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도 미국 약사회의 감염병 예방 및 접종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한약국학회, 이화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가 공동 주관하는 이 교육프로그램은 미국약사회(American Pharmacy Association, APhA) 인증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시행된다.
대한약국학회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는 국내 역사상 최초로 2023년 8월에 미국약사회(American Pharmacy Association, APhA) 인증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미국 약대교수와 함께 국내 약대생 50명을 대상으로 제1차 감염병 예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기획, 추진했던 이화여대 약대 이정연 교수와 숙명여대 약대 방준석 교수 등은 2024년 FIP 국제학술대회에서 그 성과를 보고하였고, 또한 미국약학대학협회(AACP)로부터 ‘2024년 교육혁신상’을 수상하였다.
2023년에 이어 2025년 2월 23일에는 제2차 교육이 예정돼 있는데 제1차때 약대생을 대상으로 한 것과 달리 이번 교육은 국내 약사 5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될 예정이다.이번 교육프로그램의 목적은 학습자가 예방접종에 대해 포괄적이고 심도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응용 및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미래 감염병 위기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약사직능을 향상시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국내 약사들은 다가오는 변화를 대비하고, 실정에 맞는 감염예방 약료활동을 펼칠 수 있으며, 공중보건영역에 적극 참여하는 전문가의 기반을 갖출 수 있다. 교육과정을 완료한 수료자에게는 APhA가 인증서(certificate)를 발급한다.
교육은 총 3단계로 진행되며 23개 학습모듈과 추가모듈이 제공된다. 1단계로는 자기주도형학습(온라인, 출석인정기간 1개월)인데 학습자는 인정기간 안에 자유롭게 학습한다. 2단계는 대면학습(8시간, 2025년2월23일, 이화여자대학교)이며, 3단계는 최종평가(대면학습 완료후 1개월 이내 온라인 응시)이다. 대한민국 약사면허 소지자이면 등록 및 응시 가능하며, 이화여대 약학연구소 후원인 및 대한약국학회 정회원 한정 등록비 10% 감면 혜택이 있으며 1월15일까지 선착순으로 마감한다.
아래 등록안내에 따라 등록비 납부 후, 학습을 시작하면 된다.
https://docs.google.com/forms/d/1-HnmMEzvmTCPmDNuPylOZQH9qfI3UiiytuUTp6HnxhU/preview
<자세한 문의 이정연 교수, 이메일 sandy.rhie@ewha.ac.kr, 전화 02-3277-3023>
한편 감염병인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끼친 보건의료적, 사회적 상처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당시에 각국은 보건의료 역량을 총동원하여 자국민의 감염병 예방을 위해 활동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감염질환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위험이 여전하므로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지난 코로나 비상 상황에서 백신과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실행역량이 크게 부각되었는데, 세계약사연맹(FIP)은 2024년 기준으로 전 세계 56개국에서 약국기반 예방접종(Pharmacy-based vaccination)이 시행 중임을 보고하였으며, 보건의료 선진국에서는 약사가 백신 활동에 참여하기 전부터 예방접종 교육을 받고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까지도 많은 국가에서 약사의 예방접종 실시는 합법화되지는 않았으나 팬데믹 이후 각국에서 약사에 의한 예방접종 수행 역량의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와 유사한 예방접종관련 교육프로그램이 없는 상황이므로 글로벌 보건의료 세계적 추세에 부응하고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그룹 진양곤 회장,미국 CMC 실사 마치고 계열사 지분 매입 |
2 | 국내 연구진,메지온 '유데나필' 통한 폰탄 환자 치료 가능성 제시 |
3 | 지난해 3분기 제약바이오 90개사 유보율 코스피 1866.82%, 코스닥 2559.15% |
4 | 쇼피 2024년 매출 1위 K-뷰티가 휩쓸어 |
5 | “비만치료제 미래는 초장기 지속형 GLP-1다” |
6 | 제2회 전문약사 자격시험, 합격률 84.2% |
7 | 파멥신, 아벤티와 노인성근감소증 신약개발에 힘 합친다 |
8 | 인투셀, 오름테라퓨틱, 동국생명과학까지 "바이오 상장 한파 뚫고 봄바람" |
9 | GLP-1 쌍끌이 노보‧릴리 후속주자 줄을 서시오! |
10 | 현대바이오,"제프티,미국 NIH와 3월부터 바이러스 질환 치료제 개발 공동연구"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우리나라에서도 미국 약사회의 감염병 예방 및 접종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한약국학회, 이화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가 공동 주관하는 이 교육프로그램은 미국약사회(American Pharmacy Association, APhA) 인증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시행된다.
