 △성차의학 연구 △국제 협력 정보교류 △특별전시회, 강연, 회의, 심포지엄 등 공동 개최 등을 통해 최근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성차의학 발전에 적극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성차의학(Sex/gender Specific Medicine)은 질병의 진단·치료·예방에 생물학적 성별(sex)이나 젠더(gender)에 따른 차이를 연구하는 분야로, 오랫동안 의학계에서 간과돼 온 성별 차이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해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편향성 없는 방향으로 의학을 발전시키는 게 목적이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국내 최초로 성차의학연구소를 설립하며 임상 영역에서 성차의학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분당서울대병원과 국내 젠더 정책 연구, 교육 사업 등을 이끌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가 힘을 합쳐 성차의학의 저변을 넓히고, 세계적인 연구 기관과의 협력 및 교류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그 하나로 11월 29일 양 기관은 국립보건연구원과 함께 ‘2024 국제 성차의학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정신과, 신경과, 순환기내과, 재활의학과, 류마티스내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차를 연구하는 국내 연구진과 독일 샤리테 대학교, 아일랜드 더블린 대학교, 네덜란드 라드바우드 대학교 등 유수의 해외 연구진들이 연자로 나서 풍성한 학술 교류의 장이 펼쳐질 것으로 연구소는 기대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 성차의학연구소장은 “성차의학은 남녀 모두에게 보다 적합한 치료를 제공하는 맞춤의학, 정밀의학을 실현하기 위해 반드시 깊이 연구해야 할 분야”라며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성차의학이 국내에서도 의학 연구의 큰 줄기를 이루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이혜숙 소장은 “오랜 기간 성별 특성을 간과한 의학 연구가 이어져 오며 발생한 잠재적 위험, 그리고 사회·경제적 손실이 속속 밝혀지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세계적 흐름에 맞춰 성차의학 발전을 위한 노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어 기쁘다”며 “젠더 편향성을 극복하고 보다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과학기술 및 의학이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분당서울대병원은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교, 메이요 클리닉, 독일의 샤리테 대학교 등에 이어 지난해 국내 최초로 성차의학연구소를 설립한 바 있으며, 2022년 국제 출판사 스프링거(Springer)에서 ‘소화기질환에서의 성차의학’(Sex/Gender Specific Medicine in The Gastrointestinal Diseases) 교과서를 세계 최초로 집필한 김나영 교수가 초대 연구소장을 맡았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 |
2 | 바이오의약품 CDMO 육성, 생물보안법 입법 시기 등 미국 주시해야 |
3 | [전문가 칼럼] 한국화장품, 미국 시장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다 |
4 | 비만치료제 고성장에도 주가 하락 '아이러니'…국내 비만 ETF도 '흔들' |
5 |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최대주주 '등극' |
6 | 타이레놀, 서현진과 ‘타이레놀 파우더’ 신규 캠페인 진행 |
7 | 씨엔팜,"항암제 가짜내성 발생 원인 규명..근원적 해결책 찾았다" |
8 | "이중항체 이어 ADC까지 접수한다" 에이비엘바이오 ADC 심포지엄 개막 |
9 | 국내는 약배송 금지…글로벌 온라인 약국,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800조원 성장 |
10 | ‘오젬픽’ ‘젭바운드’ 1형 당뇨병 시장 트랜스포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분당서울대병원 성차의학연구소(소장 김나영)은 30일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소장 이혜숙)와 성차의학의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양 기관은 △성차의학 연구 △국제 협력 정보교류 △특별전시회, 강연, 회의, 심포지엄 등 공동 개최 등을 통해 최근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성차의학 발전에 적극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성차의학(Sex/gender Specific Medicine)은 질병의 진단·치료·예방에 생물학적 성별(sex)이나 젠더(gender)에 따른 차이를 연구하는 분야로, 오랫동안 의학계에서 간과돼 온 성별 차이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해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편향성 없는 방향으로 의학을 발전시키는 게 목적이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국내 최초로 성차의학연구소를 설립하며 임상 영역에서 성차의학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분당서울대병원과 국내 젠더 정책 연구, 교육 사업 등을 이끌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가 힘을 합쳐 성차의학의 저변을 넓히고, 세계적인 연구 기관과의 협력 및 교류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그 하나로 11월 29일 양 기관은 국립보건연구원과 함께 ‘2024 국제 성차의학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정신과, 신경과, 순환기내과, 재활의학과, 류마티스내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차를 연구하는 국내 연구진과 독일 샤리테 대학교, 아일랜드 더블린 대학교, 네덜란드 라드바우드 대학교 등 유수의 해외 연구진들이 연자로 나서 풍성한 학술 교류의 장이 펼쳐질 것으로 연구소는 기대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 성차의학연구소장은 “성차의학은 남녀 모두에게 보다 적합한 치료를 제공하는 맞춤의학, 정밀의학을 실현하기 위해 반드시 깊이 연구해야 할 분야”라며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성차의학이 국내에서도 의학 연구의 큰 줄기를 이루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이혜숙 소장은 “오랜 기간 성별 특성을 간과한 의학 연구가 이어져 오며 발생한 잠재적 위험, 그리고 사회·경제적 손실이 속속 밝혀지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세계적 흐름에 맞춰 성차의학 발전을 위한 노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어 기쁘다”며 “젠더 편향성을 극복하고 보다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과학기술 및 의학이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분당서울대병원은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교, 메이요 클리닉, 독일의 샤리테 대학교 등에 이어 지난해 국내 최초로 성차의학연구소를 설립한 바 있으며, 2022년 국제 출판사 스프링거(Springer)에서 ‘소화기질환에서의 성차의학’(Sex/Gender Specific Medicine in The Gastrointestinal Diseases) 교과서를 세계 최초로 집필한 김나영 교수가 초대 연구소장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