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치료제, 스타틴 알고 복용하기 (1)편에 연결되는 글입니다.
5. 스타틴을 시작하기 전에 어떤 검사들을 받아야 할까요?
스타틴을 시작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혈액검사를 받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 콜레스테롤 (지질) 검사 (lipid panel)
- 간기능검사 (ALT)
- 당화혈색소 (hemoglobin A1c)
또, 스타틴에 의한 근육의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분들은 스타틴을 시작하기 전에 근육의 상태를 알려주는 혈중 크레아틴 키나제 (creatinine kinase; CK)라는 검사를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6. 스타틴을 얼마나 오래 복용해야 할까요?
일반적으로 스타틴을 시작하면 평생 복용하셔야 합니다. 그 이유는 약을 중단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원래로 되돌아가기 때문입니다. 식사 조절, 운동, 체중 감소 등으로 동맥경화성 심순환기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충분히 낮춘다면 스타틴을 중단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7. 스타틴을 하루 중 언제 복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플루바스타틴을 제외한 스타틴은 하루에 한 번 복용합니다. 우리의 간은 콜레스테롤을 주로 밤에 만들기 때문에 스타틴을 저녁에 복용할 것을 많이들 권합니다. 하지만, 스타틴을 아침에 복용하는 것과 저녁에 복용하는 것을 비교한 거의 모든 임상시험들에서 스타틴의 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기억하기 가장 좋은 시간에 스타틴을 복용하도록 하십시요.
8. 함께 복용할때 스타틴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약들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근육관련 문제를 일으킬 수 있거나 스타틴이 몸에서 분해되는 것을 방해하여 스타틴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을 높이는 약들은 의사와 상의하여 스타틴과 함께 복용하는 것을 피하거나 스타틴의 용량을 줄이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1) 근육관련 문제를 일으키는 약들
대표적인 것들로는 나이아신 (또는 니아신; niacin), 겜피브로질 (gemfibrozil), 페노피브레이트 (fenofibrate) 등이 있습니다. 이 약들은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등 혈중 지질의 수치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데 그 자체가 근육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타틴과 함께 복용하게 되면 근육에 관련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스타틴이 몸에서 분해되는 것을 방해하는 약들
매우 다양한 약들이 스타틴이 몸에서 분해되는 것을 방해하여 스타틴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을 높입니다.
곰팡이 치료에 사용되는 약들: 케토코나졸 (ketoconazole), 이트라코나졸 (itraconazole), 플루코나졸 (fluconazole)
항생제: 클라리스로마이신 (clarithromycin), 에리스로마이신 (erythromycin), 텔리스로마이신 (telithromycin)
결핵 치료제: 리팜핀 (rifampin)
혈소판 응집 억제제: 티카그렐로 (ticagrelor)
협심증 치료제: 라놀라진 (ranolazine)
통풍 치료제: 콜키신 (colchicine)
혈압약: 베라파밀 (verapamil), 딜티아젬 (Diltiazem), 암로디핀 (amlodipine)
항부정맥약: 아미오다론 (amiodarone), 드로네다론 (dronedarone)
면역억제제: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
자궁내막증 치료제: 다나졸 (danazol)
한가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 약들이 모든 스타틴의 분해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 몸이 스타틴을 분해하는 방법은 스타틴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에 기술된 약과 스타틴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 그 약이 스타틴의 분해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사나 약사로부터 확인받으십시요.
또, 자몽과 자몽주스도 아토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이 배설되는 것을 방해하므로 이들 스타틴을 복용하시는 분은 자몽과 자몽주스를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9. 함께 복용할때 스타틴의 효과를 줄이는 약들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다음과 같은 약들은 일부 스타틴과 함께 복용하면 스타틴의 효과를 줄이입니다. 따라서, 아래 약을 복용하는 경우 사용하시는 스타틴이 효과가 줄어드는지 의사나 약사에게 확인하십시요. 만약, 복용하시는 스타틴의 효과가 줄어든다면 의사와 상의하여 스타틴의 용량을 높이거나 다른 스타틴으로 바꾸는 것을 고려하십시요.
