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엔테크社가 중국의 임상단계 연구‧개발 전문 생명공학기업 바이오테우스社(Biotheus‧普米斯生物技術)를 인수키로 합의했다고 13일 공표했다.
바이오테우스는 항암제와 염증성 질환 치료제 등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가 존재하는 분야에서 새로운 항체의 발굴‧개발을 진행하는 데 사세를 집중해 온 생명공학사이다.
인수가 성사됨에 따라 바이오엔테크는 후기단계의 개발이 진행 중인 임상자산 ‘BNT327/PM8002’에 대한 글로벌 전권을 확보하게 됐다.
‘BNT327/PM8002’는 프로그램 세포사멸 단백질 리간드-1(PD-L1)과 혈관내피 증식인자-A(VEGF-A)를 표적으로 작용하는 이중 특이성 항체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인수합의는 ‘BNT327/PM8002’를 이용한 병용요법제의 연구, 개발 및 발매를 진행하기 위한 자사의 역량을 끌어올리고자 하는 바이오엔테크의 항암제 전략의 일환으로 성사된 것이다.
‘BNT327/PM8002’와 PD-(L)1×VEGF 이중 특이성 계열 항암제의 임상시험에서 다양한 종양 유형에 걸쳐 고무적인(encouraging) 임상활성이 입증됐다.
여기서 언급된 종양 유형 가운데는 기존의 과문 저해제들에 불응성을 나타낸 PD-L1 저발현 및 음성 종양들이 포함되어 있다.
바이오엔테크社의 우구르 사힌 대표는 “바이오테우스를 인수키로 합의한 것이 ‘BNT327/PM8002’와 기타 개발이 진행 중인 이중 특이성 항체들과 관련해서 성공적으로 진행 중인 협력의 기반 위에서 성사된 것”이라면서 “우리는 ‘BNT327/PM8002’가 다양한 종양 적응증에 걸쳐 전통적인 관문 저해제들을 뛰어넘는 새로운 표준요법제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뒤이어 “각종 고형암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 대한 치료성과를 향상시키겠다는 목표에 따라 우리가 개발 중인 mRNA 백신, 표적 치료제 및 면역조절제들과 병용요법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데 변함없이 혼신의 힘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오테우스社의 샤올린 류 총경리는 “바이오엔테크 측과의 결함이 한층 더 심화될 수 있게 된 것을 환영해 마지 않는다”면서 “양사가 암과의 싸움에서 미래의 병용요법제로 ‘BNT327/PM8002’의 개발을 진행해 나가겠다는 공통의 목표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류 총경리는 “우리가 다양한 종양 적응증에 걸쳐 ‘BNT327/PM8002’가 내포하고 있는 괄목할 만한 잠재력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다”며 “또한 우리는 항체 발굴‧개발 플랫폼을 포함해 개발이 진행 중인 혁신적인 연구‧개발 자산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생명공학사”라고 설명했다.
류 총경리는 또 “앞으로 우리는 전환적인(transformative) 항암제들을 개발하고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 개발역량을 향상시키겠다는 목표를 갖고 우리의 강점을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BNT327/PM8002’는 지금까지 700여명의 환자들이 임상시험에 참여해 치료를 받은 다양한 종양 유형에 걸쳐 효능과 내약성이 입증되어 왔다.
이와 함께 올해와 2025년에 다양한 임상시험이 추가로 개시될 예정으로 있다.
‘BNT327/PM8002’는 이를 통해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및 삼중 음성 유방암을 포함한 다양한 고형암 적응증에 걸쳐 항암화학요법제와 병용하는 요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게 된다.
바이오엔테크 측이 독자보유한 항체-약물 결합체(ADCs)와 ‘BNT327/PM8002’를 병용하는 요법을 탐색하기 위한 임상시험 또한 추가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앞서 지난 6월에는 바이오엔테크 측이 중국 제약기업 듀얼리티 바이올로직스社(Duality Biologics‧映恩生物)와 공동개발한 영양막 세포 표면항원 2(TROP2) 표적 항체-약물 결합체 후보물질 ‘BNT325/DB-1305’와 ‘BNT327/PM8002’ 병용요법제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1/2상 시험이 개시되어 현재 진행 중이다.
