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플러스
정재훈의 알아두면 쓸데있는 신비한 약이야기
<173> 독감에 제대로 대처하는 방법
정재훈
입력 2025-03-21 14:23 수정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정재훈 약사.

올겨울 독감(인플루엔자) 유행은 심각한 수준이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독감 환자는 ‘역대급 유행'이었다는 2016년(86.2명) 이후 최고치에 달했다. 2025년 1주차(2024년 12월29일∼2025년 1월4일) 38도 이상 갑작스러운 발열, 기침 또는 인후통 증세를 보이는 독감 의사환자는 1000명 중 99.8명이었다. 이제는 정점을 지나 유행이 지나가는 듯하다. 하지만 개학을 전후로 다시 유행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독감은 입원,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질병이다. 독감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다. 며칠 동안 아프고 직장, 학교, 또는 가족 행사에 참석하지 못하는 정도에 그칠 수도 있지만 더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합병증으로 세균성 폐렴, 중이염, 부비동염이 있을 수 있으며, 울혈성 심부전, 천식, 또는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독감의 심각한 합병증을 줄이는 제일 좋은 방법은 백신 접종이다. 독감 백신을 맞은 뒤에도 일부 사람이 여전히 인플루엔자에 걸릴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연구에서 예방접종이 질병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고 독감 관련 질환, 입원, 독감 관련 사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2025년 1월 스페인에서 발표한 대규모 메타분석 연구에서도 결과는 비슷했다. 38개국 650만 명이 넘는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독감 예방접종이 전 연령대에서 독감 관련 이환율과 사망률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의 분석 결과, 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IBV)에 대한 예방접종이 5세 미만 아동, 5-65세 연령대, 65세 이상 고령자에서 감염률과 독감 관련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인플루엔자 A(H3N2) 바이러스에 대한 보호 효과는 어린 아동에게는 효과적이지만 고령자에게는 다소 낮은 편이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러한 효과 차이는 H3N2가 다른 두 바이러스보다 변이율이 약간 높은 편이기 때문일 수 있다. 본래 독감 백신은 접종 후 약 2주 후에 체내에서 항체가 생성되도록 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항체들이 독감 바이러스를 중화시켜 우리를 보호해준다. H3N2는 당화율이 더 높아서 항체가 바이러스를 중화하는 능력도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H3N2의 경우 감염률이 더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3N2에 대한 예방접종은 모든 연령대에서 독감 관련 이환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데 H1N1과 IBV에 대한 예방접종만큼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감 백신 효과의 척도는 감염 여부가 아닌 중증 독감 발병, 중환자실 입원, 또는 사망 가능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바로 이런 면에서 백신이 효과적이며 H1N1, H3N2, IBV 모두에 대해 효과가 있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독감 백신을 맞고 나서도 독감에 걸렸다며 푸념하기 전에 백신 덕분에 입원과 사망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았을 거란 사실을 기억하는 게 좋단 얘기다.

이번 연구는 2003년부터 2023년까지의 환자 데이터를 다룬 논문들의 독감(인플루엔자) 발생률과 중증도 데이터를 종합 분석했다. 연구진은 독감 예방접종이 감염 예방보다는 중증 질환 예방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CEU 산 파블로 대학교 미생물학 교수 니스탈 비얀은 "예방접종이 다양한 연령대와 위험군에서 이환율, 병원 입원, 중환자실 입원, 그리고 무엇보다 사망률을 감소시킨다"고 말했다. 비얀 교수는 독감이 심혈관 질환이나 신경퇴행성 질환이 있는 사람들과 같은 고위험군에서 특히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예방접종은 중증 인플루엔자로 인한 사망 위험을 3-4배 감소시킨다"는 게 비얀 교수의 결론이다.

매번 독감 유행 시즌이 되면 어떤 약이 효과적인가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커진다. 올해는 독감에 5일 동안 먹는 약이 나은가 한 번 맞으면 되는 주사가 나은가, 10만원대에 달하는 주사 비용이 적절한가에 대한 논란도 불거졌다. 걸리고 나서 이런 고민을 하기보다는 미리 독감 예방접종을 받는 게 낫다. 스페인에서 발표한 최신 연구 결과를 기억하자.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173> 독감에 제대로 대처하는 방법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173> 독감에 제대로 대처하는 방법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