뇌전증 치료제: 페니토인 (phenytoin)
결핵 치료제: 리팜핀 (rifampin)
결핵 치료제 널리 쓰이는 리팜핀은 스타틴의 분해도 방해하고 일부 스타틴 (특히, 피타바스타틴)의 효과도 줄이므로, 스타틴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 의사나 약사와 꼭 상의하십시요.
10. 코엔자임 큐10을 함께 복용하면 스타틴의 부작용을 줄이거나 치료할 수 있을까요?
코엔자임 큐10 (코엔자임큐텐; 코엔자임큐 10; coenzyme Q10)은 우리 몸의 세포안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그런데, 스타틴은 우리 몸의 코엔자임 큐10의 양을 줄여 근육에 관련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보고가 있습니다. 이것을 바탕으로 세포안에서 어떻게 에너지를 생산하는 지에 대한 연구로 노벨상을 받은 Peter Mitchell 박사는 스타틴의 부작용을 줄이거나 치료하기 위해 코엔자임 큐10에 대해 특허를 받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임상시험 결과를 보면 코엔자임 큐10을 함께 복용한다고 해서 스타틴에 의한 근육 부작용의 가능성이 줄어들거나 스타틴에 의한 근육 부작용을 치료할 수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미국 보건성이 제공하는 환자들을 위한 정보에서도 코엔자임 큐10이 스타틴에 의한 근육 부작용을 줄이는지에 대해 아직 충분히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스타틴에 의한 근육과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은 드뭅니다. 그리고, 근육과 관련된 부작용은 스타틴의 용량을 줄이거나, 스타틴의 종류를 바꾸거나 중단하면 사라집니다. 따라서, 코엔자임 큐10를 추가하여 복용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서울대약대 대학원 졸
-University of Florida Doctor of Pharmacy
-University of Miami Jackson Memorial Hospital Pharmacy
Practice Residency
-University of Florida Cardiovascular Pharmacogenomics
Fellowship
-현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임상약학과 부교수
콜레스테롤 치료제, 스타틴 알고 복용하기 (1)편에 연결되는 글입니다.
5. 스타틴을 시작하기 전에 어떤 검사들을 받아야 할까요?
스타틴을 시작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혈액검사를 받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 콜레스테롤 (지질) 검사 (lipid panel)
- 간기능검사 (ALT)
- 당화혈색소 (hemoglobin A1c)
또, 스타틴에 의한 근육의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분들은 스타틴을 시작하기 전에 근육의 상태를 알려주는 혈중 크레아틴 키나제 (creatinine kinase; CK)라는 검사를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6. 스타틴을 얼마나 오래 복용해야 할까요?
일반적으로 스타틴을 시작하면 평생 복용하셔야 합니다. 그 이유는 약을 중단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원래로 되돌아가기 때문입니다. 식사 조절, 운동, 체중 감소 등으로 동맥경화성 심순환기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충분히 낮춘다면 스타틴을 중단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7. 스타틴을 하루 중 언제 복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플루바스타틴을 제외한 스타틴은 하루에 한 번 복용합니다. 우리의 간은 콜레스테롤을 주로 밤에 만들기 때문에 스타틴을 저녁에 복용할 것을 많이들 권합니다. 하지만, 스타틴을 아침에 복용하는 것과 저녁에 복용하는 것을 비교한 거의 모든 임상시험들에서 스타틴의 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기억하기 가장 좋은 시간에 스타틴을 복용하도록 하십시요.
8. 함께 복용할때 스타틴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약들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근육관련 문제를 일으킬 수 있거나 스타틴이 몸에서 분해되는 것을 방해하여 스타틴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을 높이는 약들은 의사와 상의하여 스타틴과 함께 복용하는 것을 피하거나 스타틴의 용량을 줄이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1) 근육관련 문제를 일으키는 약들
대표적인 것들로는 나이아신 (또는 니아신; niacin), 겜피브로질 (gemfibrozil), 페노피브레이트 (fenofibrate) 등이 있습니다. 이 약들은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등 혈중 지질의 수치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데 그 자체가 근육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타틴과 함께 복용하게 되면 근육에 관련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스타틴이 몸에서 분해되는 것을 방해하는 약들
매우 다양한 약들이 스타틴이 몸에서 분해되는 것을 방해하여 스타틴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을 높입니다.
