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FDA, 최초 NRG 1 융합 양성종양 치료제 허가
네덜란드의 이중 특이성‧다중 특이성 항체 치료제 개발 전문 생명공학기업 메루스社(Merus N.V.)는 자사의 이중 특이성 항체 ‘비젠그리’(Bizengri: 제노쿠투주맙-zbco)가 FDA의 허가를 취득했다고 4일 공표했다.‘비젠그리’는 뉴레귤린 1 유전자(NRG 1) 융합이 잠복된 데다 앞서 전신요법제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 중이거나 치료를 마친 후에도 종양이 악화된 진행성 절제수술 불가성 또는 전이성 성인 췌장 선암종 환자 및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위한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제로 발매를 승인받았다.뉴레귤린(neuregulin)은 상피세포 성장인자(EGF) 계열에 속하는 당단백질의 일종이다.뉴레귤린 1 융합 잠복 암은 예후가 취약한 데다 크게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두 적응증은 총 반응률(ORR)과 반응지속기간(DOR)에 근거를 두고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의 형태로 허가관문을 통과했다.가속승인을 취득함에 따라 허가지위가 계속 유지될 수 있으려면 차후 확증시험에서 임상적 유익성을 확인하고 상세한 내용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져야 한다.아울러 ‘비젠그리’는 태아-배아 독성에 유의토록 하는 내용의 돌출 주의문(Boxed Warning)과 융합 관련 반응(IRRs), 과민반응 및 아나필락시스 반응, 간질성((間質性) 폐질환/폐렴 및 좌심실 기능부전 등에 유의를 당부하는 주의문이 삽입된 가운데 공급되어야 한다.메루스 측은 ‘비젠그리’의 승인으로 이제까지 허가를 취득한 NRG 1 양성 암 치료대안이 부재했던 환자들의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에 부응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이에 따라 메루스 측은 차후 수 주 이내에 미국시장에서 ‘비젠그리’의 공급이 개시될 수 있도록 한다는 복안이다.임상 1/2상 ‘eNRGy 시험’을 총괄한 뉴욕 소재 메모리얼 슬로언 케터링 암센터의 앨리슨 슈람 박사(종양내과)는 “FDA가 ‘비젠그리’의 발매를 승인한 것이 뉴레귤린 1 유전자 융합이 잠복된 데다 진행성 절제수술 불가성 또는 전이성을 나타내는 췌장 선암종 환자 및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위하 이루어진 중요한 성과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슈람 박사는 뒤이어 “일차적으로 ‘비젠그리’가 환자들에게 나타낼 수 있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개선효과에 주목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메루스社의 섀년 캠벨 최고 영업책임자는 “우리가 보유한 고도 혁신성과 독자보유한 ‘바이클로닉스’(Biclonics) 기술 플랫폼에 기반을 두고 처음으로 허가를 취득한 치료제가 ‘비젠그리’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덕분에 NRG 1 양성 췌장 선암종 환자들과 NRG 1 양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위해 우리가 했던 약속을 이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이번에 허가를 취득한 것은 우리가 보유한 다중 특이성 플랫폼을 기반으로 선도자산이라 할 만한 페토셈타맙(petosemtamab)을 포함한 파이프라인의 개발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의 기술과 강력한 실천력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FDA는 다기관, 개방표지 임상시험으로 설계된 임상 1/2상 ‘eNRGy 시험’에서 확보된 자료를 근거로 ‘비젠그리’의 발매를 승인한 것이다.이 시험에는 앞서 전신요법제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하던 중이거나 치료를 마친 후에도 종양의 악화가 지속된 진행성 절제수술 불가성 또는 전이성 NRG 1 양성 췌장 선암종 및 NRG 1 양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이 피험자로 충원됐다.시험에 참여한 NRG 1 양성 췌장 선암종 환자들에게서 ‘비젠그리’는 40%의 총 반응률과 3.7개월에서 16.6개월에 이르는 반응지속기간을 나타냈다.같은 시험에서 ‘비젠그리’를 투여받았던 NRG 1 양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은 33%의 총 반응률과 평균 7.4개월의 반응지속기간을 내보였다.시험에서 반응률은 ‘고형암 반응평가 기준’(RECIST v1.1) 지표가 적용된 가운데 맹검사외중앙평가(BICR)에 의해 평가됐다.안전성 측면에서 피험자들의 10% 이상에서 가장 빈도높게 수반된 부작용을 보면 설사, 근골격계 통증, 피로, 구역, 주사 관련반응, 호흡곤란, 발진, 변비, 구토, 복통 및 부종 등이 보고됐다.피험자들의 2% 이상에서 가장 빈도높게 보고된 3급 또는 4급 실험실 검사결과의 이상은 감마-글루타밀 전이효소 수치의 증가, 헤모글로빈 수치의 감소, 나트륨 감소, 혈소판 감소,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기 전이효소 수치의 증가, 알라닌 아미노기 전이효소 수치의 증가, 알칼리 인산분해효소 수치의 증가, 마그네슘 감소, 인(燐) 감소,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의 증가 및 빌루루빈 증가 등이 관찰됐다.
이덕규
202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