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호 사장은 제약업계 투신 이후 기업인으로서 탁월한 식견과 경영관리에 관한 비상한 능력을 십분 발휘했다. 1959년 동아제약 상무이사로 취임한 후 점차적으로 회사를 현대 경영 체제로 탈바꿈 시켜 나갔다.
동아제약은 50년대 말부터 외국 유명메이커와 제휴하고 최신 제약시설을 갖추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고 나이드라지드와 로딕신으로부터 시작하여 카나마이신 같은 치료제를 생산하였다.
베스타제 생산을 위한 공장이 세워지고 카나마이신을 전담하는 동명산업을 설립했다. 뒤이어 라미화장품 동아초자 동아식품 등 계열회사를 잇달아 설립, 당당한 그룹형태을 갖추게 됐다.
강 사장이 이끌어 나가는 동아의 경영방식은 언제나 타 회사를 앞서가는 것으로 정평이 났다. 이런 점들이 외적으로는 동아를 한국의 톱 메이커로 부상시킨 주요 원인이 되었다. 한편 눈에 보이지 않는 중요한 성공요인중 하나는사내인재를 잘 기르고 양성했다는 점이다
기업은 사람이 움직인다고 강 사장은 항상 말했다. 이제 한국의 제약도 자체의 기술축적 없이는 80년대의 중화학 공업시대에 함께 호흡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기술의 축적은 일조일석에 되는 것이 아니고 긴 안목의 투자를 요한다. 신제품 개발과 기술 인력의 확보와 관련하여 70년대 중반에 성립한 사내 중앙연구소의 운영을 통한 산학협동과 제약공업의 발전에 관심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당시 개발부와 중앙연구소가 합작한 첫 작품이 Talampicillin이다. 회사의 개발 기술진을 굳게 믿는 강 사장의 대담한 투자가 좋은 결실로 이어진 사례라 할수 있다.
이를 계기로 이후 기업은 국내 기술을 신뢰하게 되고 대학은 고급 기술인력 양성에 보람을 느끼는 산학연 협조의 기운을 이어가게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 |
2 | 바이오의약품 CDMO 육성, 생물보안법 입법 시기 등 미국 주시해야 |
3 | [전문가 칼럼] 한국화장품, 미국 시장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다 |
4 | 비만치료제 고성장에도 주가 하락 '아이러니'…국내 비만 ETF도 '흔들' |
5 | 씨엔팜,"항암제 가짜내성 발생 원인 규명..근원적 해결책 찾았다" |
6 |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최대주주 '등극' |
7 | 타이레놀, 서현진과 ‘타이레놀 파우더’ 신규 캠페인 진행 |
8 | "이중항체 이어 ADC까지 접수한다" 에이비엘바이오 ADC 심포지엄 개막 |
9 | 국내는 약배송 금지…글로벌 온라인 약국,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800조원 성장 |
10 | ‘오젬픽’ ‘젭바운드’ 1형 당뇨병 시장 트랜스포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강신호 사장은 제약업계 투신 이후 기업인으로서 탁월한 식견과 경영관리에 관한 비상한 능력을 십분 발휘했다. 1959년 동아제약 상무이사로 취임한 후 점차적으로 회사를 현대 경영 체제로 탈바꿈 시켜 나갔다.
동아제약은 50년대 말부터 외국 유명메이커와 제휴하고 최신 제약시설을 갖추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고 나이드라지드와 로딕신으로부터 시작하여 카나마이신 같은 치료제를 생산하였다.
베스타제 생산을 위한 공장이 세워지고 카나마이신을 전담하는 동명산업을 설립했다. 뒤이어 라미화장품 동아초자 동아식품 등 계열회사를 잇달아 설립, 당당한 그룹형태을 갖추게 됐다.
강 사장이 이끌어 나가는 동아의 경영방식은 언제나 타 회사를 앞서가는 것으로 정평이 났다. 이런 점들이 외적으로는 동아를 한국의 톱 메이커로 부상시킨 주요 원인이 되었다. 한편 눈에 보이지 않는 중요한 성공요인중 하나는사내인재를 잘 기르고 양성했다는 점이다
기업은 사람이 움직인다고 강 사장은 항상 말했다. 이제 한국의 제약도 자체의 기술축적 없이는 80년대의 중화학 공업시대에 함께 호흡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기술의 축적은 일조일석에 되는 것이 아니고 긴 안목의 투자를 요한다. 신제품 개발과 기술 인력의 확보와 관련하여 70년대 중반에 성립한 사내 중앙연구소의 운영을 통한 산학협동과 제약공업의 발전에 관심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당시 개발부와 중앙연구소가 합작한 첫 작품이 Talampicillin이다. 회사의 개발 기술진을 굳게 믿는 강 사장의 대담한 투자가 좋은 결실로 이어진 사례라 할수 있다.
이를 계기로 이후 기업은 국내 기술을 신뢰하게 되고 대학은 고급 기술인력 양성에 보람을 느끼는 산학연 협조의 기운을 이어가게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