곰팡이 치료에 사용되는 약들: 케토코나졸 (ketoconazole), 이트라코나졸 (itraconazole), 플루코나졸 (fluconazole)
항생제: 클라리스로마이신 (clarithromycin), 에리스로마이신 (erythromycin), 텔리스로마이신 (telithromycin)
결핵 치료제: 리팜핀 (rifampin)
혈소판 응집 억제제: 티카그렐로 (ticagrelor)
협심증 치료제: 라놀라진 (ranolazine)
통풍 치료제: 콜키신 (colchicine)
혈압약: 베라파밀 (verapamil), 딜티아젬 (Diltiazem), 암로디핀 (amlodipine)
항부정맥약: 아미오다론 (amiodarone), 드로네다론 (dronedarone)
면역억제제: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
자궁내막증 치료제: 다나졸 (danazol)
한가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 약들이 모든 스타틴의 분해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 몸이 스타틴을 분해하는 방법은 스타틴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에 기술된 약과 스타틴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 그 약이 스타틴의 분해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사나 약사로부터 확인받으십시요.
또, 자몽과 자몽주스도 아토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이 배설되는 것을 방해하므로 이들 스타틴을 복용하시는 분은 자몽과 자몽주스를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9. 함께 복용할때 스타틴의 효과를 줄이는 약들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다음과 같은 약들은 일부 스타틴과 함께 복용하면 스타틴의 효과를 줄이입니다. 따라서, 아래 약을 복용하는 경우 사용하시는 스타틴이 효과가 줄어드는지 의사나 약사에게 확인하십시요. 만약, 복용하시는 스타틴의 효과가 줄어든다면 의사와 상의하여 스타틴의 용량을 높이거나 다른 스타틴으로 바꾸는 것을 고려하십시요.
뇌전증 치료제: 페니토인 (phenytoin)
결핵 치료제: 리팜핀 (rifampin)
결핵 치료제 널리 쓰이는 리팜핀은 스타틴의 분해도 방해하고 일부 스타틴 (특히, 피타바스타틴)의 효과도 줄이므로, 스타틴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 의사나 약사와 꼭 상의하십시요.
10. 코엔자임 큐10을 함께 복용하면 스타틴의 부작용을 줄이거나 치료할 수 있을까요?
코엔자임 큐10 (코엔자임큐텐; 코엔자임큐 10; coenzyme Q10)은 우리 몸의 세포안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그런데, 스타틴은 우리 몸의 코엔자임 큐10의 양을 줄여 근육에 관련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보고가 있습니다. 이것을 바탕으로 세포안에서 어떻게 에너지를 생산하는 지에 대한 연구로 노벨상을 받은 Peter Mitchell 박사는 스타틴의 부작용을 줄이거나 치료하기 위해 코엔자임 큐10에 대해 특허를 받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임상시험 결과를 보면 코엔자임 큐10을 함께 복용한다고 해서 스타틴에 의한 근육 부작용의 가능성이 줄어들거나 스타틴에 의한 근육 부작용을 치료할 수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미국 보건성이 제공하는 환자들을 위한 정보에서도 코엔자임 큐10이 스타틴에 의한 근육 부작용을 줄이는지에 대해 아직 충분히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스타틴에 의한 근육과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은 드뭅니다. 그리고, 근육과 관련된 부작용은 스타틴의 용량을 줄이거나, 스타틴의 종류를 바꾸거나 중단하면 사라집니다. 따라서, 코엔자임 큐10를 추가하여 복용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서울대약대 대학원 졸
-University of Florida Doctor of Pharmacy
-University of Miami Jackson Memorial Hospital Pharmacy
Practice Residency
-University of Florida Cardiovascular Pharmacogenomics
Fellowship
-현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임상약학과 부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