대한약국학회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는 국내 역사상 최초로 2023년 8월에 미국약사회(American Pharmacy Association, APhA) 인증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미국 약대교수와 함께 국내 약대생 50명을 대상으로 제1차 감염병 예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기획, 추진했던 이화여대 약대 이정연 교수와 숙명여대 약대 방준석 교수 등은 2024년 FIP 국제학술대회에서 그 성과를 보고하였고, 또한 미국약학대학협회(AACP)로부터 ‘2024년 교육혁신상’을 수상하였다.
2023년에 이어 2025년 2월 23일에는 제2차 교육이 예정돼 있는데 제1차때 약대생을 대상으로 한 것과 달리 이번 교육은 국내 약사 5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될 예정이다.이번 교육프로그램의 목적은 학습자가 예방접종에 대해 포괄적이고 심도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응용 및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미래 감염병 위기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약사직능을 향상시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국내 약사들은 다가오는 변화를 대비하고, 실정에 맞는 감염예방 약료활동을 펼칠 수 있으며, 공중보건영역에 적극 참여하는 전문가의 기반을 갖출 수 있다. 교육과정을 완료한 수료자에게는 APhA가 인증서(certificate)를 발급한다.
교육은 총 3단계로 진행되며 23개 학습모듈과 추가모듈이 제공된다. 1단계로는 자기주도형학습(온라인, 출석인정기간 1개월)인데 학습자는 인정기간 안에 자유롭게 학습한다. 2단계는 대면학습(8시간, 2025년2월23일, 이화여자대학교)이며, 3단계는 최종평가(대면학습 완료후 1개월 이내 온라인 응시)이다. 대한민국 약사면허 소지자이면 등록 및 응시 가능하며, 이화여대 약학연구소 후원인 및 대한약국학회 정회원 한정 등록비 10% 감면 혜택이 있으며 1월15일까지 선착순으로 마감한다.
아래 등록안내에 따라 등록비 납부 후, 학습을 시작하면 된다.
https://docs.google.com/forms/d/1-HnmMEzvmTCPmDNuPylOZQH9qfI3UiiytuUTp6HnxhU/preview
<자세한 문의 이정연 교수, 이메일 sandy.rhie@ewha.ac.kr, 전화 02-3277-3023>
한편 감염병인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끼친 보건의료적, 사회적 상처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당시에 각국은 보건의료 역량을 총동원하여 자국민의 감염병 예방을 위해 활동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감염질환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위험이 여전하므로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지난 코로나 비상 상황에서 백신과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실행역량이 크게 부각되었는데, 세계약사연맹(FIP)은 2024년 기준으로 전 세계 56개국에서 약국기반 예방접종(Pharmacy-based vaccination)이 시행 중임을 보고하였으며, 보건의료 선진국에서는 약사가 백신 활동에 참여하기 전부터 예방접종 교육을 받고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까지도 많은 국가에서 약사의 예방접종 실시는 합법화되지는 않았으나 팬데믹 이후 각국에서 약사에 의한 예방접종 수행 역량의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와 유사한 예방접종관련 교육프로그램이 없는 상황이므로 글로벌 보건의료 세계적 추세에 부응하고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