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의약품 유통업계 외부자본 유입의 향배
약업신문 news@yakup.co.kr 플러스 아이콘
입력 2017-10-11 09:09 수정 2017-10-11 09:2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지금 의약품 유통업계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조마진율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감소와 일련번호 보고의무화 등 제도적인 변화는 유통업체 입장에서 경영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대기업 농심의 계열사가 국내의 유통업체 지분을 인수한 것을 계기로 유통업계 외부자본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내부의 혁신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하고 필요하다면 대기업을 비롯한 외부자본의 유입까지 적극적으로 활용, 의약품 유통업계 고유의 시장과 영역을 유지 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외부자본의 유입은 업계 활성화, 선진화, 대형화를 유인 할 수 있는 긍정적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의약품 유통업계 업력을 비추어 볼 때 외부자원의 유입 역사는 최근 10년 안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난 97년 KSC파트너스(RMS코리아)를 시작으로 에이스일렉트로닉스(서울약업), 골드만삭스(지오영) 스즈켄(복산나이스팜) HLB생명과학(신화어드밴스)으로 이어 진다. 투자규모는 적게는 수십억에서 많게는 수백억까지 투자형태는 간접과 직접투자 양쪽에서 이뤄졌다. 투자주체에서 알 수 있듯 기존 대형제약사나 물류업체의 이 시장 진출하고는 조금 차이가 있다. 

업계 내부의 시각도 유통업계의 경쟁력을 키울수 있는 활성요인으로 인식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부정적 인식이 높았던 이전과 비교하면 분위기 반전이 아닐수 없다. 업체대표들의 마인드 또한 이전의 부정적 인식에서 탈피, 보다 적극적으로 바로보고 있다는 점 또한 변화된 모습이 아닐수 없다. 이전까지는 국내 의약품 유통규모를 감안할 때 비교적 중소업계로 인식되며 대기업자본의 유입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보여준바 있다. 

현재 시장에서는 의약품배송체계까지 바뀌고 있다고 한다. 나날이 악화되는 경영여건으로 인해 수익성 확보가 어려워지고 관리비 절감을 비롯한 자구책이 필요한 상황에서 우선적으로 배송관련 시스템부터 손을 보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외부자본의 유입을 더 이상 무조건 배척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유통업계의 시장잠식을 노린 부정적 요인보다는 대외경쟁력 확보와 봉착한 자금난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소위 백기사가 될 수도 있다는 판단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 'Nanozorb' 기술 건강식품 시장 게임 체인저 될 것"
[행복한 팜 스터디③] "복약상담 팁-건기식까지 총 망라"
"미국 FDA 승인, 과학만으론 부족하다…인허가 전략이 성공과 실패 좌우"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의약품 유통업계 외부자본 유입의 향배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의약품 유통업계 외부자본 유입의 향배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