양사간 합의에 따라 바이오엔테크는 8억 달러의 계약성사금을 대부분 현금으로 바이오테우스 측에 지급키로 했다.
이 가운데는 발행된 주식 100%를 인수하기 위한 미국 주식예탁증서(ADR)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차후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추가로 지급될 성과금은 최대 1억5,000만 달러에 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양사간 합의에 따른 후속절차들은 내년 1/4분기 중으로 마침표를 찍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사는 앞서 지난해 11월 바이오엔테크가 중화권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마켓에서 ‘BNT327/PM8002’의 개발, 제조 및 발매를 진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갖기로 하는 내용의 독점적 글로벌 라이센스 제휴에 합의한 바 있다.
인수절차가 마무리되면 바이오엔테크는 바이오테우스 측이 보유해 왔던 파이프라인 후보물질 전체와 자체 이중 특이성 항에 결합역량을 포함한 권한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바이오엔테크는 중국시장에서 자사의 존재감을 확대하면서 중국 내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 허브 한곳을 추가로 확보하게 된다.
이밖에도 차후 글로벌 마켓 제조‧공급에 기여할 첨단 생물학적 제제 제조시설 또한 인계받게 되고, 총 300명 이상의 바이오테우스 측 연구‧개발, 제조 종사자들에 대한 고용을 승계하게 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 |
2 | 바이오의약품 CDMO 육성, 생물보안법 입법 시기 등 미국 주시해야 |
3 | [전문가 칼럼] 한국화장품, 미국 시장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다 |
4 | 비만치료제 고성장에도 주가 하락 '아이러니'…국내 비만 ETF도 '흔들' |
5 |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최대주주 '등극' |
6 | 타이레놀, 서현진과 ‘타이레놀 파우더’ 신규 캠페인 진행 |
7 | 씨엔팜,"항암제 가짜내성 발생 원인 규명..근원적 해결책 찾았다" |
8 | "이중항체 이어 ADC까지 접수한다" 에이비엘바이오 ADC 심포지엄 개막 |
9 | 국내는 약배송 금지…글로벌 온라인 약국,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800조원 성장 |
10 | ‘오젬픽’ ‘젭바운드’ 1형 당뇨병 시장 트랜스포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독일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엔테크社가 중국의 임상단계 연구‧개발 전문 생명공학기업 바이오테우스社(Biotheus‧普米斯生物技術)를 인수키로 합의했다고 13일 공표했다.
바이오테우스는 항암제와 염증성 질환 치료제 등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가 존재하는 분야에서 새로운 항체의 발굴‧개발을 진행하는 데 사세를 집중해 온 생명공학사이다.
인수가 성사됨에 따라 바이오엔테크는 후기단계의 개발이 진행 중인 임상자산 ‘BNT327/PM8002’에 대한 글로벌 전권을 확보하게 됐다.
‘BNT327/PM8002’는 프로그램 세포사멸 단백질 리간드-1(PD-L1)과 혈관내피 증식인자-A(VEGF-A)를 표적으로 작용하는 이중 특이성 항체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인수합의는 ‘BNT327/PM8002’를 이용한 병용요법제의 연구, 개발 및 발매를 진행하기 위한 자사의 역량을 끌어올리고자 하는 바이오엔테크의 항암제 전략의 일환으로 성사된 것이다.
‘BNT327/PM8002’와 PD-(L)1×VEGF 이중 특이성 계열 항암제의 임상시험에서 다양한 종양 유형에 걸쳐 고무적인(encouraging) 임상활성이 입증됐다.
여기서 언급된 종양 유형 가운데는 기존의 과문 저해제들에 불응성을 나타낸 PD-L1 저발현 및 음성 종양들이 포함되어 있다.
