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품목 갱신제로 제약업계 매출 하락 불가피
처방실적 적고 시장성 떨어지는 품목 구조조정 움직임 확산
입력 2018.07.24 06:20 수정 2018.07.24 06:3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지난해 7월부터 시행된 의약품 품목 허가·신고 갱신제도로 인해 제약업체들의 매출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7월 기존에 허가·신고 되었던 품목이라도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 등을 5년마다 주기적으로 재검토해 허가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의약품 품목 허가·신고 갱신제도'를 본격 시행했다.

제도 시행에 따라 품목별로 허가·신고 유효기간 종료 6개월 전에 갱신을 신청해야 하며, 위해우려가 있거나 기간 내 신청하지 않은 품목 등은 판매할 수 없게 된다.

제약회사는 허가/신고 유효기간 만료일 6개월 전에 생산실적, 품질평가자료, 해외사용현황 및 안전성관련 조치에 관한 자료 등을 취합해 허가갱신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처방실적인 미미하거나 시장성이 떨어지는 품목에 대해서는 제약사들이 자진취하를 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4월까지 의약품 품목 갱신 신청 대상 2,937개중 78%인 2,291개가 갱신 신청을 했고, 나머지 22%인 646개는 갱신 신청을 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갱신대상 의약품 5개중 1품목은 경제성 등을 이유로 품목을 자진 취하한 것이다.

제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존에는 의약품을 허가를 받으면 품목허가가 유지됐지만 갱신 제도 시행으로 인해 5년마다 사실상 허가를 새로 받아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는 품목은 구조조정을 하는 작업에 제약업체들이 착수를 한 상태이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또 처방실적이 미미하거나 시장성이 떨어지는 품목들도 예전에는 매출 기여도가 있었지만 이를 품목들을 정리함으로 인해 매출이 하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의약품 품목 허가·신고 갱신제도가 제약회사들의 의약품 품목 구조조정을 촉발시킬 뿐만 아니라 매출에 타격을 입히는 제도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인터뷰] "한국이 열었다" 스탠드업테라퓨티스 '세계 최초' 척수손상 유전자치료제 임상 돌입
JAK 억제제, "아토피피부염 치료 한계 극복하다"
[비만] 전문의 인터뷰 아주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김범택 교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의약품 품목 갱신제로 제약업계 매출 하락 불가피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의약품 품목 갱신제로 제약업계 매출 하락 불가피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