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화된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을 효과적으로 발전시켜, 약사 직능을 한층 강화하고 국민건강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
대한약사회장 선거에 나선 최광훈 후보(기호 1번)는 19일 도봉강북구 지역 약국을 방문,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통한 약사의 직능 확대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공약을 발표했다.
서울 도봉강북에서 이 같은 공약을 강조한 이유는 이곳이 전국 최초로 의약사 협업 다제약물관리모델이 시행된 곳이기 때문이다.
최 후보는 "도봉강북구는 의약사 협업모델을 통해 다제약물관리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지역으로, 약사의 전문성이 국민건강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증명한 사례"라고 강조했다. 실제 도봉강북구에서 수행된 의약사협업모델은 약사와 의사가 협력하여 환자의 약물 처방과 관리 등을 조율하며 만성질환 관리, 약물 중복 방지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최 후보는 이 성공 모델을 전국적으로 확대해 약사와 의사가 협력하는 지속 가능한 보건의료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이 같은 비전은 최후보가 대한약사회장 임기 중 사활을 걸고 법제화를 이뤄낸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일명 통합돌봄법을 통해 실현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법률은 의약품 전문가인 약사 역할을 명확히 함으로써 온전한 보건의료 협업 기반이 마련된 것은 물론 통합돌봄 대상자 중심으로 돌봄 서비스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최 후보는 통합돌봄법을 기반으로 약사직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먼저 △다제약물관리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방문약료를 활성화하겠다며, 고령층과 복합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약사의 약물관리 서비스를 확대해 지역사회 건강을 책임지겠다고 전했다.
또 △방문약료 및 다제약물관리 서비스를 수가화 해 약사의 전문적 행위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방문약료와 다제약물관리에 건강보험 수가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최 후보는 △요양시설 방문약료 강화도 약속했다. 최 후보는 “요양시설 내 약물관리 서비스를 활성해 취약계층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며, 약사의 복약지도와 약물 모니터링을 통해 약물 오남용을 예방하고, 입원 및 합병증 발생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두겠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의약사 협업체계의 확산을 도모하겠다고 설명했다. 최 후보는 “도봉강북구의 성공 사례를 확대하여 약사-의사의 협업을 통한 지속 가능한 돌봄 모델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인데, 현재 이미 건보공단과의 협의를 통해 광주, 세종 등으로 차근차근 지역 확대가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 후보는 “약사가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며 신뢰받는 보건의료 전문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4 국정감사 이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전달한 답변을 통해 “향후 다제약물관리사업에 약사인력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대한약사회와 적극 협업해 사업계획을 구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 |
2 | 바이오의약품 CDMO 육성, 생물보안법 입법 시기 등 미국 주시해야 |
3 | [전문가 칼럼] 한국화장품, 미국 시장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다 |
4 | 비만치료제 고성장에도 주가 하락 '아이러니'…국내 비만 ETF도 '흔들' |
5 |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최대주주 '등극' |
6 | 타이레놀, 서현진과 ‘타이레놀 파우더’ 신규 캠페인 진행 |
7 | 씨엔팜,"항암제 가짜내성 발생 원인 규명..근원적 해결책 찾았다" |
8 | "이중항체 이어 ADC까지 접수한다" 에이비엘바이오 ADC 심포지엄 개막 |
9 | 국내는 약배송 금지…글로벌 온라인 약국,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800조원 성장 |
10 | ‘오젬픽’ ‘젭바운드’ 1형 당뇨병 시장 트랜스포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법제화된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을 효과적으로 발전시켜, 약사 직능을 한층 강화하고 국민건강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
대한약사회장 선거에 나선 최광훈 후보(기호 1번)는 19일 도봉강북구 지역 약국을 방문,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통한 약사의 직능 확대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공약을 발표했다.
서울 도봉강북에서 이 같은 공약을 강조한 이유는 이곳이 전국 최초로 의약사 협업 다제약물관리모델이 시행된 곳이기 때문이다.
최 후보는 "도봉강북구는 의약사 협업모델을 통해 다제약물관리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지역으로, 약사의 전문성이 국민건강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증명한 사례"라고 강조했다. 실제 도봉강북구에서 수행된 의약사협업모델은 약사와 의사가 협력하여 환자의 약물 처방과 관리 등을 조율하며 만성질환 관리, 약물 중복 방지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최 후보는 이 성공 모델을 전국적으로 확대해 약사와 의사가 협력하는 지속 가능한 보건의료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이 같은 비전은 최후보가 대한약사회장 임기 중 사활을 걸고 법제화를 이뤄낸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일명 통합돌봄법을 통해 실현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법률은 의약품 전문가인 약사 역할을 명확히 함으로써 온전한 보건의료 협업 기반이 마련된 것은 물론 통합돌봄 대상자 중심으로 돌봄 서비스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최 후보는 통합돌봄법을 기반으로 약사직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먼저 △다제약물관리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방문약료를 활성화하겠다며, 고령층과 복합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약사의 약물관리 서비스를 확대해 지역사회 건강을 책임지겠다고 전했다.
또 △방문약료 및 다제약물관리 서비스를 수가화 해 약사의 전문적 행위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방문약료와 다제약물관리에 건강보험 수가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최 후보는 △요양시설 방문약료 강화도 약속했다. 최 후보는 “요양시설 내 약물관리 서비스를 활성해 취약계층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며, 약사의 복약지도와 약물 모니터링을 통해 약물 오남용을 예방하고, 입원 및 합병증 발생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두겠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의약사 협업체계의 확산을 도모하겠다고 설명했다. 최 후보는 “도봉강북구의 성공 사례를 확대하여 약사-의사의 협업을 통한 지속 가능한 돌봄 모델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인데, 현재 이미 건보공단과의 협의를 통해 광주, 세종 등으로 차근차근 지역 확대가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 후보는 “약사가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며 신뢰받는 보건의료 전문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4 국정감사 이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전달한 답변을 통해 “향후 다제약물관리사업에 약사인력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대한약사회와 적극 협업해 사업계획을 구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