바이오엔테크社의 우구르 사힌 대표는 “바이오테우스를 인수키로 합의한 것이 ‘BNT327/PM8002’와 기타 개발이 진행 중인 이중 특이성 항체들과 관련해서 성공적으로 진행 중인 협력의 기반 위에서 성사된 것”이라면서 “우리는 ‘BNT327/PM8002’가 다양한 종양 적응증에 걸쳐 전통적인 관문 저해제들을 뛰어넘는 새로운 표준요법제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뒤이어 “각종 고형암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 대한 치료성과를 향상시키겠다는 목표에 따라 우리가 개발 중인 mRNA 백신, 표적 치료제 및 면역조절제들과 병용요법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데 변함없이 혼신의 힘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오테우스社의 샤올린 류 총경리는 “바이오엔테크 측과의 결함이 한층 더 심화될 수 있게 된 것을 환영해 마지 않는다”면서 “양사가 암과의 싸움에서 미래의 병용요법제로 ‘BNT327/PM8002’의 개발을 진행해 나가겠다는 공통의 목표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류 총경리는 “우리가 다양한 종양 적응증에 걸쳐 ‘BNT327/PM8002’가 내포하고 있는 괄목할 만한 잠재력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다”며 “또한 우리는 항체 발굴‧개발 플랫폼을 포함해 개발이 진행 중인 혁신적인 연구‧개발 자산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생명공학사”라고 설명했다.
류 총경리는 또 “앞으로 우리는 전환적인(transformative) 항암제들을 개발하고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 개발역량을 향상시키겠다는 목표를 갖고 우리의 강점을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BNT327/PM8002’는 지금까지 700여명의 환자들이 임상시험에 참여해 치료를 받은 다양한 종양 유형에 걸쳐 효능과 내약성이 입증되어 왔다.
이와 함께 올해와 2025년에 다양한 임상시험이 추가로 개시될 예정으로 있다.
‘BNT327/PM8002’는 이를 통해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및 삼중 음성 유방암을 포함한 다양한 고형암 적응증에 걸쳐 항암화학요법제와 병용하는 요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게 된다.
바이오엔테크 측이 독자보유한 항체-약물 결합체(ADCs)와 ‘BNT327/PM8002’를 병용하는 요법을 탐색하기 위한 임상시험 또한 추가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앞서 지난 6월에는 바이오엔테크 측이 중국 제약기업 듀얼리티 바이올로직스社(Duality Biologics‧映恩生物)와 공동개발한 영양막 세포 표면항원 2(TROP2) 표적 항체-약물 결합체 후보물질 ‘BNT325/DB-1305’와 ‘BNT327/PM8002’ 병용요법제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1/2상 시험이 개시되어 현재 진행 중이다.
양사간 합의에 따라 바이오엔테크는 8억 달러의 계약성사금을 대부분 현금으로 바이오테우스 측에 지급키로 했다.
이 가운데는 발행된 주식 100%를 인수하기 위한 미국 주식예탁증서(ADR)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차후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추가로 지급될 성과금은 최대 1억5,000만 달러에 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양사간 합의에 따른 후속절차들은 내년 1/4분기 중으로 마침표를 찍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사는 앞서 지난해 11월 바이오엔테크가 중화권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마켓에서 ‘BNT327/PM8002’의 개발, 제조 및 발매를 진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갖기로 하는 내용의 독점적 글로벌 라이센스 제휴에 합의한 바 있다.
인수절차가 마무리되면 바이오엔테크는 바이오테우스 측이 보유해 왔던 파이프라인 후보물질 전체와 자체 이중 특이성 항에 결합역량을 포함한 권한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바이오엔테크는 중국시장에서 자사의 존재감을 확대하면서 중국 내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 허브 한곳을 추가로 확보하게 된다.
이밖에도 차후 글로벌 마켓 제조‧공급에 기여할 첨단 생물학적 제제 제조시설 또한 인계받게 되고, 총 300명 이상의 바이오테우스 측 연구‧개발, 제조 종사자들에 대한 고용을 승계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