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식하면 비만 등 대사증후군 위험성 높아
입력 2012.01.27 10:0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음식을 골고루 먹는 식습관을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20% 이상 감소하고 복부비만은 40% 이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패턴과 대사증후군 발생과의 관련성을 추적 조사한 결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골고루 먹는 식사습관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등 5가지 요소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로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위험이 높은 상태를 의마한다.

이번 조사는 2001년부터 한국인 유전체역학연구 중 안산·안성코호트 참여자 가운데 건강검진 결과 대사증후군이 없는 성인 6,640명을 대상으로 평소 식습관의 주요 패턴을 확인해 2008년까지 추적조사한 결과로서 식사패턴과 대사증후군의 발생과의 관련성을 상호 분석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골고루 먹는 식습관 정도를 5개 등급으로 나누어 식습관과 대사증후군 발생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장 골고루 먹는 집단이 흰쌀과 김치 위주의 치우친 식사를 하는 집단에 비하여 대사증후군이 23%가 감소되었다.

5개 등급은 가장 골고루 먹는 군(제5분위군), 약간 골고루 먹는 군(제4분위군), 보통(제3분위군), 약간 치우치게 먹는 군(제2분위군), 아주 치우치게 먹는 군(제1분위군)으로 구분했다.

5분위군 누적 대상자 2,548명 중 대사증후군 발생은 331건이었으며, 제1분위군 누적 대상자 2,490명 중 대사증후군 발생은 397건으로서 이 결과를 음주·흡연·운동여부 등의 다변량 모델 보정을 통해 상대적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비를 비교하여 확인했다.

제5분위군의 경우 제1분위군에 비해 복부비만 위험이 42% 감소하고 저HDL콜레스테롤혈증 위험도 16% 감소했다.

가장 골고루 섭취하는 군(제5분위)의 식사패턴은 잡곡밥(1일 2-3회), 김치 외 채소(1일 6회 이상), 생선 및 해산물(1일 2회), 해조류(1일 1회), 콩(1일 1회), 육류 및 달걀(1일 1회), 과일(1일 1회), 유제품(1일 1-2회) 등을 다양하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골고루 섭취하지 않는 경향이 높아질수록(제5분위군 → 제2분위군) 잡곡밥이나 채소의 섭취가 줄어들고 생선 및 육류 등 단백질식품의 섭취도 줄어들었다.

특히 아주 치우치게 먹는 군(제1분위군)의 경우는 흰쌀밥과 김치를 위주로 식사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청은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대사증후군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식사패턴이 중요한 만큼 어릴 때부터 편식을 피하고 다양한 식품을 접하는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비만] 전문의 인터뷰 아주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김범택 교수
베링거, 한국을 혁신 거점으로 삼다
“혈액검사로 유방암 조기진단”…韓 단백체 분석기술이 사우디에 간 이유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편식하면 비만 등 대사증후군 위험성 높아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편식하면 비만 등 대사증후군 위험성 높아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