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요법] 골다공증 환자의 한의 치료, 침 뜸 한약 약침 추나 등 활용
보신장골(補腎壯骨), 건비익기(健脾益氣), 활혈통락(活血通絡) 치료 원칙

입력 2025.01.02 06:00 수정 2025.01.02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골다공증 韓醫임상진료지침]

골다공증의 한의학적 치료는 음양(陰陽)을 기본으로 삼아 허실(虛實), 장부(臟腑), 기혈(氣血)을 변별하여 크게 신양허증(腎陽虛證),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 비신양허증 (脾腎陽虛證), 혈어기체증(血瘀氣滯證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침 치료한약 치료약침 치료추나치료 등을 시행할 수 있다.

 

1) ()

침은 기혈이 원활하게 돌도록 하며 통증을 제어하는 데 효과적인 한의학적 치료법이다골다공증에 대한 침 치료는 골밀도의 회복을 돕고 통증을 조절하는 목적으로 주로 활용될 수 있다침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뜸과 함께 복합적으로 활용 되거나 침에 전류를 통과시키는 전침요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2) ()

뜸은 쑥을 원료로 사용하는 애구법과 기타의 재료를 원료로 사용하는 기타 구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피부상에 직접 뜸을 뜨면 직접애주구피부에 직접 뜸을 뜨지 않고 다 른 재료 위에 뜸을 시술하게 되면 간접애주구로 분류한다.

 3) 한약(韓藥)

원발성 골다공증의 치료는 변증논치(辨證論治)를 원칙으로 삼아 증상에 알맞은 처방 과 약물을 사용한다종합적인 치료원칙은 보신장골(補腎壯骨), 건비익기(健脾益氣), 활혈통락(活血通絡)이다.

(1) 신양허증(腎陽虛證)

병기신양부족(腎陽不足), 골격실우온후(骨骼失于溫煦), 유양(濡養)

치법보신장양(補腎壯陽), 강근건골(强筋健骨)

한약 치료우귀환가감숙지황육계녹각교산약 산수유 구기자 당귀 두충 토사자파극천골쇄보삼릉 등

가감허한(虛寒)이 뚜렷하면 선모육종용음양곽건강 등 온양산한지품(溫陽散 寒之品)을 가미할 수 있다.

용법물에 달여 매일 1제를 두 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2)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

병기간신음허(肝腎陰虛), 음정부족(陰精不足), 골격실양(骨骼失養)

치법자보간신(滋補肝腎), 진정강골(塡精强骨)

한약 치료육미지황탕가감숙지황산약산수유목단피 복령 택사 골쇄보 속단 ,선령비 등

가감음허화왕(陰虛火旺)이 뚜렷하면 지모황백을 가미한다동통이 뚜렷하면 상 기생을 가미하여 보신 장골(補腎 壯骨한다.

용법물에 달여 매일 1제를 두 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3) 비신양허증(脾腎陽虛證)

병기비허불건(脾虛不健), 비정부족(脾精不足), 즉신정핍원(則腎精乏源), 골격실 양(骨骼失養)

치법보익비신(補益脾腎), 강근장골(强筋壯骨)

한약 치료금궤신기환가감산약복령백출부자 숙지황 산수유 우슬 음양곽,

골쇄보두충토사자감초 등

용법물에 달여 매일 1제를 두 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4) 혈어기체증(血瘀氣滯證)

병기기체혈어(氣滯血瘀), 조체경락(阻滯經絡), 골격실양(骨骼失養)

치법이기활혈(理氣活血), 화어지통(化瘀止痛)

한약 치료신통축어탕가감진교강활향부자천궁 도인 홍화 당귀 몰약 우슬, ,지룡감초오령지 등

가감골통이 상지 위주면 상지강황을 가미한다하지가 심하면 강활방기를 가미 하여 통락지통(通絡止痛)한다구병(久病)으로 관절이 변형되고 통증이 심하면 전 갈오공을 가미하여 통락활혈(通絡活血)한다.

용법물에 달여 매일 1제를 두 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치료는 환자의 병세에 따라 시행하는데 치료기간은 612개월 정도이다. 1년 이상 복용하는 환자는 반드시 간기능과 신기능을 검사해야 하며 심한 골다공증에는 양약 치료를 병행한다여성의 폐경 후 골다공증은 항상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위주로임상증상은 요슬산련(腰膝酸軟), 사지혹요배통(四肢或腰背痛), 혹족근통(或 足跟痛), 동통시불능구립(疼痛時不能久立), 우로갱심(遇勞更甚), 수족심발열(手足心 發熱), 번조이노(煩躁易怒), 조열도한(潮熱盜汗), 현훈이명(眩暈耳鳴), 실면다몽(失 眠多夢등이다상용 약물로는 숙지황산수유녹각교(양화), 구기자 음양곽 육종용,산약백작약우슬황기복령 등이 있다.

