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 현장에서 마주하는 현실적인 문제와 해결 방안이 공유됐다. 전문가는 연구개발 초기 단계부터의 '설계 기반 품질 관리(QbD)' 원칙 도입과 '플랫폼 기반 접근' 등 규제 승인 가속화를 위한 팁을 전했다.
에스티팜 최준영 R&D 총괄은 23일 개막한 '바이오 규제 혁신 컨퍼런스'에서 신약 개발 과정의 CMC 효율화 및 규제 승인 가속화 전략으로, '리스크 기반'과 '플랫폼 기반' 접근법을 제시했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주최, 약업신문이 주관하는 '2025 바이오 규제 혁신 컨퍼런스'는 24일까지 쉐라톤그랜드인천호텔에서 양일간 열린다.
최 총괄은 "체계적인 리스크 평가와 QbD 원칙을 도입하고 플랫폼 기반 접근법을 활용하면 회사는 초기 단계에서 잠재적인 문제를 식별하고 완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연을 최소화하고 규제 요건을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신약개발 과정에서 CMC(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는 개발초기부터 허가 및 시판 이후까지 전 주기에 관여하며 핵심 역할을 하는 만큼, 가능한 초기단계부터 QbD를 도입해 품질 일관성을 확보하는 '리스크 기반 접근'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리스크 기반 전략(Risk-based strategies)'은 중요 품질 속성(CQAs)을 우선순위로 삼고, QbD 원칙을 활용해 견고하고 효율적인 제조 공정을 보장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최 총괄은 표준화된 제조 및 분석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와 같은 다양한 약물 후보 물질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 접근(Platform-based approaches)'도 추천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에스티팜이 원료를 공급하는 아이오니스의 희귀 심혈관 질환 치료제 ‘트린골자(성분 올레자르센)’가 있다. 최 총괄은 "트린골자는 희귀질환인 FCS(가족성 카일로미크론혈증 증후군)를 타겟으로 하는 전략으로 6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FDA 승인을 얻었고, 환자군이 더 많은 분야의 2-3상 임상을 지속하고 있다"며 "이같은 전략은 승인 기간 단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총괄은 이어 전문적인 CDMO를 잘 선택해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CDMO는 CMC 업무 전 주기에서 고객사를 지원하며, 특히 출시기간 단축과 리소스 효율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했다.
또 CMC 이슈로 FDA 승인이 지연된 사례로는 △생산 시설 관련 문제 △불완전하거나 불충분한 데이터 △의약품 또는 원료 관련 문제(불순물) △품질 보장을 위한 관리 전략 미흡 △문서화의 미비 △공급망 문제 △포장 및 라벨링 관련 문제를 들었다.
실제로 노바티스의 고지혈증 신약인 '렉비오(성분 인클리시란)'가 CMC 문제로 CRL을 맞아 승인이 1년 이상 지연됐던 사례가 있다. 이로 인해 회사는 1조4000억 가량의 손해를 입었다고 최 총괄은 전했다.
그러면서 CMC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견고한 품질 시스템 구축 △철저한 문서화 △선제적 리스크 관리 △규제 당국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 총괄은 "서두르다가 오히려 나중에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 많다"며 QbD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QbD를 도입하면 FDA 승인 지연 등의 문제들은 대부분 사라진다"며 “CMC 때문에 딜레이 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살빼려 했더니 실명 위기?… GLP-1 계열 약물 새 경고 |
2 | 에이비엘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이중항체 ADC 2건 임상 진입 확실시 |
3 | 미국, 비만 치료 확대· 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왜? |
4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매출총이익, 코스피 766억원‧코스닥 239억원 |
5 | 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
6 | “양손 가득 돌아오겠습니다” K제약바이오 'BIO USA'서 승부수 띄운다 |
7 | 메지온,230억원 투자 유치..'유데나필' 폰탄치료제 FDA 임상3상 가속 |
8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코스피 176억원‧코스닥 29억원 |
9 | 동성제약 1분기 실적 상승…영업익 ‘흑자전환’ |
10 | 리가켐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 “ADC 독성 난제 해결사…파이프라인만 30여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신약 개발 현장에서 마주하는 현실적인 문제와 해결 방안이 공유됐다. 전문가는 연구개발 초기 단계부터의 '설계 기반 품질 관리(QbD)' 원칙 도입과 '플랫폼 기반 접근' 등 규제 승인 가속화를 위한 팁을 전했다.
에스티팜 최준영 R&D 총괄은 23일 개막한 '바이오 규제 혁신 컨퍼런스'에서 신약 개발 과정의 CMC 효율화 및 규제 승인 가속화 전략으로, '리스크 기반'과 '플랫폼 기반' 접근법을 제시했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주최, 약업신문이 주관하는 '2025 바이오 규제 혁신 컨퍼런스'는 24일까지 쉐라톤그랜드인천호텔에서 양일간 열린다.
최 총괄은 "체계적인 리스크 평가와 QbD 원칙을 도입하고 플랫폼 기반 접근법을 활용하면 회사는 초기 단계에서 잠재적인 문제를 식별하고 완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연을 최소화하고 규제 요건을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신약개발 과정에서 CMC(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는 개발초기부터 허가 및 시판 이후까지 전 주기에 관여하며 핵심 역할을 하는 만큼, 가능한 초기단계부터 QbD를 도입해 품질 일관성을 확보하는 '리스크 기반 접근'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리스크 기반 전략(Risk-based strategies)'은 중요 품질 속성(CQAs)을 우선순위로 삼고, QbD 원칙을 활용해 견고하고 효율적인 제조 공정을 보장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최 총괄은 표준화된 제조 및 분석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와 같은 다양한 약물 후보 물질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 접근(Platform-based approaches)'도 추천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에스티팜이 원료를 공급하는 아이오니스의 희귀 심혈관 질환 치료제 ‘트린골자(성분 올레자르센)’가 있다. 최 총괄은 "트린골자는 희귀질환인 FCS(가족성 카일로미크론혈증 증후군)를 타겟으로 하는 전략으로 6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FDA 승인을 얻었고, 환자군이 더 많은 분야의 2-3상 임상을 지속하고 있다"며 "이같은 전략은 승인 기간 단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총괄은 이어 전문적인 CDMO를 잘 선택해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CDMO는 CMC 업무 전 주기에서 고객사를 지원하며, 특히 출시기간 단축과 리소스 효율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했다.
또 CMC 이슈로 FDA 승인이 지연된 사례로는 △생산 시설 관련 문제 △불완전하거나 불충분한 데이터 △의약품 또는 원료 관련 문제(불순물) △품질 보장을 위한 관리 전략 미흡 △문서화의 미비 △공급망 문제 △포장 및 라벨링 관련 문제를 들었다.
실제로 노바티스의 고지혈증 신약인 '렉비오(성분 인클리시란)'가 CMC 문제로 CRL을 맞아 승인이 1년 이상 지연됐던 사례가 있다. 이로 인해 회사는 1조4000억 가량의 손해를 입었다고 최 총괄은 전했다.
그러면서 CMC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견고한 품질 시스템 구축 △철저한 문서화 △선제적 리스크 관리 △규제 당국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 총괄은 "서두르다가 오히려 나중에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 많다"며 QbD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QbD를 도입하면 FDA 승인 지연 등의 문제들은 대부분 사라진다"며 “CMC 때문에 딜레이 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