노인의 골다공증 발병 연령은 여성은 60세 이후남성은 70세 이후이다항상 신양허증(腎陽虛證위주로임상증상은 요(), (), (등의 관절 부위 냉통(冷 痛), 외한지냉(畏寒肢冷), 면색백혹려흑(面色白或黧黑), 기쇠신피(氣衰神疲), 소변청 장(小便淸長등이다상용 약물은 음양곽골쇄보천속단보골지두충토사자 단삼당귀계혈등파극천육종용 육계 등이다.

 4) 약침(藥鍼)

약침요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약침액을 질환과 관련된 경혈(經穴)과 아시혈 등 특정 혈자리에 약침주입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방법으로 자침의 효과와 약물의 효능을 동시에 이용하는 신침요법이다이는 침구요법과 약물요법을 결합한 것으 로 기존과는 다른 경혈자극방법으로 신체의 기능을 조절하며 동시에 필요한 약물을 소량으로도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1) 약침의 종류

현재까지 국내에서 인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없었으며골다공증 동물모델을 바탕으로 한 연구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약재는 녹용이었으며그 외에 황기홍화 자골쇄보황정 등이 있다문헌 등에 의한 증례보고에서는 골절 시 어체된 어혈을 제 거하기 위해 홍화자 약침을 사용하였다.

(2) 주의사항

약침은 염증 부위에 직접적으로 시술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관절에는 직접 자입하지 않는 것이 좋다환부에 홍종열통(紅腫熱痛)이 있는 경우에는 일단 시술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고 환부에서 약간 떨어진 부위에 시술한다시술 시 깊이는 환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너무 얕을 경우 오히려 통증이 심하다주사기 바늘이 0.5~1.0cm 정도 피부에 들어가도록 시술한다약침은 한 곳에 많은 양을 주입하는 것보다 소량씩 여러 부위에 나누어 주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5) 추나(推拿)

추나는 한의사가 손이나 신체의 다른 부분을 사용하거나 추나 테이블 등 기타 보조기기를 이용하여 경혈 또는 특정 인체 부위에 유효한 자극을 가하여 구조나 기능상의 문제를 치료하는 한의과 수기요법이다추나 치료의 치료원칙은 행기활혈(行氣活血), 이 근정복(利筋整復), 활리관절(滑利關節)하여 통증을 다스리고 관절을 부드럽게 해 준다.

추나 치료는 손상을 유발하거나 관련 질환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금기증으로 정하고 있으며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은 추나의 상대적 금기증으로 주의를 요한다따라서 골다공증을 진단받은 고령의 환자의 경우추나요법을 시행할 때 강한 힘으로 교정해서는 안 되며 골절의 유무골절의 부위 등을 고려하여 근막이완요법근에너지기법관절가동기법 등의 단순추나요법을 시행한다.

 

6) 부항(附缸)

부항요법은 관을 피부표면에 흡착시켜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생긴 음압을 이용하여 체내 여러 요소를 체외로 배출시키는 치료법이다부항은 전신요법으로써 체질을 개선하고 질병예방과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며 병적 상태에서의 비생리적 체액의 정화에 도움을 주고 전신순환의 개선 및 신진대사의 증진으로 자연치유력을 증강시킨다또한 국소요법으로써 환부 및 장부와 관련 있는 경혈의 반응점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 역시 가능하다.

 

7) 매선(埋線)

매선요법(埋線療法)은 혈위매장요법 중의 하나로유침(留鍼)과 매침(埋鍼)의 원리를 근거로 형성된 새로운 혈위자극요법이다매선요법의 치료원리는 혈위경락경근경 피 등에 매선을 매입함으로써 오랜 유침(留鍼)작용으로 자극을 극대화하여 근육관절 등의 조직에 존재하는 수많은 치료반응점을 자극하여 말초 수용기에 생긴 흥분을 신경중추에 전달한다그 효과는 근육학적생리학적조직학적인 변화를 만들어 근육의 탄력을 회복하고매선 주변 조직에 세포의 무균성 염증반응을 일으켜 해당 부위에 조직의 회복작용을 촉진한다.

                                                                                            <자료 제공 한국한의학진흥원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웰에이징][한방요법] 골다공증 환자의 한의 치료, 침 뜸 한약 약침 추나 등 활용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웰에이징][한방요법] 골다공증 환자의 한의 치료, 침 뜸 한약 약침 추나 등 활용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